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초대석> ‘걷기 전도사’ 성기홍 박사

2018.11.05 08:57:29 호수 1191호

“걷자, 그러면 치매 잡는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걷기’가 운동의 영역으로 들어온 건 불과 10여년 전이다. 그때까지만 해도 걷는 행위를 두고 운동을 한다고 말하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걷기 전도사’ 성기홍 박사는 걷기를 운동의 영역으로 끌어들인 인물이다. 최근 그가 새로운 도전에 나섰다. 걸음 속도로 치매를 조기 예측하고, 걷기 운동으로 치매를 예방하는 대국민 프로젝트의 시작이다.

성기홍 박사가 ‘일요시사’와 인터뷰를 갖고 있다.


치매는 ‘세상서 가장 슬픈 병’으로 불린다. 주변 사람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 잊는 병이기 때문에 가족의 고통은 극심하다. 치매가 사회 문제로 떠오르자 문재인 대통령은 ‘치매 국가책임제’ 정책을 통해 돌봄의 주체를 국가로 확대했다.

치매 환자↑

하지만 문재인정부의 정책은 이미 치매에 걸린 환자와 보호자에 집중돼있다. 치매 예방이라는 선제적 조치가 빠져 있는 셈이다. 성기홍 박사는 이 부분에 착안, 치매를 조기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성 박사는 “30년 동안 우리나라 걷기 문화를 앞에서 이끌었다는 자부심이 있다”며 “3년 전부터 걷기의 마지막 결정판을 내야겠다고 생각했고, 논문을 읽다 치매 문제에 다다르게 됐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강남의 한 사무실서 성 박사를 만났다. 1988년부터 30년 동안 걷기에 매진한 그는 국내외 걷기 관련 행사에 빠지지 않고 초청받는 걷기 전도사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시작부터 그 길이 순탄했던 건 아니다. 1987년 스포츠 신문 인턴기자로 활동하던 성 박사는 한글학자 고 한갑수 박사를 만나게 됐다.

당시 한 박사는 한국보행연맹이라는 단체를 만들어 ‘아이들을 바르게 걷게 하자, 많이 걷게 하자, 건강하게 걷게 하자’를 목표로 삼았다. 이 만남 이후 성 박사의 인생은 걷기라는 길로 들어서게 된다.

그해 9월 일본 도쿄 인근 사이타마현 히가시마쓰야마시서 열린 ‘일본 3데이 마치’ 대회는 성 박사가 걷기 운동에 몰입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했다.

그는 “일본 3데이 마치는 20㎞, 30㎞, 40㎞, 50㎞ 등 체력에 맞게 코스를 선택해 걷는 대회”라며 “당시 참가비가 3000엔(3만2000원) 정도였는데 하루에 5만명씩 몰리는 것을 보고 놀랐다”고 설명했다. 일본서 걷기에 대한 열기를 확인한 그는 국내에 걷기 문화를 정착시킬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30년간 걷기 연구
처음엔 외면받아

하지만 국내 사정은 일본과 달랐다. 성 박사가 걷기 운동에 대해 말을 꺼낼라치면 “걷기가 무슨 운동이야” 등의 핀잔이 쏟아지기 일쑤였다. 이 같은 반응은 성 박사가 KBS 다큐멘터리 <생로병사의 비밀> 팀과 만나 만든 파일럿 프로그램 ‘걷기도 운동이다’ 편이 큰 호응을 얻으면서 반전됐다.

특히 2003년 방송된 ‘걷기 혁명 530’은 국내에 걷기 붐을 일으켰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걷기를 각종 성인병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필수운동으로 보고 ‘530걷기’를 슬로건으로 내세웠다. 1주일에 5일, 1회에 30분 이상 걷기를 통해 건강한 삶을 유지하자는 취지다.

이후 파워워킹, 마사이족처럼 걷기, 하루 1만보 걷기 등 걷기 운동법이 물밀 듯 쏟아졌다.

