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30주기 기념전 고 장욱진

2021.01.18 09:29:20 호수 1306호

집과 가족 그리고 자연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그림은 나의 일이고 술은 휴식이니까 사람의 몸이란 이 세상에서 다 쓰고 가야 한다. 산다는 것은 소모하는 것이니까. 나는 죽을 때까지 그림을 그려서 내 몸과 마음을 다 써버릴 작정이다. 저 멀리 노을이 지고 머지않아 달이 뜰 것이다. 나는 이런 시간의 쓸쓸함을 적막한 자연과 누릴 수 있게 마련해준 미지의 배려에 감사한다. 내일은 마음을 모아 그림을 그려야겠다. 무엇인가 그릴 수 있을 것 같다.” 장욱진 화백의 ‘강가의 아틀리에’(1965. 8).
 

▲ 장욱진, 동산, 1978, 캔버스에 유채, 33.4×24.2cm


1990년 장욱진 화백이 세상을 떠난 지 30년이 흘렀다. 현대화랑은 장욱진의 30주기를 기념해 ‘집, 가족, 자연 그리고 장욱진’ 전을 준비했다. 장욱진의 작품 세계를 관통하는 핵심 소재이면서 주제인 집과 가족, 자연을 테마로 삼아 그의 대표작 50여점을 소개한다. 

“나는 심플하다”

장욱진은 한국 근현대미술사에서 독보적 회화세계를 펼친 작가로 꼽힌다. 일상적 이미지를 정감 있는 형태와 독특한 색감으로 화폭에 담았다. 그의 그림에는 “나는 심플하다”고 강조하며 추구한 단순함의 미학과 소박한 삶의 이상향이 녹아있다. 

현대화랑은 1978년 ‘장욱진 도화전’을 시작으로 1979년 ‘장욱진 화집 발간 기념전’, 1999년 ‘장욱진의 색깔 있는 종이 그림’, 2001년 장욱진 10주기 회고전 ‘해와 달·나무와 장욱진’, 2004년 이달의 문화인물 ‘장욱진’, 2011년 ‘장욱진 20주기 기념전’ 등의 전시를 통해 장욱진과 오랜 인연을 이어왔다. 

이번 전시는 제목처럼 장욱진의 작품 세계를 구성하는 집, 가족, 자연이라는 모티프에 주목했다. 초기작부터 말년작에 이르기까지 그림 곳곳에 따로 또 같이 등장하는 세 요소에서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산업화 등 격동의 시대를 살았던 한 예술가의 시대정신이 포착된다. 


사각형과 삼각형의 간결한 형태로 표현한 ‘집’은 전쟁 이후 황폐해진 환경에서 작가와 가족을 보호하는 유일한 안식처였다. 덕소, 명륜동, 수안보, 신갈 등 시대별 각 작업실을 기준으로 그의 작업 양상을 논할 정도로 장욱진의 작품과 집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1978년부터 오랜 인연
대표작 50여점 소개

‘가족’은 장욱진이 전업작가의 길을 걸을 수 있도록 심적으로, 물적으로 도와준 고마운 존재이면서 그 자체로 사랑과 행복의 감정을 표상한다. 목가적 정취로 가득한 ‘자연’은 집과 가족의 보금자리이자 인간과 동물이 공존하는 평화의 장소이며, 작가의 도가적 세계관을 암시하는 곳이다. 

장욱진은 한적한 시골의 오래된 한옥과 정자를 손수 고쳐 아틀리에로 탈바꿈시켰다. 그의 화실은 어린아이처럼 순수한 시선으로 세상을 관찰하며 예술의 본질에 다가가려 노력한 예술가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1969년 작품 ‘앞뜰’에는 아내를 위해 덕소에 지은 한옥이 사실적으로 묘사돼있다. 1986년 작품 ‘아침’에 등장하는 집은 시멘트 담장을 헐고 토담을 지어 싸리문을 단 수안보의 시골집을 닮았다. 집 밖에서 뒷짐을 지고 밤하늘을 보며 생각에 잠긴 노인을 그린 1990년 작품 ‘밤과 노인’에 나오는 집은 작가가 아내와 둘이 살며 작업에 매진하기 위해 양옥으로 지은 마북동 화실의 모습이다. 
 

▲ 장욱진, 자화상, 1951, 종이에 유채, 14.8×10.8cm

집과 공간, 나아가 건축에 대한 장욱진의 관심은 그림의 조형적 질서와 구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는 집 혹은 나무를 중심으로 해와 달, 두 아이가 자연스럽게 좌우 대칭을 이루는 구도를 자주 사용했다. 또 화면에 타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기하학적 공간을 별도로 구성했다.

“나는 심플하다”는 장욱진의 자기 고백이 작고 간결하지만 응집력 강한 화면으로 표출된 것이다. 

장욱진은 아버지와 어머니, 아이들로 구성된 가족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그렸다. 그의 그림에서 가족은 작은 집안에 옹기종기 모여 있거나, 자연 속을 산책하거나, 한가로이 농촌 생활을 즐기는 모습이다. 생전 작가는 가족을 향한 자신의 사랑이 오직 그림을 통해 이해된다고 강조하곤 했다. 결혼기념일이 있는 4월과 부인의 생일이 있는 9월에 개인전을 열어 그 애틋한 마음을 전하기도 했다. 

해학·자유·순진무구함
아름다운 동화적 세계

소와 돼지, 닭 등 주변 동물을 그릴 때도 가족을 강조했다. 어미 소 아래에서 젖을 먹는 송아지, 마당을 뛰놀거나 하늘을 나는 어미 새와 새끼 새 등 어미와 새끼를 함께 그려 동물 가족을 묘사했다. 뒷동산에서 한가로이 노는 어른과 아이, 소와 돼지 그리고 하늘을 유유히 나는 새 가족의 모습은 장욱진이 우리에게 제시한 자연 속 가족의 이미지라 할 수 있다. 


장욱진에게 자연은 늘 영감의 원천이었다. 새벽에 일어나 집과 아틀리에 주변을 산책하며 하루를 시작한 그는 자연에서 전쟁으로 떠난 고향과 어린 시절에 대한 향수를 느꼈다. 그에게 자연은 인간과 동물을 품고 서로 다른 세계가 평화롭게 공존하고 조화를 이루는 장소다. 그 안에 작은 집이 있고, 가족이 모여 있고, 나무가 자라고, 동물이 산다. 
 

▲ 장욱진, 밤과 노인, 1990, 캔버스에 유채, 40.9×31.8cm

그는 시끄럽고 번잡한 도시를 떠나 삶과 예술의 터전을 마련했고 그곳의 비와 달, 바람까지도 사랑하며 주변의 풍광을 동화적인 모습으로 그려냈다. 원근과 비례가 자유로운 자연의 묘사에서 장욱진만의 풍류와 순수함이 도드라진다. 그의 그림 속 푸르른 생명력을 간직한 풍경은 자연과 벗하며 살기를 원했던 작가의 또 다른 초상이자 원초적 이상향이다. 

소박한 삶

현대화랑 관계자는 “이번 전시는 장욱진의 대표작 50여점을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는 기회이자 해학과 자유, 순진무구함이 깃든 그의 아름다운 조형 언어를 재확인하는 자리”라고 설명했다. 이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살 모든 관객에게 집의 소중함과 가족을 향한 사랑, 이제는 잊힌 깨끗하고 아름다운 동화적 세계를 다시 상상하는 특별한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전시는 다음달 28일까지.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