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느는 '하지정맥류'

2019.11.25 09:41:40 호수 1246호

서서 일해도, 앉아서 일해도…

정맥은 동맥을 통해 심장에서 우리 몸 곳곳으로 공급됐던 혈액이 다시 심장으로 돌아오게 하는 통로이다. 이 중 팔다리에 분포돼 있는 정맥으로는 근육 사이에 놓여있는 큰 심부 정맥과 피부 바로 밑으로 보이는 표재 정맥, 그리고 이들 두 정맥을 연결하는 관통 정맥 3가지가 있다. 하지정맥류는 그 중에서 표재 정맥이 늘어나 피부 밖으로 돌출돼 보이는 것을 말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4~2018년간 ‘하지정맥류’ 환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연평균 5.4% 증가했다.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의 2.2배 많고, 40대 이후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해 50대(2018년 기준 5만2360명, 27.9%)에서 최고점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존적 치료

최근 5년동안 건강보험 가입자 중 하지정맥류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2014년 15만3000명에서 2018년 18만8000명으로 22.7%(연평균 5.4%) 증가했다.
남성은 2014년 5만명에서 2018년 5만9명으로 19.5%(연평균 4.7%), 여성은 10만3000명에서 12만8000명으로 24.2%(연평균 5.7%) 증가해, 진료인원과 연평균 증가율 모두에서 여성이 높게 나타났다.
2018년 하지정맥류로 진료받은 남성은 전체 환자의 31.7%(5만9450명), 여성은 68.3%(12만8174명)로 여성 환자의 비율이 2.2배 더 높았다.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최근 5년간 연평균 5.0% 증가했으며 2018년 적용인구 10만명당 연령대별 진료인원은 60대 이상이 699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618명, 70대 576명 순으로 나타났다.
2018년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보면, 50대 환자(5만2360명, 27.9%)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60대(4만290명, 21.5%), 40대(3만6511명, 19.5%) 순으로 나타났다.

40대에 급격히 증가
50대서 최고점 형성

남성은 50대가 1만4452명(24.3%)으로 가장 많이 진료를 받았고, 60대(1만4269명, 24.0%), 40대(9528명, 16.0%)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50대, 40대, 60대 순으로 남녀 모두 50대 이상 하지정맥류 환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기표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2.2배 이상 많은 원인에 대해 “정맥류가 남성보다 여성에서 많은 경향을 보이는 것은 여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여성의 경우 임신으로 인한 호르몬 변화로 인해 정맥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초산보다 다산의 경우 높은 빈도를 보인다. 출산 후 대부분 소실되기도 하지만 정맥확장이 심할 경우 소실되지 않고 진행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50~60대 하지정맥류 환자가 가장 많은 원인에 대해 “정맥류 발생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유전적인 요인도 있고 직업적인 요인도 작용한다. 오래 앉아 있거나 서서 일하는 직업의 경우 시간이 흐를수록 정맥의 탄력이 약화되면서 정맥류가 진행되고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50~60대에 병원을 많이 찾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경제적 여건이나 직장 문제, 활동 능력 등을 고려할 때 병원 접근성이 가장 용이한 연령층이 50~60대라고 생각한다. 병원을 찾는 나이가 50~60대에서 많을 뿐 실제 정맥류의 유병률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하지정맥류가 있다고 모두가 증상이 있는 것은 아니며, 하지정맥류가 외관상으로 없더라도 증상이 있을 수 있다.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은 하지 무게감, 부종, 가려움증, 벌레가 기어다니는 느낌, 저림, 그리고 야간에 발생하는 다리 근육 경련 등이 있다. 정맥류가 진행돼 그로 인해 발생하는 합병증으로는 하지 시의 갈색의 색소침착증이나 습진, 궤양 등이 있다.
 


남성보다 여성서 많은 경향
여성호르몬 영향으로 분석

치료 방법은 크게 정맥 혈관을 폐쇄하거나 제거하지 않는 보존적 치료 방법과, 수술적 치료 방법, 그리고 약물경화 요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보존적 치료 방법은 의료용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는 것과 정맥 활성 의약품을 복용하는 것이다. 압박 스타킹과 약품 복용이 정맥혈관의 변화를 원상태로 복원시키거나 진행을 막지는 못하지만, 정맥 순환 이상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수술적 치료 방법은 건강보험 적용을 받는 수술적 치료와 비급여 치료인 정맥내 폐쇄술이 있다. 정맥내 폐쇄술은 정맥내 열치료(고주파 폐쇄술, 레이저 폐쇄술)와 정맥내 비열치료(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정맥 폐쇄술, 경피적 기계화학 정맥 폐쇄술)로 나뉜다. 
급여치료인 수술적 치료는 혈관을 수술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며 정맥 내 열치료는 정맥 내 카테터를 삽입해 카테터 끝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정맥을 폐쇄하는 방법이고, 정맥 내 비열치료는 정맥 내에 카테터를 삽입하는 것은 정맥내 열치료와 유사하나 열을 이용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혈관을 폐쇄하는 방법이다. 
그 외에 약품을 혈관내에 주사해 혈관의 폐쇄를 유도하는 약물경화요법도 있다. 

수술적 치료

이와 같이 정맥류 치료법에는 여러가지가 있고 건강보험 급여치료인 수술적 치료보다 비급여 치료인 정맥내 폐쇄술의 비중이 훨씬 높으므로, 건강보험 청구 건만으로 정맥류 환자수와 진료비 통계를 내는 것이 실제 현실을 반영하는 통계라고 보기는 힘들다. 
한 가지 치료법으로 모든 환자를 치료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전문의의 진찰을 통해 환자마다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치료 방법을 선택해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