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시사 정치팀] 박 일 기자 = 지난해 12월,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당시 당 대표서 사퇴한 후 두문불출해 왔던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본격 정치 행보에 나섰다. 한 전 대표는 지난 19일, 저서 <국민이 먼저입니다>를 출간하고 온라인 예약 판매를 시작했다.
그간 어떤 정치·사회적 이슈에도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던 그가 저서를 통한 본격 몸풀기에 나섰다는 게 정가에선 중론으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다.
저서의 공식 출간일은 오는 26일로 교보문고, 알라딘 등 대형 온·오프라인 서점에서는 아직 검색되지 않고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국민이 먼저입니다>엔 검찰총장 사퇴 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직 수락, 당 대표로 선출된 후 당을 운영해 오면서 느꼈던 소회들이 담겼다는 점이다. <국민이 먼저입니다>라는 제목도 눈길을 끈다. 이는 “사람이 먼저다”라는 문재인 전 대통령의 슬로건이 업그레이드됐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지난 17일, 친한(친 한동훈)계 인사는 “‘국민이 먼저’라는 한 전 대표의 정치적 원칙을 담은 책을 출간할 예정”이라고 밝혔던 바 있다. 이 인사에 따르면 총 384페이지 분량인 저서는 한 전 대표의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및 대표로 당을 운영하면서면서 느꼈던 소회와 향후 그의 정치 비전 등이 담겼다.
앞서 대표직 사퇴 두 달 만인 지난 16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한 전 대표는 “지난 두 달 동안 많은 분들의 말씀을 경청하고, 성찰의 시간을 가졌다”며 “책 한 권을 준비하고 있다. 머지않아 찾아뵙겠다”고 정계 복귀를 시하했던 바 있다.
이 같은 한 전 대표의 저서 출간 시점은 윤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사실상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게 아니냐는 해석이 팽배하다. 다만 헌재의 탄핵 심판이 기각될 경우, 낙동강 오리알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2022년 5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법무부 장관을 지냈던 그는 국민의힘의 비상대책위원장직 요청을 수락해 비상 상황서 당을 이끌었다. 이후 지난해 7·23 전당대회서 나경원·윤상현·원희룡 등 친윤(친 윤석열)계 후보들을 따돌리면서 당 대표로 선출됐다.
이후 한 전 대표는 지난해 8월28일 국민의힘 연찬회의 윤 대통령 불참, 연찬회 불참에 따른 오찬 미실시 논란, 의대 정원 확대 갈등 불화 등으로 인해 크고 작은 마찰을 빚었다. 현 권성동 원내대표 등 당내 친윤계 인사들과의 잦은 충돌도 끊이지 않았다.
국민의힘 내부에선 한 전 대표의 정계 복귀를 마뜩치 않아 하는 기류가 흐른다. 이는 앞서 비상계엄 시국 당시 윤 대통령의 탄핵을 주도하는 스탠스를 취했으며 해당 사안으로 친윤계 인사들과 사사건건 부딪쳤던 탓이다.
지난 19일, 대표적인 친윤계 인사인 김기현 의원은 “장수는 물러날 때와 나아갈 때를 잘 판단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서 헌재의 탄핵 심판 변론기일 변경 신청 불허 비판 기자회견 직후 취재진의 한 전 대표 저서 출간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의에 이같이 대답했다.
그는 “진격해야 할 때와 후퇴할 때를 제대로 판단 못하는 장수는 자신뿐 아니라 많은 분들에게 해악을 끼칠 것이라는 점을 유념하기 바란다”고도 했다.
일부 친윤계 인사들도 “지금은 한 전 대표의 시간이 아니다. 자숙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 “지금은 기지개를 켤 시간이 아니다” 등 곱지 않은 발언을 내놓고 있다.
반면, 친한계 일각에선 “사실 책 출간도 조심스러운 게 사실”이라며 “시간이 지났다고 해서 상황이 달라지는 것은 없다” “당내 반발이 이어지는 것도 자유고, 정계에 복귀하는 것도 자유다. 하지만 당분간은 두드려 맞아야 할 것 같다” 등 의견이 나왔다.
친한계 김종혁 전 최고위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난 두 달 내내 앞뒤 안 맞는 주장으로 한 대표를 공격하던 당내 기득권 정치인들, 아니나 다를까 왜 나오냐면서 펄펄 뛴다”며 “새로운 정치, 변화와 쇄신의 바람, 시대를 바꾸자는 열망이 불어닥치는 게 싫어서 그러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par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