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데믹 이후…골프산업 피크아웃

2023.11.07 16:28:00 호수 1452호

지난 8월 코로나19 법정 감염병 등급이 2급서 4급으로 하향 지정됐다. 코로나가 독감 수준이라는 걸 공식화한 것이다.



자산시장에선 이를 두고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수혜를 얻었던 산업군의 입장에선 굳이 달갑지만은 않은 소식일지 모르겠다. 향후 부진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수혜 업종이었던 골프산업은 정점을 찍고 하향하는 이른바 ‘피크아웃(peak out)’ 중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으며 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관심이 쏠리는 분위기다.

지난 9월에 발표한 골프장경영협회의 조사 자료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대비 올해 상반기 100개사 골프장들의 내장객은 6.7% 감소했고,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5.2%, 24.5%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협회는 코로나 팬데믹 기간에 급등한 그린피로 해외 골프투어가 확대됐고 경기침체까지 맞물린 현상으로 분석했다. 일각에서는 다각적인 인플레이션 현상에 인건비를 비롯한 판관비가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금리인상 기조에 따라 금융비용이 급등한 것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반면 회원권 시장은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가 본격화된 이후 시세 하락이 있었으나 지난해 11월29일을 이후부터는 줄곧 상승 추세를 보였다. 지난 9월14일 기준으로 에이스회원권거래소 회원권지수(ACEPI)는 오히려 12.5% 상승을 시현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겠지만 시장에서는 투자 수요가 감소했더라도 우려했던 만큼의 시장이탈자가 발생하지는 않고 있다는 전언이다.

특히 골프장들이 매출·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회원제에서 비회원제나 대중제로 전환을 지속적으로 시도해온 가운데 골프회원권에 대한 희소가치가 커졌고 그린피 급등과 부킹경쟁이 한층 치열해졌다. 그 부담을 덜기 위해서라도 골퍼들은 회원권 보유가 여전히 유리하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골프장 내장객 6.7% 감소
회원권지수는 상승 추세

정작 골프업계의 피크아웃에 대한 부작용은 엉뚱하게 전개되는 면도 있다. 코로나 수혜가 끝난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예상과 다르게 골프 회원권 시세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자 유동성이 부실한 일부 대중제 골프장의 편법적인 회원권 분양과 유사 회원권이 다시 난립하는 양상을 지칭하고자 함이다.

특히 유사회원권은 과거 아예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확연한 사기기법보다는 담보가치가 떨어지는 토지와 숙박형 부동산 또는 국내 골프장가격의 10~20% 수준인 해외 골프장을 매입해서 회원권을 분양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그것도 M&A시장에서 논란이 있을 수 있는 ‘LBO(차입매수, Leverabed Buy Out)’ 기법을 사용하는 격으로 회원권을 최대치로 선분양하고 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해당 자산의 인수비용과 수익의 극대화를 위해 회원권을 분양하다보면 결국에는 예약이 안 되서 사용가치가 떨어지고 담보의 효용성까지 불안정해 지기 마련이다. 결국에는 과거 대형사기 사건으로 얼룩졌던 유사회원권과 비슷한 구조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일부에 국한되고 있다지만 지난해 개정된 ‘체육시설설치이용에관한법률’에도 불구하고 무늬만 비회원제인 골프장도 여전하다. 이들 중 대부분은 회원권을 편법 분양해 부족한 운전자금을 마련하거나 신설골프장들은 공사비 자금조달을 시도하는 곳들로 유동성의 위험이 있기도 하다.

중앙정부의 미온적인 분위기 탓인지 이를 적용하는 지자체별로도 온도 차이가 많기 때문에 보다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실정이다.

<webmaster@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