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서울제약 ‘수상한 대행사’ 추적

2018.09.10 18:45:16 호수 1183호

돈 아끼려고 만들었다는데…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제약업계서 판매대행사(CSO)의 인식은 곱지 않다. 비자금 조성, 불법 리베이트 살포 등의 원흉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서울제약은 몇 해 전 CSO를 설립했다. 관련 비용을 줄이기 위한 선택이라고 알려졌지만 설립 후 오히려 비용이 증가했다. 문제는 해당 CSO사가 오너 일가의 개인회사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일요시사>서 관련 내용을 추적했다.



제약업계에선 최근 판매대행사(CSO)에 대한 자정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동안 CSO를 통해 리베이트 살포 등의 문제가 끊임없이 이어져왔기 때문이다. 지난 4월 리베이트 살포로 유죄가 선고된 유유제약의 경우도 CSO를 통해 리베이트를 살포했다.

리베이트 온상

당시 재판 결과에 따르면 유유제약은 2014년 2월 매출 급감 등으로 경영이 어려워지자 유유제약 임원을 대표로 CSO를 설립했다. 또 영업사원 10명을 개인사업자로 위장해 대행수수료를 지급하는 것처럼 꾸며 비자금을 조성해 리베이트를 제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제약업계도 최근 이같은 인식을 개선하고자하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국제표준화기구 ISO 37001을 도입하거나 도입 준비 중인 업체가 늘어나고 있는 것. 

이들 업체는 대웅제약, 대원제약, 동아ST, 유한양행, 일동제약, 코오롱제약, GC녹십자, JW중외제약, 한미약품, 동구바이오, 명인제약, 보령제약, 삼진제약, 안국약품, 휴온스글로벌, 종근당, 제일약품, 엘지화학, CJ헬스케어, SK케미칼생명과학부문, 한독, 글락소스미스클라인, 한국아스텔라스제약, 한국얀센, 동국제약, 신풍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화약품 등이다.


서울제약 역시 이 같은 대열에 동참했다. 지난 7월 서울제약은 하반기 부패방지경영시스템의 국제표준 ‘ISO37001’의 인증 추진 계획을 밝히며, ‘2018년 서울제약 준법경영 강화 선포식’을 개최했다.

김정호 대표는 “우리 회사는 그 동안 지속적으로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ompliance Program, CP)을 강화해왔다”며 “이에 그치지 않고 CP 운영체제를 지속적으로 보완, 개선해 경영활동에 반영함으로써 윤리경영을 적극 실천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앞서 서울제약은 CSO 업체인 헤스티안을 설립해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헤스티안은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등의 판매를 사업목적으로 2016년 10월17일 설립됐다. 대표이사는 대웅제약과 JW중외제약을 거친 안상순씨가 맡았다. 

헤스티안은 인건비와 마케팅 비용 등에 들어가는 지출을 최소화해 부진한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제약이 헤스티안 설립후 지출하는 판매수수료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금융시스템에 따르면 서울제약의 지난 상반기 판매수수료는 49억7517만원이다. 전년동기 35억4388만원에 비해 14억3128만원 넘게 상승했다. 2016년 상반기에는 23억7509만원 수준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최근 2년 사이 2배 넘게 증가했다.

비용 절감 위해 CSO 헤스티안 설립
매출은 그대로인데 판매수수료 급증

반면 서울제약의 매출은 보합세를 나타냈다. 반기보고서 기준 2016년 221억9748만원, 2017년 200억6105만원, 올해 230억6536억원 수준을 기록했다. 판매수수료 증가분만큼 효율적인 마케팅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오는 지점이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제약은 헤스티안을 계열사로 분류하고 있지만 정확한 지분율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 특히 주석을 통해 헤스티안을 ‘기타특수관계자’로 분류하고 있어 오너일가의 개인회사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헤스티안을 눈여겨 봐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현재 서울제약의 지분관계를 살펴보면 황우성 서울제약 회장이 20.78%로 최대주주 신분이다. 황 회장과 특수관계인의 지분을 합치면 46.58% 수준까지 올라간다.

서울제약이 헤스티안에게 몰아주는 일감의 규모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서울제약은 올해 상반기 48억8450만원의 판매수수료와 4억1928만원의 용역수수료를 헤스티안에게 지급했다. 헤스티안이 설립 후 첫 상반기인 지난해 상반기 판매수수료가 18억3990만원인 점(당시 용역수수료 확인불가)을 감안하면 3배 수준의 거래규모가 확대됐다. 


매출액서 차지하는 비중도 자연스럽게 올라간 모양새다. 서울제약이 올 상반기 매출액 5분의1 수준을 판매수수료로 제공했다. 서울제약이 헤스티안 설립전 판매수수료로 지급한 비중은 10%미만(2015년 상반기 기준 판매수수료 20억8917만원, 매출액 220억5988만원)이었다.

제약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매출액 가운데 판매수수료 비중이 30% 수준을 넘어서면 비자금 조성 및 불법 리베이트 가능성이 생기기 시작한다는 전언이다.

올 상반기 서울제약이 헤스티안에 지급하고 있는 판매수수료의 수준은 전체 매출액의 30%를 밑돌아 위험수준은 아닌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매출에서 차지하고 있는 헤스티안의 내부거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눈여겨 봐야한다는 평가다.

<일요시사>는 서울제약 측에 관련 내용을 질의하기 위해 담당자와의 통화를 시도했으나 끝내 연락이 닿지 않았다.

자금 흐름이…

제약업계의 한 관계자는 “매출에서 차지하는 판매수수료의 비중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다른 제약사에 비해 과도한 수준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렵다”면서도 “헤스티안이 정체가 확인되지 않은 만큼 눈여겨 볼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donkyi@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서울제약 서초 사옥
알고 보니 회장님 건물

서울제약과 헤스티안은 황우성 회장의 건물에 세들어 살고 있다. 해당 건물의 주소지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다. 


이 건물은 서울제약 창업주 황준수 명예회장이 2003년 11월26일 매입한 후 이듬해 12월 아들인 황우성 회장에게 증여했다. 

황 회장은 이들 회사에 세를 주고 있다. 서울제약과 헤스티안 두 곳 모두 이곳을 주소지로 두고 있는 것. 헤스티안은 지하 1층을 사용하고 있으며, 서울제약은 지상 층을 주소지로 두고 있다. 

황 회장이 회사를 상대로 임대료를 챙기는 것으로 보인다. 황 회장 입장에선 ‘쏠쏠’하게 가외 수입을 올리는 셈이다. <호>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