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삼국비사 (47)십만 양병

2017.08.21 10:38:48 호수 1128호

진퇴양난에 빠진 신라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임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연개소문의 질문에 선도해가 가만히 미소를 머금었다.

“제가 책사가 아니라 막리지 대감께서 책사십니다.”

“시원스레 말해보세요.”

“전하, 차후에는 가능할 수 있겠으나 현재 신라에서는 군사를 동원할 능력도 그리고 감히 고구려를 넘볼 형편이 되지 못합니다.”

“차근히 설명해보세요.”


“신라군이라 해야 일전에 김춘추를 잡고 있을 때 거병했던 군사들이 고작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울러 백제가 물러서긴 했지만 역시 호시탐탐 기회를 노릴 것이 자명합니다. 하오니 여하한 경우라도 신라가 고구려를 침범하기는 힘들 것입니다.”

선도해의 설명에 보장왕의 얼굴이 편안하게 변해갔다.

“그런데, 선 책사.”

“말씀하세요, 대감.”

“김춘추를 잡고 있을 때 거병했던 신라 장군 있지 않소.”

“김유신이라는 인물 말이지요.”

“그렇소. 그 김유신이란 인물에 대해 예의 주시하라 세작들에게 전하시오. 아무래도 느낌이.”

“느낌이 어떻습니까?”

“그 김유신이라는 자가 신라의 병권을 장악할 듯합니다, 전하.”

타개책 강구


고구려 군에 의해 국경 근처 두 개의 성이 함락되자 그에 대한 타개책을 강구하기 위해 회의가 소집되었다.

그 회의에 압량주 군주로 있는 김유신도 참석했다.

김유신을 바라보는 비담과 염종의 시선이 편치 않았다.

“김유신 장군, 그냥 바라만 보고 있을 참이오.”

기어코 염종이 입을 열었다.

“아니야, 김유신 장군에게 묻기보다 춘추 공에게 대책을 먼저 들어야 순서지.”

비담이 춘추를 슬쩍 바라보다 선덕여왕을 주시했다.

“그게 무슨 소립니까?”

선덕여왕이 신경질 적인 반응을 보이며 목소리를 높였다.


“들리는 바에 의하면, 지난번 춘추 공이 고구려에 들어갔을 때 진흥왕 시절 우리가 취했던 땅을 돌려주기로 약조했다 합니다.”

모두의 시선이 춘추에게 쏠리자 표정이 곤혹스럽게 변해갔다.

“이미 여기 있는 모두가 그 정황을 알고 있건만 무슨 억하심정이 있다고 춘추 공을 몰아세우는 게요!” 

“여하튼 그게 빌미를 제공하지 않았습니까!”

알천의 제지에 염종이 목소리를 높였다.

“왜, 당항성이 아니라 국경이라 그러오!”

필탄이 염종을 추궁하자 슬그머니 고개 돌렸다.

“모두 그만하시고 대책을 세우세요, 대책을!”

선덕여왕이 모두를 바라보며 목소리를 높였다.

“전하, 소장 외람되오나 한 말씀 드리겠습니다.”

가만히 있던 유신이 나지막하게 입을 열자 모두의 시선이 유신에게 쏠렸다.

“지금 급히 나설 일이 아니라 잠시 사태의 추이를 보아가며 대처하심이 옳을 듯합니다.”

“그게 무슨 말이오!”

염종이 다시 소리를 높였다.

“얼마 전 당나라의 사신이 백제를 방문하여 당항성 침공을 멈추게 한 바 있습니다.”

“그건 백제의 일 아니오.”

“백제를 거친 사신이 고구려에 들어갔다는 소식을 접했고 따라서 연개소문도 평양으로 돌아가 당나라와 일전을 준비하고 있다는 보고를 접했습니다. 그런 연유로 더 이상 고구려의 침공은 없을 듯합니다. 그러니 잠시 사태의 추이를 보아가며 도모함이 이롭다 생각합니다.”

