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처 몰랐던 견묘 이야기> ‘댕쪽이 상담소’ 김태우 훈련사

2024.07.08 14:21:43 호수 1486호

“아무리 좋고 예뻐도 개는 개답게 키워야”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국어사전에 ‘반려’의 뜻을 찾아보면 ‘짝이 되는 동무’라고 나온다. 어느 덧 세상은 바뀌었다. 인간과 동물이 ‘반려’ 관계가 돼 살아가는 시대가 왔다. 반려동물의 수는 늘고 있고 시장 규모는 성장을 넘어 팽창 중이다. 그와 동시에 유기견, 펫티켓, 안락사 등 이면의 모습도 드러나고 있다. <일요시사>가 ‘1000만 반려동물의 시대’를 집중조명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 1월 연구보고서 <농업 전망 2024: 불확실성의 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를 발간했다. 보고서 5장에서는 ‘반려동물 연관 산업 현황과 대응 과제’를 다뤘다. 반려동물 시장이 불과 몇 년 새 국내서 얼마나 빠르게 성장했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찬반 양론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 양육 규모는 2012년 364만가구서 2022년 602만가구로 10년 만에 238만가구가 늘었다. 개체 수는 2012년 556만마리서 2022년 799만마리로 234만마리가 증가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반려동물 시장 규모는 2021년 2조9200억원에 달했고 2028년에는 4조1200억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바야흐로 반려동물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다양한 직업군이 우후죽순 나타나고 있다. 그중에서 ‘반려동물 훈련사’가 특히 이목을 끌고 있다. 반려동물 양육 가구와 개체 수가 증가하면서 ‘펫티켓(펫+에티켓)’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 훈련사는 이 과정서 인간과 반려동물의 공존을 돕는 역할을 맡고 있다. 

유튜브에는 반려동물을 소재로 한 ‘펫튜브’가 인기몰이 중이다. 종이 다른 개체가 함께 살아가는 모습을 담은 영상은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수의사나 훈련사 등 전문가의 시선으로 반려동물을 바라보는 채널 역시 주목도가 높다. 그래서인지 펫튜브 영상서 ‘갑론을박’의 장이 열리는 경우가 많다. 


실제 반려동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과도기에 접어 들면서 개인의 경험과 행동 양식이 충돌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그런 의미서 김태우 훈련사가 운영 중인 유튜브 채널 ‘댕쪽이 상담소’는 이른바 핫 플레이스다. 반려동물의 문제 행동을 교정하는 김 훈련사의 훈련 방식을 두고 찬반양론이 맞부딪치고 있다. 

지난달 26일 서울 용산의 한 스튜디오서 김 훈련사를 만났다. 김 훈련사는 인터뷰 내내 거침없는 입담을 뽐냈다. ‘이렇게 이야기해도 되나?’ 걱정될 정도로 강도 높은 지적도 서슴지 않았다. ‘말이 아니라 영상으로 보여주겠다’는 취지로 유튜브 채널을 시작한 패기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듯했다. 

김 훈련사는 유튜브를 시작한 지 1년5개월 만인 지난달 구독자 수 10만명을 달성한 채널에 주는 ‘실버버튼’을 받았다. 그는 “10만 구독자 채널 중에서도 단 10%만이 실버버튼을 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 그래서 더욱 의미가 크게 느껴진다”고 소감을 전했다. 현재(3일 기준) ‘댕쪽이 상담소’의 구독자 수는 14만7000명에 이른다.

유년시절의 외로움은 김 훈련사의 인생을 크게 바꿔놨다. 그는 “보육원 출신이라 외로움을 많이 느꼈다. 20대 초반부터 ‘빠마’라는 푸들을 키우면서 훈련사에 관심이 생겼다. 내 의지와 상관없이 버려진 경험이 있어서인지 유기견에 자연스럽게 눈길이 갔고 동질감을 느꼈다”고 회상했다.

사실 김 훈련사는 어린 시절에는 개를 그렇게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동네 슈퍼마켓, 오토바이 가게 사장님들이 하나같이 강아지를 키웠다. 그 당시에는 개를 목줄에 매서 키우는 분위기가 아니었다. 그래서인지 학교를 오갈 때마다 개들이 나를 물려고 해서 도망다녔던 기억이 난다”고 말했다. 

