[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호리아트스페이스가 작가 임희조의 개인전 ‘서툰 행복’을 준비했다. 이번 전시는 호리아트스페이스가 삼청동으로 이전해 개최하는 첫 전시다. 임희조에게는 3년 만에 열리는 개인전이다. 작가는 30점의 회화 작품을 선보인다.

임희조의 작업은 색채와 형상이 서로 밀고 당기며 만들어낸 시각적 질서 위에 세워졌다. 정확히 맞물리는 듯하면서도 어긋나는 색, 의도된 것 같지 않으면서도 화면의 균형을 지키는 구도에서 ‘서툰 행복’이라는 감정의 실마리를 잡았다.
일정한 균형감
김나리 호리아트스페이스 대표는 “임희조의 작품은 귀엽고 따뜻한 감성을 발산하는 것이 매력이다. 선명하고 부드러운 색채의 화면 구성이 자아낸 회화적 언어유희도 빼놓을 수 없는 특별한 감성”이라고 전했다.
임희조의 그림에 주로 등장하는 소녀, 동물, 사물은 언제나 구체적이지만 결코 이야기의 중심이 되진 않는다. 그 대상은 화면의 비례 안에서 일정한 균형감을 유지하고 있다. 오히려 제각각의 형태를 가진 색채 덩어리는 그만의 회화적 구성과 질서에서 새로운 조형적인 완결을 이룬다.
20세기 이후 회화는 점점 서사에서 벗어나 자기 매체의 조건, 이른바 평면·색채·형태를 중심으로 재정립돼왔다. 이 같은 흐름에서 임희조의 작업은 회화의 본질적인 요소를 탐구하는 태도로 읽힌다. 작가의 화면은 색 자체가 감정을 형상화하는 식이다.
소녀 동물 사물 소재
배합한 안료와 오일
임희조는 2023년부터 안료를 직접 배합해 오일과 함께 사용하고 있다. 안료는 입자가 곱고 순도가 높을수록 더 깊고 풍부한 색감을 낸다. 오일은 그 안료 입자를 감싸면서 색의 투명도와 광택을 조절한다. 안료 특유의 탁월한 색감과 오일의 깊은 광택은 화면의 물성을 단단하게 밀어 올린다.

그 덕분에 색은 더 깊고 단단해졌고 표면은 이전보다 더 조각적인 밀도를 띠게 됐다. 붓질의 결이 남은 색의 층은 화면을 ‘칠한 평면’이 아닌 ‘형성된 구조물’로 만든다. 이는 임희조의 회화를 더욱더 물질적이고 구체적인 공간으로 확장한다.
고은주 디렉터는 “임희조는 특정한 서사나 메시지를 강하게 주장하지 않는다. 화면에 등장하는 형상은 어떤 개념을 설명하거나 재현하기보다는 그리는 과정에서 조용히 만들어지고 흘러나온다”며 “자주 등장하는 인물의 경우 이들의 포즈나 응시는 보는 사람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면서 또 고정시킨다. 서사 중심이 아니라 조형의 도구를 지탱하는 하나의 구조물로 작용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조형적 완결
임희조는 “설명되지 않은 조형 속에서 작가의 선택으로 이뤄진 화면, 임희조다운 그림을 그리고 싶다”며 “특히 화면에 등장하는 일정한 율동감이나 리듬감을 넘어 하나의 조형적 질서를 만들어 조각적 인상을 전하는 회화로서의 변화를 만들어가고 싶다”고 말했다.
<jsjang@ilyosisa.co.kr>
[임희조는?]
임희조는 동국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서 서양화를 전공했다.
타이틀 ‘서툰 행복’으로 아리랑 갤러리(2022)와 창성동 실험실(2021)서 개인전을 개최했다.
거제문화예술회관(2024), 갤러리 나우(2024), 청화랑(2023), 울산국제아트페어 특별전 ‘심벌즈’(2023), 아트소향(2021) 등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작품은 서울시 문화본부 박물관과 한국교과서협회 연수원 등에 소장돼있다.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