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을 때마다 아픈 '족저근막염'

2019.12.23 09:42:52 호수 1250호

한 걸음 떼기도 어렵다

족저근막은 발의 바닥에 넓게 퍼져있는 단단한 섬유성 결합조직 구조물로, 다섯 개의 발가락에서 시작해 발바닥 뒤꿈치 뼈의 전내측 부위에 분포해 걸을 때 발을 올려주는 역할을 한다. 발의 아치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부위에 염증이 생겨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족저근막염’이라고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4~ 2018년간 ‘족저근막염’ 환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5년간 연평균 9.6% 증가했다.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의 1.3배 많고, 50대(2018년 기준 6만7317명, 26.1%)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원인

최근 5년간 건강보험 가입자 중 족저근막염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17만9000명에서 2018년 25만8000명으로 44%(연평균 9.6%) 증가했다.
남성은 2014년 7만6000명에서 2018년 10만9000명으로 45.2%(연평균 9.8%), 여성은 10만3000명에서 14만8000명으로 43.2%(연평균 9.4%) 증가해 남녀 모두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8년 족저근막염으로 진료받은 여성은 57.4%(14만8125명), 남성은 전체 환자의 42.6%(10만9804명)로 여성이 남성보다 1.3배 많았다.
2018년 연령대별 전체 진료현황을 보면, 50대 환자(6만7317명, 26.1%)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40대(5만4904명, 21.3%), 60대(4만859명, 15.8%), 30대 (4만54명, 15.5%) 순으로 나타났다.
 

40~60대 여성서 가장 많아
서 있는 시간 늘어 질환자↑

여성은 50대가 4만5000명(30.9%)로 가장 많았고, 40대(21%), 60대(17%) 순으로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40대에서 60대의 진료인원이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많았다.
남성은 40대 2만3000명(21.6%), 30대(20%), 50대(19.7%) 순으로 나타났으며, 30~50대 모두 약 20%로 비슷한 진료인원을 차지하였다.
10만명당 연령대별 진료인원은 2014년 356명에서 2018년 505명으로 연평균 9.1% 증가했다.
여성은 2014년 413명에서 2018년 582명으로 연평균 8.9%, 남성은 2014년 299명에서 2018년 429명으로 연평균 9.4%증가했다.
박민정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족저근막염의 증가 원인에 대해 “족저근막염이 보통 40~60대의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이 연령대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증가하면서 서 있는 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질환 증가의 한 가지 원인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족저근막염 환자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4년 161억원에서 2018년 263억원으로 101억원이 늘어 연평균 13% 증가했다.
외래는 같은 기간 111억원에서 182억원으로 연평균 13.2%, 약국은 44억원에서 70억원(연평균 12.4%), 입원진료비는 2014년 6억원에서 2018년 10억원으로(연평균 13.3%) 증가했다.
2018년 기준, 진료형태별로 총진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외래 69.4%, 약국 26.8%, 입원 3.9%로 외래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족저부 날카로운 통증
“평소 편한 신발 신어야” 

족저근막염의 증상은 족저부 통증, 특히 발뒤꿈치 부위의 찢어지는 듯한 통증이 있다. 오랫동안 앉아 있거나 누워 있다가 갑자기 발을 딛을 때 뒤꿈치 주변부 발바닥에 찢어지는 듯한 날카로운 통증을 느낄 때가 많다.
40~60대 나이, 달리기나 장시간 걷기 등의 운동, 평발, 종아리(아킬레스) 근육 단축, 체중 증가, 족부 관절염, 서 있는 시간 증가, 불편한 신발(하이힐)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진단·검사는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이 중요하며 발목을 위로 들어 올릴 때 발 뒤꿈치 주변부로 당기는 듯한 통증이 있거나 족저부의 날카로운 통증을 느끼는 경우 족저근막염을 진단하게 된다. 엑스레이 검사상 종골의 돌출된 뼈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며, 초음파나 MRI 등으로 족저근막부위의 다른 질환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감별에 도움이 될 수는 있으나 이러한 검사가 진단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진통 소염제 투약, 운동 조절, 족저부 스트레칭, 깔창, 국소부위 스테로이드 주사 등의 치료 방법이 있으며, 6개월 이상 장기간 유지되는 통증이 있을 경우 체외 충격파 치료 등을 시행해 볼 수 있다.

진료↑

장시간 서 있거나 운동을 하는 경우에 수시로 족저부 스트레칭과 마사지 등을 시행하며, 과체중이 있을 경우 적절하게 체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발바닥 부위에 쿠션이 있는 편한 신발을 신는 것도 예방에 중요하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