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 핵기지 분강의 실체

2019.03.11 09:46:02 호수 1209호

보여주질 않으니 느는 건 의심뿐

[일요시사 정치팀] 김정수 기자 =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한의 비밀 핵시설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북미회담 이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놀랐던 것 같다”고 밝혔다. 리용호 북한 외무상은 “미국은 영변 외에 한 가지를 끝까지 주장했다”고 말했다. 북미회담이 ‘북한의 숨겨진 핵시설’을 이유로 결렬됐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이후 북한의 비밀 핵시설로 ‘분강’이 부상했다. 분강은 실재하는 핵시설일까.
 

▲ 악수 나누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노동신문


2차 북미정상회담은 만찬이 예정보다 늦춰지기 전까지 긍정적인 분위기였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회의 결과를 공개적으로 낙관했다. 그러나 만찬과 서명식은 취소됐고,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앞당겨 진행했다. 결국 이번 북미회담은 빈손 회담으로 마무리됐다. 동시에 북미가 합의문에 서명하지 못한 이유를 두고 여러 관측들이 쏟아져나왔다.

무슨 시설?

설득력을 얻게 된 건 북한의 ‘숨겨진 핵시설’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이후 기자회견서 “북한은 영변 핵시설 해체에 동의했지만 미국은 더 많은 것을 원했다. 추가적인 비핵화가 필요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가 발견한 게 있었다”며 “우리가 알고 있다는 사실에 북한이 놀랐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리용호 북한 외무상은 “미국은 영변 지구 핵시설 폐기 조치 외에 한 가지를 더 해야 한다고 끝까지 주장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리 외무상의 발언으로 영변 외 핵시설에 대한 관심이 증폭됐다.

주목을 받은 곳은 ‘강선’이었다. 강선은 북한의 비밀 핵시설로 평양 외곽의 천리마 구역에 위치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선은 미국 언론에서도 소개됐다. 미 언론은 강선을 2010년부터 운영된 비밀 우라늄 농축 시설이라고 밝혔다. 우라늄 농축은 핵무기 제조를 위한 핵심 단계다.


미 정보당국은 강선에 대해 오래전부터 파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은 지난 3일 KBS 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강선 쪽에 있는 우라늄 농축 시설, 지금 영변에는 한 4000개 있지만 그게 1만2000개가 넘는다는 얘기는 미국의 국방정보국 DIA 쪽에서 이미 작년 6월에 흘러나왔던 얘기”라고 설명했다. 

강선 외에도 이미 알려진 북한의 핵시설은 꽤 된다. 평안북도 박천과 태천, 그리고 천마산은 우라늄 농축 시설이 있는 곳으로 꼽힌다. 황해북도 평산과 자강도 하갑, 양강도 영저리도 마찬가지다.

이 외에 지난 5일 분강이라는 곳이 새롭게 등장했다. 지난 5일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영변 외에 발견한 것은 분강 지구 지하에 있는 고농축 우라늄 시설이었다. 다른 소식통에 따르면 “분강 지구는 기존 영변 핵단지의 북서쪽에 위치해 있고, 북한은 외부서 탐지하는 것을 우려해 이곳 지하에 고농축 우라늄 공장을 만들어놓은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국방부는 이날 브리핑서 “분강은 시설이 아니고 영변 내에 있는 일부 지역의 지명”이라고 설명했다. 노재천 국방부 공보담당관은 분강 내 영변 핵시설 포함 여부에 대해 “확인해드릴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회담 결렬 요인 숨겨진 핵시설 주목
영변 공개 없이 ‘제2의 분강’ 불가피

서훈 국정원장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간담회에 참석했다. 국정원은 이 자리서 “분강은 영변 핵시설이 위치한 행정지구의 이름”이라며 “별도로 있는 게 아니라 분강 안에 영변 핵시설이 있다”고 밝혔다.

결국 분강 지구는 영변 내에 있는 지역의 이름으로 영변 핵시설이 위치한 곳이라는 것이다. 분강 지구가 기존의 영변 핵시설과 크게 다를 바 없다는 해석이다. 실제로 영변 핵시설은 과거 ‘분강리 소재’로 분류되기도 했다. 분강리는 분강 지구의 옛 이름이다.

분강 지구 내 핵시설은 과거에도 조명을 받았다. ‘최주활 청문회’가 그 예다. 북한군 상좌였던 최주활씨는 1995년 탈북해 한국으로 입국했다. 최씨는 탈북자 중 최초로 1997년 미국 상원 청문회서 북한 핵무기와 미사일 등에 대해 증언했다.

당시 최씨는 분강 지구의 존재에 대해 언급했다. 다만 분강이 영변 내 지역이름이고, 과거에 여러 차례 언급됐다고 해서 북한의 비밀 핵시설 자체에 대한 의구심을 완전히 거두기는 어렵다.
 

▲ ⓒ노동신문

강선과 분강 등 영변 외 비밀 핵시설이 꾸준히 언급되는 까닭은 영변 핵시설의 실체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영변에는 연간 5~7㎏의 플루토늄을 생산할 수 있는 5㎿e 흑연로와 2000대 정도의 원심분리기가 설치돼있다고 알려져 있다. 핵무기 1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고농축 우라늄 25kg이 필요하다. 이를 생산해내려면 원심분리기 750∼1000대를 1년 동안 가동해야 한다.

영변서만 매년 2개의 핵무기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북핵에 대한 영변 핵시설의 비중을 일각에선 절반 이상으로 보는 반면, 다른 한편에선 절반 이하로 판단한다.

영변 폐기는 비핵화의 출발선으로 여겨진다. 북한은 이번 정상회담서 비핵화 조치로 영변 폐기를 제시했다. 그러나 미국은 추가 비핵화 조치를 요구했다. 영변의 실체가 불분명하고, 영변 이외 지역서 비밀 핵시설로 의심되는 곳이 하나둘 발견됐기 때문이다. 미국이 영변과 함께 플러스알파를 내세운 까닭이다. 영변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다는 의심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검증 핵심

핵심은 영변의 검증이다. 영변에 대한 검증과 폐기 이후 북미는 본격적인 비핵화의 출발에 나설 공산이 크다. 영변 이외 핵시설은 그 이후 단계적 검증과 폐기의 궤도에 오를 수 있다는 해석이다. 결국 영변에 대한 실질적 조치가 없는 한 제2의 강선, 제2의 분강은 지금과 같이 주목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kjs0814@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실망한 트럼프?

북한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을 복구하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일(현지시각) “매우 매우 실망스러울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해 6월 1차 북미정상회담 직후 동창리 발사장 해체 작업에 착수한 바 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련 보도의 사실 여부에 대해서는 너무 이르다며 조심스러워했다.


일각에선 해당 보도를 두고 북한이 2차 북미회담 이후 무력시위에 나선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