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현대미술의 거장 이강소

2021.06.29 11:00:02 호수 1329호

꿈속에서 놀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갤러리현대가 이강소 작가의 개인전 ‘몽유(夢遊, From a Dream)’를 준비했다. 199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완성한 회화 30여점을 소개한다. ‘화가’ 이강소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는 전시가 될 전망이다. 



이강소는 한국 현대미술과 동시대 미술사를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거장이다. 실험미술의 새로운 움직임을 이끌던 197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설치·퍼포먼스·사진·비디오·판화·회화·조각 등 매체에 구애받지 않는 왕성한 창작활동을 펼쳐왔다. 특정 사조나 형식적 방법론에도 안주하지 않았다. 

맑은 정신

1970년대 발표한 ‘여백’ ‘소멸(선술집)’ ‘무제-75031’ 등의 선구적 작품은 미술의 고정관념을 타파하고 세계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과 태도에 가차 없는 균열을 가했다. 갤러리현대는 2018년 이강소의 개인전 ‘소멸’을 개최, 그의 1970년대 역사적 실험미술 작품을 집중적으로 재조명했다. 

그리고 이듬해 이탈리아 베니스 팔라초 카보토에서 이강소의 초기 설치와 비디오, 근작 회화와 조각 등을 아우르는 특별전 ‘Becoming’을 베니스비엔날레 기간에 맞춰 개최하면서 국제적으로 주목받았다. 

이번 전시 ‘몽유’는 이강소가 갤러리현대에서 여는 4번째 개인전이다. 이전 전시는 이강소라는 거장과 그의 실험미술 작품이 한국 미술사에 남긴 의의를 학구적으로 탐색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신작 중심 회화 30여점 소개
매체 가리지 않는 왕성한 활동

반면 이번 전시는 이강소의 독창적 세계관이 회화 작품에 구체화되는 방식, 시각·형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 실험미술 작품과 1980년대부터 최근까지의 회화 작품이 공유하는 문제의식 등을 동시에 살피는 전시다. 

‘꿈속에서 놀다’로 풀이할 수 있는 전시 제목 몽유는 이강소의 철학적 세계관을 함축한 키워드이면서, 그가 작품에 담고자 하는 시대적 명제다. 이강소는 무척 자명해 보이는 이 세계가 실은 꿈과 같다고 해석한다. 

그는 “나에게 이 세계는 엄청난 신비로 가득하다. 동시에 정신 차릴 수도 없이 복잡하고 가공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만물은 생명을 다해도 그 원소들은 없어지지 않는다. 흩어지더라도 우주의 구조와 함께 알 수 없는 인과의 생멸을 거듭한다. 영원히 끝나지 않을 생멸의 연기는 우주 저 멀리까지 펼쳐질 것”이라고 전했다. 

이강소는 1970년대 선보인 실험적 퍼포먼스·비디오·설치작품을 통해 ‘회화는 무엇인가’에 대해 줄곧 탐구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회화 개념에서 벗어나는 실험을 감행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캔버스 천의 실밥을 한 올씩 뽑거나 찢어서 물질로서의 회화와 평면성을 동시에 제시한 ‘무제’ 연작, 자신의 벌거벗은 신체 곳곳에 붓으로 물감을 칠하고, 캔버스용으로 쓰이는 광목천에 물감을 닦은 후 그 천을 바닥에 펼친 ‘페인팅(이벤트 77-2)’ 등이다. 

이강소가 물감과 붓을 사용해 본격적으로 ‘그림 그리기’를 시작한 것은 뉴욕주립대학에 객원 미술가로 머물던 1985년부터다.

이 시기 화면을 뒤덮은 자유롭고 거친 그러면서도 리드미컬한 붓터치, 구상과 추상 사이를 미묘하게 오가는 형태와 수평의 구성, 숲이나 강 등 자연의 일부를 확대한 듯한 청색과 녹색의 조합이 인상적인 작품을 잇달아 완성했다. 

‘회화는 무엇인가’ 탐구
“회화 언어의 정수 만끽”

1980년대 말부터 몇 번의 붓질로 쓱쓱 겹쳐 그려 유령처럼 화면에 부유하는 새 무리와 뿔 달린 사슴을 떠올리는 특정 대상 등이 청색과 회색, 흰색 등 모노톤의 아스라한 화면에 불쑥 등장하는 이강소 특유의 회화적 언어와 구조가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1990년대 중후반부터는 ‘무제’라는 제목에서 벗어나 ‘섬에서’ ‘강에서’ 등 자연에서 모티프를 가져온 시적이고 서정적 제목의 연작을 발표했다.

2000년대 중반에 발표한 ‘샹그릴라’ ‘허’ 연작은 간결하면서도 힘이 넘치는 획이 강조된 작품들이다. 이후 2010년 중후반부터 현재까지 이강소는 ‘청명’이라는 제목의 회화 연작을 이어가고 있다.

청명은 여백의 미와 작가의 호흡과 리듬, 몸의 제스처를 고스란히 간직한 강렬한 획의 교차로 완성된 작품이다. 이강소의 작품 세계를 명징하게 드러낸다. 

이강소는 청명 연작에 대해 “내가 밝고 맑은 정신 상태를 유지하면서 붓질을 했을 때, 그것을 보는 관객도 ‘청명’한 기운을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술사학자 송희경은 “그림, 문자, 시의 공통된 특성인 함축, 여운, 기세가 집약된 시서화일률의 예술”이라고 청명에 대해 언급했다. 

갤러리현대 관계자는 “이번 전시에서는 일필휘지로 남긴 역동적인 붓질과 과감한 여백이 아름다운 대형 회화를 감상할 수 있다”며 “또 여러 층위로 칠한 거친 추상적 붓질과 1980년대 말부터 이강소의 작품에 아이콘처럼 등장한 새와 나룻배 등을 연상시키는 구체적 형상이 공존하는 회화도 소개한다”고 설명했다. 

청명한 기운

이어 “회색이나 흑백의 모노톤 회화와 극적으로 대비되는 형형색색의 눈부신 컬러를 사용해 무한한 공간성을 구현한 실험적 신작 회화 등도 함께 선보인다”며 “전시를 찾은 관람객들은 이강소가 지난 20년 넘게 전개한 회화적 언어의 정수를 만끽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드러냈다. 전시는 8월1일까지.


<jsjang@ilyosisa.co.kr>

 

[이강소는?]


1943년 대구에서 태어난 이강소는 고등학생 때 ‘청운회’라는 그룹을 결성해 경북공보관 화랑에서 전시를 기획했다.

1961년 서울대 회화과에 입학한 그는 1965년 졸업 후 ‘신체제’라는 미술 연구 모임을 결성해 본격적으로 현대미술 운동에 뛰어 들었다.

이후 1974년부터 김영진, 최병소 등과 함께 ‘대구현대미술제’ 창립에 주도적 역할을 하며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