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초대석> 천우희 “찬란하면서 가장 불안했던 20대에 대해”

2021.05.04 08:48:40 호수 1321호

불안을 떨쳐내다

[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최근 국내 미디어 콘텐츠 산업 내에서 여배우들의 입지가 커지고 있다. 플랫폼이 늘어나면서 콘텐츠의 다양성도 커질 뿐 아니라 여성 캐릭터를 앞세운 작품들도 대중의 관심을 받는다. 여성 서사 콘텐츠가 동틀 무렵부터 최전방에 있었던 천우희를 만났다. 새 영화 <비와 당신의 이야기>에서 기저에 깔린 불안을 떨쳐낸 천우희는 다시 한 번 인상적인 연기를 그려냈다. 



배우 천우희가 만든 캐릭터들은 어딘가 예민해 보인다. 가만히 있어도 불안하고 살 떨린다. 때론 무섭기도 하고, 때론 너무 아픈 상처를 지니기도 했다. 웃는 얼굴에서는 무언의 쓸쓸함이 스쳐 간다.

외롭거나

필모그래피가 이를 증명한다. 본드를 마시는 불량 학생이었던 <써니>를 시작으로, 수준 이하의 남성의 여자친구였던 <마더>, 말로 꺼내기조차 어려운 충격적인 사건을 경험한 뒤 삶의 길을 잃었던 <한공주>, 선인지 악인지, 사람인지 신인지 정체를 알 수 없었던 존재였던 <곡성>, 감정 기복이 심한 신인 드라마 작가였던 JTBC 드라마 <멜로가 체질>, 불안정한 현실에 치여 고통스러운 삶에 허덕이는 <버티고>까지, 천우희가 그려온 인물들은 외롭거나 힘겨웠다. 

고교시절 연극반에서 아마추어로 첫 무대에 오른 작품이 일제강점기 ‘성 노예 피해자’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다룬 연극 <반쪽 날개의 새>였다는 걸 보면, 그의 발자취는 자연스러운 흐름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런 천우희가 30대 중반에 깊은 내면을 표현해야 하는 인물 대신 일상을 섬세하게 그려야 하는 현실적인 인물을 택했다. 새 영화 <비와 당신의 이야기>에서다. 20대 초반부터 30대까지, 현실을 살아가는 소희를 연기한다. 


그간 천우희가 맡아온 역할과는 결이 다르다. 감정 소모가 큰 장면이나, 마음의 상처를 깊게 토해내는 장면이 없다. 흔히 볼 수 있는 공감 가는 인물의 평소 생활을 그려낸다. 

“감독님이 중점적으로 생각한 건 저의 다른 모습이었어요. 욕심을 많이 내셔서, 저도 궁금했어요. 극적인 부분보다는 잔잔한 인물이잖아요. 게다가 매 장면마다 예뻐 보이게 하시려고 노력을 많이 하셨어요. 저는 감사하죠.”

소희의 삶은 그리 녹록지 않다. 하나뿐인 언니는 희귀병에 걸려 손가락만 움직일 수 있다. 언니에게 주어진 삶은 약 한 달 정도다. 엄마와 함께 중고책 서점을 운영하고, 밤에는 언니를 돌본다. 힘든 나날이지만, 늘 웃음기를 잃지 않는다.

천우희 외에 다른 배우를 생각하기 힘든 캐스팅이다. 

“무거운 역할을 많이 했다 보니까, 제 나이 때 할 수 있는 역할에 갈증이 있었어요. <멜로가 체질>의 진주도 보면 현실에 딱 붙어있는 캐릭터는 아니거든요. 나이을 먹어가면서 청춘물을 해보고 싶었어요. 청춘물에서 멀어질까 봐 걱정도 있었고요. 이제라도 이런 작품을 해봐서 만족감이 커요.”

<비와 당신의 이야기>는 20대의 불안한 청춘을 대변한다.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화되던 세기말의 청춘들의 이야기다. 경쟁은 점점 더 치열해졌고, 환경은 하루가 다르게 변해갔다. 예상 못한 변화에 전 국가적으로 불안감이 급속도로 커진 시기기도 했다.

<비와 당신의 이야기> 통해 감성 멜로 연기
“내면 연기보다 제 나이 때 연기 하고 싶어” 

아날로그에 더 가까운 환경에 익숙한 소희에게 한 통의 편지가 온다. 언니를 꼭 만나고 싶다는 한 남자 영호(강하늘 분)의 편지다. 몸이 아프다는 말을 대신 전하는 게 마음에 걸렸던 소희는 여러 조건을 내걸며 오롯이 편지로만 소통하자고 한다. 편지를 보내면서 설렘이 시작된다. 

불안했던 이들에게, 편지는 오히려 삶의 동력을 준다. 얼굴도 모르는 사람의 긍정적인 마음이 어떻게 인생을 변화하는지를 말하는 작품이다. 

“꿈이 없어서 불안한 청춘도 있고 꿈을 포기해야 하는 청춘, 막연하게 꿈은 없지만 자신을 믿고 나아가는 20대도 있죠. 지금 와서 돌이켜보면 가장 찬란했던 것 같지만 가장 불안했던 시기가 20대였던 것 같아요. 저는 뭘 잘하는지 몰랐던 20대였어요. 막연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우연히 촬영 현장을 느끼면서 배우의 꿈을 가져갔어요.”


영화의 덕목은 내레이션으로 사랑을 나눈다는 점이다. 대부분 멜로 장르 작품은 두 남녀의 짙은 사랑 이야기를 담지만, 이 영화는 편지로 연애의 감정을 느낀다. 강렬하기보다는 잔잔하다. 상상력을 극대화시킨다.

“소희에겐 가뭄 속에 단비 같은 편지였던 거 같아요. 삶이 힘들잖아요. 소희의 노곤한 삶에 건강한 자극이 된 거죠. 언니에게 삶의 동력을 줄 아이템도 생긴 거고요. 영호의 편지는 지친 일상에 위안을 줬어요. 우리 삶도 그럴 때가 있잖아요. 나와 전혀 관계없는 사람의 말이나 글을 통해 위안을 받는 것처럼요. 저 역시 팬들로부터 종종 편지를 받는데, 제가 어떤 일을 열심히 해나가는 데 원동력이 되는 것 같아요.”

워낙 강한 내면을 표현해야 했던 20대를 지나 30대로 넘어오면서 천우희가 연기하는 인물들의 감정의 깊이는 조금씩 옅어지고 있다. 대신 순간순간의 디테일을 섬세하게 살리는 연기에 도전 중이다. 이번 작품 역시 감정의 폭은 깊지 않지만, 짧은 대사에서의 분위기를 정확하게 잡아내야 한다. 물론 그 연기 역시 일품이다. 

즐겁거나

“과거에는 경험이 없다 보니 인간 내면에 대해 많이 탐구할 수 있는 인물이 끌렸던 것 같아요. 한석규 선배님께서 ‘네 나이 때 할 수 있는 연기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는 말씀에 영향을 받아서 시각이 많이 바뀌었어요. 접근 방식과 선택이 달라졌죠. 이제는 막 분석하기보다는 즐겁고 재밌는 작품을 하고 싶어요. 그리고 저의 모습을 보여주는 데 집중하는 것 같아요.”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