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연재> 선감도 ㊽가짜 세계서 탈출하는 법

  • 김영권 작가
2025.04.21 05:00:00 호수 1528호

“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용운은 대번에 기가 꺾였다. 그건 설사 누가 든든한 판자를 한 개 갖다 준다 해도 웬만한 배짱으로는 쉽게 엄두도 못 낼 짓이었다. 

갑자기 모든 게 두려웠다. 어설픈 방법으로 바다에 뛰어든다는 것도 두려웠고, 한번 들어가면 그 어떤 비상사태가 발생해도 아무런 구원의 손길을 기대하지 못한다는 것도 두려웠다.

빠져나온 공상

경험도 없으면서 무조건 부딪치면 되리라는 공상에 빠져 뛰쳐나온 자신이 가소로웠다.

경황없이 사춘기를 맞았지만, 진공상태 같은 수용소에서 세월은 한 해 두 해 흘러가 얼굴에 여드름이 돋고 수염이 거뭇거뭇 나고 있었지만, 아직 판단력이 단순한 철부지에 불과했던 것이다.


초조감 속에서의 시간은 더욱 빨랐다. 벌써 하늘이 진홍빛으로 물들기 시작하고 있었다. 용운은 급히 산을 타고 내려갔다.

그 후 며칠 동안 용운은 공상을 버리고 좀더 현실적으로 되자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몇 가지 새로운 사실들을 알아냈다. 어떤 부유물로 물을 건너는 것은 가능할지 모르나 통나무로는 어렵다는 것이었다.

물에 절반 이상 잠기는 통나무는 그만큼 부력도 적고 또한 발장구질 하나로 쉽게 앞으로 나아가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좀더 신중해져야 했다. 한번 실패하면 그 대가가 엄청나게 가중된다는 사실에서라도 그래야 할 터였다. 아무래도 피에로 형에게 의논해 보는 게 순서일 것 같았다.

어느 날 영농작업 중의 휴식 시간 때였다. 둑 위에 혼자 떨어져 앉은 피에로는 표정 연기를 하며 독백을 중얼거리고 있었다.

“인생은 연극이다…… 괴롭더라도 나의 배역을 잘하면 돼…… 네가 꿈을 꾸되 꿈의 노예가 되지 않고, 생각하되 생각 자체에 얽매이지 않고, 성취한 모든 것을 올바른 모험에 걸었다가 다 잃고도 처음부터 새로 시작할 수 있다면….”

“형.”

바싹 붙어앉으며 나직하게 부르자 그는 습관처럼 두 눈을 채플린처럼 껌뻑거리며 돌아다보았다. 저만치 저수지에서는 땀을 식히기 위해 원생들이 한창 물장난을 하고 있었다.

“나 형한테 물어볼 게 하나 있어.”

“뭔데?”


“형 지금 몇 살이야?”

“왜? 열여덟이다. 근데 왜?”

“아니, 그저 형이 열여덟이면 곧 여기를 나갈 수도 있겠구나 싶어서…….”

“나간다구? 왜?”

“왜라니? 여기 계속 있을 거야?”

“지금 여기서 즐겁게, 의미 있게 살면 돼. 어떤 곳으로 나간다고 꼭 행복해지는 건 아니야. 여기도 일종의 낙원일 수 있고, 단련의 장소로 활용할 수가 있다구. 이 세상 어디든 천당과 지옥은 있어, 화려한 왕궁 속에도…….”

“아무리 그래도 여긴 지옥이야. 가짜의 세계이니 꼭 탈출해야만 해.”

“가짜가 진짜고 진짜가 가짜일 수도 있어.”

쉽게 엄두도 못 낼 짓
삐에로 형과 탈출 논의


“형, 자꾸 영화에 나오는 배우 흉내 낼래? 그래, 좋아. 난 아름다운 꿈을 이루고 싶어서 여기서 나갈래.”

“흐흐, 장난이었어. 그래, 어떻게 나갈래?”

“우리가 여기 들어오던 날 사감 선생이 그랬잖아. 열여덟이 되면 내보내 줄 수도 있다고.”

그러자 피에로는 기가 차다는 듯 입꼬리를 올렸다.

“원, 순진하긴…… 야, 믿을 걸 믿어라. 열여덟 살에 내보내 줄 거라면 열여덟 넘은 놈은 뭐하러 잡아오냐? 그리고 스무 살도 넘는 고참들은 왜 아직 여기 있대냐?”

“글쎄, 그건 이상해. 근데 사감 선생은 왜 그런 말을 했지?”

“그건 그럴 만한 몇 가지 사가 있나 봐.”

“응?”

“우리가 들어오기 전에 여길 나간 애가 몇 명 있긴 있나 보더라구.”

“아니, 어떻게?”

“고아라곤 하지만 호적이 버젓이 살아 있는 애들도 있대. 그중에 몇 명이 여기서 곧바로 군대를 지원해 갔댄다.”

간혹 연고자가 찾아와서 데려가는 경우가 있다는 소리는 들었지만 그건 금시초문이었다.

“그리고 또 서너 명은 기술을 배워 나가게 됐구.”

“기술?”

용운이 물었다.

“가끔 육지의 목공소 같은 데서 견습공이 필요하다는 연락이 온댄다. 그럼 선감원에서 모든 걸 책임진다는 조건으로 까다로운 절차를 거친 다음 위탁교육 형식으로 넘겨 보낸대. 하지만 품행이 좋지 않거나 탈출 전과가 있으면 가망이 없댄다. 하늘에 별 따기지 뭐.”

그러더니 선감원에서 그 알량한 가능성을 두고 생색을 내는 것이라고 했다.

“그럼 우리에겐 별 희망이 없다는 얘기네?”

“그런 셈이지.”

피에로는 킥킥 웃었다.

“그런데도 형은 걱정이 안 돼? 언제까지 여기서 살 거야?”

“응? 너 무슨 말을 하고 싶어서 그래?”

“아, 아냐. 난 그저…….”

둘만의 비밀

“뭘 그러냐? 할말 있으면 탁 털어놓고 해봐.”

“좋아. 말할게. 이건 우리 둘만의 비밀이야.”

“알았어, 걱정 말고 해.”

용운은 주위를 살피고 나서 나직하고 빠르게 말했다.

“형, 이왕 희망이 없는 바에 우리 탈출하는 게 어때?”


<다음 호에 계속됩니다.>

 

-------------------------------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