그랬던 김 훈련사는 방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강형욱 훈련사를 보게 된 뒤 훈련사의 길로 걷게 됐다. 그는 “어떻게 하면 유기견을 줄일 수 있을까 생각하던 찰나에 강 훈련사를 보게 됐고, 현장서 보호자의 인식을 개선하면 지금의 문제를 많이 해결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 훈련사를 하게 됐다”고 전했다.

김 훈련사는 “한국애견협회와 한국애견연맹 두 단체가 지정한 훈련소서 숙식을 하면서 스승님 어깨 너머로 일을 배웠다. 목욕하고 밥 주고 용변을 치워주면서 산책시키고 훈련하는 모든 과정을 1~2년간 배우고 난 뒤에 훈련사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외로움 달래려 키운 푸들
강형욱 보고 훈련사 도전

이 과정을 거쳐 김 훈련사가 처음으로 만난 개는 셰퍼드였다. 그는 “그 친구가 경비견 출신이었는데 정말 사나웠다. 내 실수로 견사문을 열어두고 다른 견사를 살피러 갔었는데 그 친구가 배회하고 있더라. 정말 무섭게 생겼는데 어떻게해서든 그 친구를 데리고 가기 위해 줄을 잡는 순간 옆구리를 물렸다. 그때 물린 상처가 아직도 있다”고 회상했다.

김 훈련사는 훈련 도중에 개에게 물린 상처가 많이 남아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개가 공격할 때 훈련사가 대응하는 방법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훈련사는 개에게 물리지 않게끔 움직임이 빨라야 한다. 예를 들어 경찰이 범인을 제압할 때 둔하면 안 되듯 훈련사도 몸놀림이 좋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훈련사의 교정 방식은 찬반 양론이 존재한다. ‘개를 개답게 훈련해야 한다’는 의견과 ‘학대’라는 의견이 갈리고 있는 것이다. 실제 김 훈련사는 개를 교정하는 과정서 옆구리를 찌르거나 바디 블로킹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간식 등 유화책을 이용해 개를 교정시키는 방식과는 차별화된 지점이다.

김 훈련사는 “시대의 흐름이나 배경이 많이 바뀌었고 정서도 변했다. 그 정서에 따라 나타난 교육법이 ‘오냐 오냐’ 방식이다. 누가 봐도 잘못된 행동인데 바로 잡지 못하고 시간이 흘러 간식으로는 절대 교정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새로운 자극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지금의 훈련법을 사용하게 됐다”고 전했다.

반려동물에게도 새로운 자극이기 때문에 효과는 즉각적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보호자의 행동에 따라 반려동물의 문제 행동이 다시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훈련사는 “사실 개 행동 교정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보호자의 행동 교정인 셈이다. 아무리 개를 교정해도 보호자가 이전의 모습으로 돌아가면 개 역시 그럴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김 훈련사는 한 마리의 개를 교정하는 데 2~4주가 걸린다고 설명했다. 개의 문제 행동에 대한 의뢰가 들어오면 시간을 두고 보호자와 소통하면서 영상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직접 대면해서는 개의 문제 행동과 성향, 환경뿐만 아니라 보호자의 행동, 지역 상권까지 살핀다.

그는 “지역 상권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어르신이 많이 사는 동네인지 도시인지에 따라 펫티켓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개 입마개 문제에 대해서도 소신을 밝혔다. 김 훈련사는 모든 견종에 입마개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맹견허가제가 도입되면서 인명피해가 발생했을 때 도시서 안락사가 가능해졌다”며 “길을 가다가 갑자기 손을 뻗는다거나 술에 취해 개를 부르는 식으로 사람이 개를 자극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러다 피해가 발생하면 개는 안락사를 당할 수밖에 없다. 이것을 예방하는 차원에서라도 모든 개가 (입마개를 해서)어떤 상황서도 사람을 물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언급했다.

소신대로


김 훈련사는 “개는 개답게 키우는 게 맞다. 때리고 학대하라는 의미가 아니라 사람은 사람답게 교육하듯이 개는 개답게 훈육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개를 개로 존중해야 하는데 개를 사람처럼 교육하다 보니 많은 문제가 생기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구독자가 영상을 보고 흔들리지 않으셔서 나도 흔들리지 않고 있다”며 “지금까지 해오던 그대로 소신껏 전진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jsjang@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