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천우의 시사펀치> 고은 시인은 괴물이 아니다!

2018.03.07 14:37:14 호수 1156호

최근 미투 운동의 일환으로 문학계에 기폭제가 되고 있는 최영미 시인의 작품 ‘괴물’ 중 일부 인용해본다.



『En선생 옆에 앉지 말라고, 문단 초년생인 내게 K시인이 충고했다, 젊은 여자만 보면 만지거든, K의 충고를 깜박 잊고 En선생 옆에 앉았다가, Me too, 동생에게 빌린 실크 정장 상의가 구겨졌다(중략) 괴물을 키운 뒤에, 어떻게 괴물을 잡아야 하나.』

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 ‘괴물’이란 단어에 대해 강하게 언급해야겠다. 왜냐, 필자의 별호(別號)가 괴물이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필자의 블로그명도 ‘괴물 황천우’인데 그 이유를 밝히겠다.

어느날 필자의 지난 행적을 소상하게 알고 있는 가까운 사람이 필자에게 ‘괴물’이란 별호를 권장했고 필자 역시 그를 기꺼이 받아들였다. 필자가 생각해도 필자의 삶을 살피면 일반인의 시각으로는 정상이 아니기 때문이었다.

대학서 영문학을 전공한 이후 덜컥 정치판에 입문하고, 그곳에서 승승장구하던 일순간 과감하게 발을 떼고, 사십이 훌쩍 넘은 나이에 가정 경제는 아랑곳하지 않고 다시 대학에 입학한 이후 소설가로 변신하고,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세상의 불의에 대해 지나칠 정도로 신랄하게 비판하고….

그런 이유로 지인은 평범하지 않은, 기이한 사람이라는 의미의 괴물(怪物)을 내게 권장했고 나 역시 그를 인정하고 선선히 받아들였다. 그런 필자로서는 고은 시인을 지칭해 괴물이란 용어를 들먹인 최 시인에게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


지속해서 밝혀지고 있는 고은의 지난 행적을 살피면 최 시인은 그에게 ‘괴물’이 아닌 ‘고물(古物)’이나 ‘추물(醜物)’이란 단어를 사용했어야 했다. 그런데 그런 인간을 ‘괴물’이라 지칭했으니 심지어 불쾌감까지도 일어난다.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자. 패거리 문화를 본질로 하는 정치판을 벗어나 소설가로 변신한 필자는 우리 문학계를 바라보며 심한 실망감에 빠져들게 된다. 문학이 인문학 최고의 학문이 돼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던 필자에게 우리 문학판은 참으로 이해할 수 없었다.

바로 문학의 영역에 만연하고 있는 패거리 문화 때문이었다. 그로 인해 문학의 원 관념은 사라지고 알량한 권위와 글장난이 난무하는 기막힌 현실에 직면하게 된다. 심지어 문학계에 번져 있는 패거리 문화는 정치판 저리가라 할 정도였다.

그에 대한 실상에 대해서는 세세하게 언급하지 않겠다. 다른 이유 때문은 아니다. 인지상정으로 그 추악한 이면을 모두 알고 있으리라는 짐작 때문이다. 그런 차원서 언급을 자제하겠다는 의미다.

대신 고은과 최 시인의 관계를 통해 간략하게 언급하겠다. 최 시인은 상기의 마지막 글에서 분명하게 언급했다. ‘괴물을 키운 뒤에 어떻게 괴물을 잡아야 하나’라고. 

바로 이 대목에 우리 문학계의 패거리 문화가 그대로 녹아있다.

최 시인은 ‘패거리에 안주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고은의 비정상적인 행위를 눈감아야 했고, 그래서 고은은 감히 그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괴물로 성장했으니 이에 대해 이제야 자괴감을 느낀다’로 결국 자승자박이었음을 실토하고 있다.

일찌감치 세속의 명리를 벗어던지고 독고다이를 자처한 필자로서는 최 시인이 입었을 마음의 상처에 대해 안타까움 금할 수 없다. 아울러 문학에 종사하는 또 향후 문학에 종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

“문학은 글장난이 아닌 인문학 최고 학문으로 결코 패거리지어 하는 게 아니다!”
 

※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