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관에 봉착한 박근혜 4대 악재

2009.01.20 09:41:45 호수 0호


결속 약화, 친박 견제 분위기…차기대권 슬로건 부재도 한 몫(?)
이재오 귀국 ‘친이·친박 대결’ 가시화… ‘전쟁 해야 하나?’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고민에 빠졌다. 당 안팎의 사정을 비롯해 차기대권 행보를 취하는 과정에서 적잖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어서다. 차기대권을 위한 슬로건 부재가 박 전 대표의 최대 고민이다. 여기에다 이명박 대통령과의 관계개선, 친박 내부의 결속력 저하 등도 신경 쓰이는 대목이다. 이 때문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당 안팎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핵뇌관을 제거해야만 차기대권주자로 한 걸음 다가설 수 있다고 말한다.




박근혜 전 대표가 연일 주판알을 퉁기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에 맞서 한 발짝도 물러날 기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여당 내에서도 야당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가 바로 그것이다. 특히 친박계 인사들조차 박 전 대표는 유력 대권주자라는 점에서 대권플랜을 위한 물밑활동을 가동 중이라고 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 전 대표의 고민은 갈수록 깊어져만 가고 있다. 한 친박계 인사는 “차기대권을 향한 행보를 취하고 있지만, 대선 승리를 위한 마땅한 슬로건이 없는 것이 최대 고민거리”라며 “이 대통령이 ‘경제’를 내세워 당선된 터라 또 다시 경제를 내세우는 데에는 무리가 있다”고 귀띔했다.

허태열, 김무성 견제 중?

실제 15대 대선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은 ‘경제 외교력이 있는 든든한 대통령 김대중’, 16대 대선에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새로운 대한민국, 낡은 정치 청산’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웠다. 특히 이 대통령은 ‘경제대통령’이라는 슬로건을 앞세워 승리했다. 그만큼 어떤 슬로건을 내세우느냐에 따라 대선 승리 여부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박 전 대표는 ‘차기 대권 슬로건’을 놓고 고심에 고심을 거듭할 수밖에 없다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또 ‘친박 내부 결속력이 저하됐다’는 소문도 박 전 대표가 풀어야할 숙제다. 친박계 한 관계자는 “최근 우리(친박계) 행보를 보면 기대 이하”라며 “이를 바라볼 때마다 한숨만 나온다”고 개인적인 견해를 드러냈을 정도다.


실제 박 전 대표의 핵심측근인 김무성 의원이 맹형규 정무수석과 서울 마포 한 호텔에서 가진 비밀회동 등으로 친박계 내부에서 뒷말이 무성했다. 일각에서는 김 의원이 독자행보를 취하는 것이 아니냐는 소문까지 나돌았다. 더 나아가 사석에서 김 의원이 박 전 대표에게 말을 높이지 않아 이들의 관계가 소원해졌다는 것.

정치권 안팎에서는 친박계에서 이를 의식한 듯 내부 결속력 강화차원에서 허태열 최고위원이 김 의원 측을 견제한다는 말까지 회자되고 있다. 이는 친이·친박 전쟁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내부 결속력이 강화되지 않으면 박 전 대표로서는 고전을 면치 못할 공산이 크다.

이재오 전 최고위원과의 관계도 박 전 대표가 넘어야 할 산이다. ‘이재오 3월 귀국설’이 가시화되면서 친박·친이간의 대결은 불가피하다.

이 전 최고위원의 복귀는 정치적으로 여러 가지 의미를 갖고 있다. ‘한반도 대운하 전도사’로 불리는 만큼 한반도 대운하 추진설이 계속적으로 불거질 수밖에 없을 뿐 아니라 이명박 정부 성공을 위해 강력한 카리스마를 발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

‘이재오 입각설’ 역시 박 전 대표로선 부담이다. 만약 입각설이 현실화될 때에는 당 장악과 함께 공룡여당이 청와대에 끌려 다닐 소지가 다분하다. 이 때문에 이들 간의 전쟁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이구동성이다.

이를 입증하듯 친박계 한 인사는 “이 전 최고위원이 정치재개를 한다면 여당의 분란은 당연한 일”이라며 “이 전 최고위원은 여당 내 ‘불협화음’의 진원지다. 그를 입각시킨다면 이명박 정부는 위험을 자초하는 일이 될 것”이라고 밝혀, 사실상 이명박 정부에 반기를 들 것임을 암시했다. 이 전 최고위원이 복귀하는 순간 박 전 대표가 ‘중대 결심’을 할 수도 있다는 얘기로 해석된다.

이 점은 이 대통령과의 관계 문제와 깊은 관련이 있다. 박 전 대표가 차기대권플랜을 위한 행보를 취하고 있는 만큼 이명박 정부가 성공해야만 대권의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게 친박계 한 관계자의 전언이다.

그러나 이들 간의 관계가 회복될 조짐은 여전히 미지수다. 물밑에서 양측의 관계개선을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지만, 이 대통령이 화해 모드를 취하지 않는 한 불가능하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박 전 대표 역시 이런 이 대통령을 믿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때문에 박 전 대표는 이 대통령과의 전쟁을 준비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실제 쟁점법안 처리 방식을 비판한 다음날인 6일 친박계 의원들은 긴급 모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언제까지 숨죽이고 지낼 수만은 없다”고 밝혀, 조만간 전면에 나설 것임을 암시했다. 대신 단서조항이 붙는다. 이명박 정부가 성공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협조체제를 가동할 모양새다.

그 일환으로 친박·친이 ‘빅딜설’이 공공연하게 나돌고 있다. 2차 입법전쟁을 지지하는 대신 4월 총선에서 친박계에 일정 지분을 준다는 것이 빅딜설의 주된 골자다.


2차 입법전쟁의 열쇠는 단연 친박계 인사들이 쥐고 있다. 이들이 ‘협조하느냐’, ‘하지 않느냐’에 따라 쟁점법안 강행처리 여부가 판가름 난다. 또 4월 재보선 지역구 중 하나인 경북 경주는 친이·친박 대결지역이다. 지난해 4·9총선에서 김일윤 전 의원에게 패배한 정종복 전 의원이 정치 복귀를 위해 바닥민심 다지기에 나서고 있고, 육군 장성 출신인 정수성 씨가 박 전 대표의 지원을 기대하면서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따라서 빅딜을 통해 서로간의 ‘윈·윈’전략을 쓸 수도 있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실제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과 한나라당 친박계 중진 의원들이 지난 13일 만찬 회동을 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무성, 허태열, 홍사덕, 송광호, 이경재 의원 등이 참석했던 것.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미디어 관련법 처리를 앞두고 이 법안에 부정적 입장을 밝혀온 친박 의원들을 만나 협조를 당부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어, 이를 수용하기 위한 ‘딜’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난무하고 있는 상태다.

이에 대해 친박계 한 관계자는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 간의 관계는 오래 전부터 깨졌고 신임도 잃어버렸다”며 “빅딜을 추진한다고 하더라도 이 대통령이 약속을 지킬지는 미지수”라고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냈다. 양측의 신뢰가 회생되긴 어렵다는 것을 반증하는 대목이다.

이처럼 박 전 대표는 당 안팎에 깔려 있는 핵뇌관으로 인해 여간 고민스러울 수밖에 없다. 친박계 내부 결속력 강화, 차기대권 행보를 위한 슬로건, 이 대통령과의 관계회복 문제 등으로 주판알을 퉁기고 있지만 상황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과연 박 전 대표가 곳곳에 놓여 있는 핵뇌관을 제거하고 차기대권주자로 거듭날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