성 박사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걷기를 예측과 치료의 영역으로 확장시키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지난해 9월 국내 최초로 설립된 ‘치매 걷기 연구소(6th Vital Sign Lab)’가 전초기지다. 6th Vital Sign은 여섯 가지 생체 신호를 의미한다.

성 박사는 “우리 몸에는 체온, 혈압, 심장박동, 호흡수, 통증 등의 생체신호가 있다. 여섯 번째가 바로 걸음 속도”라며 “걸음 속도로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의 건강상태를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성 박사에 따르면 걸음 속도로 치매의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를 파악할 수 있다. 경도인지장애는 건망증과는 다르다. 건망증은 ‘깜빡’ 하는 것이지만 경도인지장애는 그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간 것이다.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10∼15%가 치매로 발전한다. 다시 말해 경도인지장애를 조기에 발견, 치료에 들어가면 치매 발병을 늦출 수 있다.

성 박사는 “치매는 일반적으로 65세 전후로 나타난다. 치매 환자는 본인이 모를 뿐 50세부터 이미 발병했다고 보는 게 맞다”며 “초기 5년은 무증상 상태로 병이 진행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반적으로 50세부터 걸음 속도가 느려지는데, 노화의 경우 완만하게 느려지는 데 반해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걸음 속도가 급격하게 떨어진다”고 덧붙였다.

기준은 평균 걸음속도인 1초당 1m다. 즉 1초에 100㎝를 기준으로 이보다 현저하게 느릴 경우 경도인지장애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미국이나 유럽에서 경도인지장애, 치매를 판단할 때 초시계를 들고 환자에게 걸어보라고 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병원을 찾아 초시계를 들고 자신의 걸음속도를 측정할 수는 없다.

걸음 속도로 치매 예측
치료 역시 걷기가 최고

그래서 성 박사는 개인이 자신의 걸음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디멘시아 워처(Dementia Watcher, 치매 관찰자)’를 개발했다. 메모리칩이 삽입된 신발을 신고 스마트폰에 앱을 깔아 동기화시키면 된다. 그러면 하루 동안 이용자의 걸음과 관련된 모든 것이 기록된다. 걸음 수는 물론 걸음 속도, 발 각도, 보폭, 몸 전체의 균형 정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기록은 3일, 1주일, 월 단위로 누적된다. 그래프는 다섯 단계(매우 좋음-좋음-보통-나쁨-매우 나쁨)를 색깔별로 나눈 배경화면에 그려진다. 성 박사는 “월 평균 기록을 주의 깊게 봐야 한다”며 “월 평균 기록이 3개월 정도 레드존(나쁨)에 걸리면 뇌에 이상이 왔다는 신호”라고 경고했다.

‘걷기 전도사’ 성기홍 박사

경도인지장애가 의심될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성 박사는 이번에도 걷기를 답으로 내놨다. 하루에 30분씩 걷되 빠른 속도로 뇌를 혼란스럽게 만들면서 걸으라고 주문했다. 또 보폭을 크게 하거나 박수를 치는 등 걸을 때 동작을 크게 하는 것도 인지장애 극복에 도움을 준다고 전했다.

오감을 자극할 수 있는 산이나 바다, 숲에서 스틱 등의 도구를 이용해 걸으라고 덧붙였다.


성 박사는 걸음 수보다는 걸음의 질에 집중하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40대 이후부터는 많이 걷는다고 마냥 좋은 게 아니다”며 “걸음 수보다는 걸음의 질에 초점을 맞추는 게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전 국민 보급

성 박사의 목표는 디멘시아 워처와 메모리칩이 삽입된 신발을 전 국민에게 저렴하게 보급하는 것이다. 그는 “우리나라에 현재 등록된 치매 환자는 75만명이다. 등록되지 않은 환자까지 합치면 100만명을 훌쩍 넘길 것”이라며 “이보다 더 많은 수의 사람이 ‘설마 내가 치매에 걸리겠어’라고 외면하면서 살아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치매 환자에 드는 비용은 1년 동안 1000만∼3000만원에 이르는데, 디멘시아 워처의 보급으로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 감소 효과가 나타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