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희 칼럼> 대학, 시민평생교육의 장으로

2018.10.08 10:33:15 호수 1187호

지난달 8일,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시행한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평가 결과가 확정 발표됐다. 기본역량 진단 대상인 323개 일반대학과 전문대학 중 86개 대학이 ‘역량강화대학’ 또는 ‘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분류돼 정원 감축 권고와 재정지원 제한을 받았다. 학령인구 감소 등에 따른 대학의 위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다. 

대학의 위기는 하루아침에 닥친 것이 아니다. 2000년대 초, 출생아 수가 급감했을 때부터 이미 예견된 것이었다. 다가올 어려움에 대응할 수 있는 긴 시간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대학은 이에 충분히 대비하지 않았다. 외국인 학생을 유치하려는 노력을 한 정도에 그쳤다. 



이대로라면 대학의 위기는 점점 심화될 것이다. 향후 2∼3년 동안 약 38개 대학이 폐교될 것이라는 교육부의 전망은 결코 과장된 것이 아니다. 모든 대학이 어려움을 겪겠지만 특히 중소도시나 농촌지역에 위치한 지방대학이 큰 타격을 입을 것이다.

대학의 폐교는 비단 대학만의 문제가 아니다. 대학이 없어지면 그에 의존하던 요식업, 임대업, 소매업 등도 영향을 받아 지역경제도 무너지게 될 것이다. 학업과 생활의 터전을 잃은 학생과 교직원이 떠나면 지역사회는 피폐해지고 공동화될 것이다. 

대학의 위기는 현실이 됐지만 아직 시간은 남아있다. 지금부터라도 대책을 마련해 신속히 대응한다면 어려운 여건서도 대학들은 그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대학이 정규 고등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을 넘어 지역공동체의 구심점으로 거듭나야 한다. 

다양한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해 다양한 지식과 기술이 생성되고 공유되는 플랫폼이 돼야 한다. 각종 학위과정 외에도 일반 시민을 위한 교육과정을 풍부하게 열어야 한다. 

노동권 교육이나 금융 관련 교육을 통해 시민이 갖춰야 할 소양을 교육할 수도 있고 우리 사회에 일원으로 안착한 다문화가정을 포용하기 위한 다문화 교육도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방학 기간에는 강의실이 유휴시설로 남게 되므로 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서는 여느 공원 못지않게 뛰어난 조경을 자랑하는 대학 캠퍼스를 축제의 공간, 소통의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도 고려해봄직하다. 대학의 규모가 축소되면서 생긴 유휴부지를 캠핑장이나 주말 농장으로 변모시켜 자연학습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원예학과 교수가 이론을 설명하고 원예 실무종사자가 기술을 지도하는 모습도 그려볼 수 있다. 

이 같은 변화를 통해 대학은 다시 살아나 사회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서 대학 고유의 정규고등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도 유지·강화될 것으로 믿는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구성원들의 열린 마음과 전향적 시각이 필요하다. 국가의 정책적인 지원과 법률의 개정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현존하는 대학 중 가장 오래된 대학은 1088년 개교한 이탈리아의 볼로냐대학이라고 한다. 그 외에도 수백년 역사를 자랑하는 대학이 많고 한국의 대학들도 사람으로 치면 칠순을 넘긴 대학들이 상당수 있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대학은 오랜 세월동안 세상의 변화를 주도하거나 적응하며 발전해왔다. 대학의 위기가 기정사실화된 것처럼 여겨지고 있지만 대학이 이를 딛고 다시 한 번 도약하기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