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친환경 생산체제 전환 앞당기며 그린 철강산업 선도

2022.05.26 13:45:30 호수 0호

100년 기업 초석 “세계 최고의 철강 경쟁력 더욱 공고히 할 것”

[일요시사 취재2팀] 김해웅 기자 = 포스코는 불확실성이 높은 경영환경에서 100년 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한 초석을 놓기 위해 지난 1월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확정했다.



지주사 포스코홀딩스는 그룹의 성장전략 수립, 미래사업 포트폴리오 개발, 그룹사업의 진단과 평가 등을 담당하며, 포스코, 포스코케미칼, 포스코인터내셔널 등 사업회사는 본업의 전문성 강화를 통해 2030년까지 기업 가치를 3배 이상 높인다는 계획이다.

그룹의 핵심인 철강사업을 담당하는 포스코는 지난 3월2일, 현장경험이 풍부한 철강 전문가로 김학동 부회장과 마케팅본부장인 정탁 사장을 초대 대표이사(각자대표)로 선임하고, 친환경 생산체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해 세계 최고의 철강 경쟁력을 더욱 공고하겠다고 밝혔다.

김학동 부회장은 취임사를 통해 “새롭게 시작하는 철강회사 포스코는 직원들이 안전하고 즐겁게 근무할 수 있도록 안전경영을 강화하고, 저탄소·친환경 생산체제 구축을 앞당겨 세계 최고의 철강 경쟁력을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수소 수요확대에 대비한 부생수소 생산체계 구축, 친환경 자동차 수요증가에 대응한 전기강판 설비 신설 등 미래선도사업에 맞춘 대규모 투자로 지역경제 발전에도 이바지하며 고객사, 공급사, 지역사회 등과 함께 성장하겠다”고 약속했다.

포스코는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대응하고 저탄소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제철공정 효율 개선과 환경투자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포항제철소는 비산먼지 저감을 위해 밀폐형 원료저장 사일로 8기를 준공했고, 광양제철소는 질소산화물 배출 감소를 위해 기력발전소에 9기의 친환경 청정설비를 설치하는 등 친환경 생산체제 구축에 앞장서왔다.


또 제철소 환경 유해물질 배출 저감을 위해 2017년부터 2024년까지 약 2조3600억원 규모의 환경개선 투자를 진행 중이며, 지난해까지 약 1조5800억원을 집행했다.

아울러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친환경 철강제조 공법으로 각광받는 파이넥스 기술의 세계 최초 상용화 경험을 기반으로, 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에도 성공해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미래의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해나갈 방침이다.

세계철강협회, 지속가능성 최우수 멤버로 선정

ESG경영을 선도하고 있는 포스코는 그간의 노력과 성과를 인정받아 지난 12일(한국시각) 영국 런던에서 열린 세계철강협회 상반기 정기회의에서 ‘지속가능성 최우수 멤버(Sustainability Champion)’으로 선정됐다.

올해 신규로 최우수 멤버에 오른 기업은 포스코가 유일하다. 세계철강협회는 2018년부터 140여개 회원사 중 철강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선도하는 회사들을 최우수 멤버로 선정하고 있는데, 올해는 지난해 최우수 멤버로 선정된 총 15개 철강사 중 6개 회사가 탈락하고 9개 회사만이 재선정될 정도로 경쟁이 치열했다.

최우수 멤버가 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성 우수멤버 선정 ▲스틸리어워드(Steelie Awards) 최종 후보 선정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지속가능성 데이터 제출 ▲소재·공정별 탄소 배출량(Life Cycle Inventory, LCI) 데이터 제출 등 다섯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포스코는 상기 5개의 조건 외에도 2050 탄소중립 선언, ESG 전담조직 신설, 선진 지배구조 구축 등 ESG 경영에 대한 노력과 성과를 인정받았다.

포스코그룹 최정우 회장은 “탄소중립과 친환경 미래소재 개발을 위한 포스코그룹의 끊임없는 노력이 만든 결실”이라며 "향후에도 기업시민 경영이념을 기반으로 철강산업의 ESG 경영과 지속가능성 분야 글로벌 트렌드를 선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친환경 전환 및 글로벌 성장 추진

포스코는 2030년까지 사회적 감축 10%를 포함해 이산화탄소 배출량 총 20%룰 저감한다는 목표로 친환경 생산체제 구축에 나선다고 밝혔다.


계획된 투자비용만 2조원에 달한다. 탄소중립의 첨병인 수소환원제철은 2030년까지 포스코 고유의 수소환원제철 모델인 HyREX(하이렉스)의 상용화 검증에 나선다.

동시에 석탄 사용 저감 기술과 전기로 도입을 통해 저탄소 제품 니즈에 대응하고, 친환경 브랜드 포트폴리오 확대를 통한 수익성 개선에도 주력해 2030년까지 평균 13%의 영업이익률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해외로는 2030년까지 총 12조원을 투자해 현재 510만톤의 조강 능력을 2310만톤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그린스틸(Green Steel) 생산에 유리한 지역을 중심으로 원료 및 에너지 파트너사와의 협력 체계를 강화해 글로벌 생산능력 증대에 나선다.

그린수소 생산 경쟁력이 우수한 인도의 경우 수소를 활용한 전략을 수립하고, 철강산업 성장 잠재력이 높은 동남아 시장을 겨냥해 인도네시아 일관밀 확장을 계획 중이다. 풍부한 철 스크랩 등 친환경 철원류를 보유하고 있고, 그린 스틸 변화를 주도하는 미국에서는 전기로 일관밀 합작을 고려 중이다.

호주 핸콕과 저탄소 철강원료 생산 나서

포스코는 지난달 핸콕이 보유한 호주 광산을 공동 개발해 고품질의 철광석을 확보하고, 석탄이 아닌 수소를 환원제로 활용하는 HBI 제조공장 신설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나아가 환원제로 사용되는 수소 또한 신재생에너지 기반하에 직접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말까지 양측은 상세 검토를 마치고 투자 방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포스코그룹과 핸콕은 오랜 기간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2010년 양측이 공동으로 투자한 로이힐 광산은 지난해 배당금으로만 수천억원의 수익을 가져다 줄만큼 국내 기업의 대표적인 광산투자 성공사례다.

최근에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핸콕에너지와 함께 호주의 천연가스 생산·개발 업체인 세넥스에너지(Senex Energy)를 인수하는 등 양사는 저탄소 원료, 에너지, 2차전지 소재사업(니켈, 리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비전을 공유하고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haewoong@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