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Walk in Emptiness' 최수환

2021.08.11 09:10:41 호수 1335호

구멍을 채운 빛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안구를 통해 본다는 것은 무엇인가?” 최수환 작가는 이 질문에서 출발해 사물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안구를 통해 사물의 표면을 읽어내는 방식에 집중했다. 대구 중구 소재의 봉산문화회관에서 최수환의 개인전 ‘Walk in Emptiness’를 선보인다. 



어둠 속에서 빛을 바라본다. 손에 잡힐 듯한 선명한 빛은 반짝임을 넘어 부유하는 이미지로 시각적 환영을 연출한다. 빛으로 형상된 풍경의 이미지는 보는 이의 움직임과 빛의 발산에 따라 유기적으로 바뀐다. 화려한 빛의 향연을 보고 있는 순간 문득 “무엇을 보고 있는 걸까”라는 실존적 의문이 떠오른다. 

보이는 것이

전원을 끄면 아무것도 없는 어둠의 공간에서 실존의 부재를 느끼는 순간, 모든 것이 허상으로 다가온다. 보이지 않는 어둠의 공간에서 오히려 감각의 예민함을 회복하며 사물에 대한 공정성을 담보하는 것처럼, 화려한 빛 형상 속에 배제된 감각과 사유를 직면하는 순간 진실에 한 걸음 다가가게 하는 역설적인 접근이다. 

20세기 초반부터 미술은 재료의 포용성을 가지며 쓰레기나 기타 물질 그리고 정크 아트와 같은 여러 종류의 ‘아상블라주’까지 재료의 범위를 확장하게 됐다. 아상블라주는 폐품이나 일용품을 비롯해 여러 물체를 한데 모아 미술작품을 제작하는 기법과 그 작품을 뜻한다.

최근에는 금속과 플라스틱 등 산업제품 및 전기기구 등을 활용하면서 그 범위의 한계를 벗어나고 있다. 


‘라이트 아트’는 물질의 수용을 뜻하는 ‘뉴머티어리얼스’를 미술에 적용한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전광을 이용한 패턴과 빛의 변화 등을 선보이며 산업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변화 과정을 거치는 중이다. 특히 LED(발광다이오드)의 상용화는 미술의 고정된 가치를 넘어서는 혁명적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안구를 통해 보는 사물의 본질
바늘로 뚫은 종이 너머에 전율

최수환도 우연이지만 필연적으로 인공의 빛을 작품으로 받아들이게 됐다. 유년 시절 유달리 기계에 관심을 보였던 작가는 전기와 관련된 제품을 분해하고 조립하는 것을 즐겼다고 한다.

계기는 미국 유학시절에도 있었다. 손목을 다쳐 붓질을 할 수 없게 됐을 때 최수환의 눈에 검정색 종이와 바늘이 들어왔다. 바늘로 종이에 구멍을 뚫고 조명에 비춰본 후의 전율은 작가에게 지금까지도 생생하게 남아있다. 

예술가는 미술에 대한 거대한 담론을 생성하거나 시대를 고찰하기 위한 창작활동을 하기보다도 개인적인 호기심에서 기인하거나 가벼운 유희에서 창작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최수환도 LED를 창작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이면서 사물의 본질에 대한 실체적 이미지를 숨길 수 있는 환영의 도구이자 직관과 감정, 이성적 사고가 조화롭게 적용되는 최적의 뉴머티어리얼스로 여겼다.

최수환은 초기 작업에서 초상이나 정물 등 주변의 오브제를 빛으로 재현했고, 이후 정교한 아라베스크 무늬와 같은 장식적이면서 추상적인 소재를 평면에서 입체로 넘나드는 환영적인 작업으로 연결시켰다. 그러나 최근 작품에서는 우리가 흔히 산책하며 볼 수 있는 풍경으로 소재를 변화시켰다. 

그는 “우리는 매일 미디어의 홍수 속에 살고 있고 자극적인 이미지로 시각적 스트레스에 노출되며 매일 무언가를 이야기하고 강요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며 “전시실에서 만이라도 관람객에게 편안함과 명상의 시간을 느끼게 하고 싶다”고 말했다.

동시대 미술의 난해함, 일방적인 소통, 가치의 사유화 등 전통적 형식에서 변형된 미술의 자극성에서 벗어나 관람객들과 편안하게 소통하며 다가가고 싶다는 의미다. 

천공 작업은 힐링
“편안한 소통되길”

최수환은 이미지를 찍어서 흑백으로 전환한 뒤 포토샵으로 원하는 명도로 조절한다. 이후 프린트를 한 후 라미네이터판에 붙인다. 음영에 따라 0.35~3㎜ 드릴을 이용해 구멍을 뚫는다.


그는 “일반적으로 천공 작업이 가장 힘들다고 생각하겠지만 내게는 힐링 포인트”라고 전했다. 한 작품을 완성하기 위해 하루에 10시간 이상, 수개월 동안 수만개의 구멍을 뚫는 과정이 명상의 시간이고 잡념을 없애는 수련의 시간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또 LED를 부착할 때의 빛을 조절하는 과정은 민감하다. 필라멘트 전구의 감성적인 빛과 다르게 LED는 폭력적이고 냉정한 빛이다. 컨트롤러를 부착하거나 맞는 제품을 설치해 빛의 온도를 조절해야 한다. 

최수환은 “인식된 사물의 형태와 표면을 물리적 제거(구멍)와 동시에 다른 매체(빛)로 채우는 과정에서 평면적 이미지가 입체적 이미지로 인지되는 시각적 착시가 생긴다”며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는 사물의 표피만을 보고 있는 것은 아닐까’ ‘우리가 보고 싶은 것만 보는 것은 아닐까’하는 질문을 통해 눈에 보이는 것만이 전부가 아님을, 그리고 익숙한 사물 인식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이해의 시작점이 되길 희망한다”고 설명했다.

전부가 아니다

봉산문화회관 관계자는 “지난한 과정을 거쳐야 하나의 작품이 완성되기 때문에 최수환은 쉽사리 많은 작품을 보여줄 수 없다”며 “대구에서 10년 만에 열리는 이번 전시는 모두 미발표 신작으로, 라이트 아트 광원 자체의 효과를 이용한 ‘Emptiness’ 연작 시리즈로 구성됐다. 관람객들에게 빛의 근원적인 속성에 다가가는 감각적 체험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를 드러냈다. 


<jsjang@ilyosisa.co.kr>

 

[최수환은?]

▲1972년 경주 출생

▲학력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석사 졸업(2006) 
추계예술대학교 미술대학 졸업(1998) 


▲개인전
‘기억공작소 최수환’ 봉산문화회관(2021)
‘COMPLEX EMPTINESS’ Pontone Gallery(2019)
‘Walk in Emptiness’ 표갤러리(2016)
‘from dot’ MakeShop Art Space(2015)
‘Walk in Emptiness’ 갤러리 이배(2015)
‘Emptiness’ 유아트스페이스(2012) 외 다수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