“그러면 이대로 두고만 보자는 이야기입니까!”

“이보시오, 염종 공. 정히 그러시면 본인이 나서시오!”

“그러면 되겠구려, 전쟁 한 번도 겪어 보지 않은 염종 공에게 기회를 줌이 타당하겠습니다, 그려.”     

신라 전체회의…염종의 불편한 시선
병력 증원 요구…만만찮은 소요 비용

알천의 말에 필탄이 거들고 나서자 염종의 얼굴색이 급격하게 붉어졌다.

“염종 공의 심정 충분히 이해합니다. 아울러 작금의 우리 세력으로 그를 회복할 수 있는 여지는 됩니다. 하오나 병력이란 그리 함부로 움직일 수 없습니다.”

“전쟁을 치러 보았어야 알지!”

유신이 힘주어 이야기하자 필탄이 혀를 찼다.

“김유신 장군, 상세하게 설명해보세요.”

“전하, 지금 저희 군사력이 충분하지는 않지만 현재의 판세를 만회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 백제를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습니다. 비록 백제가 당나라의 권고를 받아들여 침공을 멈추었으나 워낙에 믿을 수 없는 종족들이기에 항상 주의를 놓을 수 없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고구려를 상대로 전쟁을 벌이기는 시기상조라 판단됩니다.” 

“전하, 기왕에 말이 나온 김에 우리 신라군의 증강을 위한 방안에 대해 토의함이 어떠한지요.”

고개 숙이고 잠자코 있던 춘추가 주위를 살피며 조심스럽게 운을 뗐다.

“그러면 이렇게 정리하도록 합시다. 고구려가 침공을 멈추었다 하니 잠시 상황을 보아가면서 대처하도록 하고 김춘추 공의 말대로 신라의 군사력을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 토의하도록 하지요.”

“그런 의미에서 김유신 장군이 한 번 이야기해 보시게.”

선덕여왕의 정리에 알천이 김유신을 주시했다.

“가장 먼저 시급한 일은 군 병력의 증원입니다. 우리는 최악의 경우 고구려와 백제 두 나라를 감당해야 하는 바 현재 실정으로는 두 나라는커녕 한 나라를 상대하기도 버겁습니다. 아울러 군사의 수를 대폭 증강하고 압량주를 군사 조련장으로 만들어 정예병을 만들어야 합니다.”

“어느 정도의 군사가 필요합니까?”

“두 나라를 동시에 상대하기 위해 최소 십만의 병력이 필요합니다.”

십만이라는 소리에 서로가 서로의 얼굴을 주시했다. 

“현재는 어떠합니까?”

“현재 중앙군을 포함하여 채 이만이 되지 않습니다. 그런 연유로 함부로 군사를 움직일 수 없습니다.”

유신이 말을 마치고 가벼이 한숨을 내쉬었다.

“전하, 지금 김유신 장군의 말을 심도 있게 생각하셔야 하옵니다.”

춘추의 말에 선덕여왕의 얼굴에 근심이 드리워지기 시작했다.

십만의 병사를 거느리게 되면 그에 따른 소요 비용도 만만치 않을 터였다.

“그 부분은 경들이 심도 있게 논하도록 하세요.”

긴 한숨

회의가 파하고 저녁 무렵 유신이 춘추의 요구로 그의 집을 방문했다.

춘추의 집에 도착하자 동생인 문희가 깨끗하게 정돈 된 방으로 안내했다.

화사하게 꾸며진 방을 바라보며 유신이 잠시 어리둥절한 표정을 지었다.

“오라버니.”

문희가 근심스런 표정을 지으며 말문을 열었다.

“왜 그러느냐?”

“오라버니에게 아직도 대를 이을 후사가 없어 걱정되어 그럽니다.”

“다 팔자려니 해야지.”

체념한 듯한 표정으로 답한 유신이 가볍게 한숨까지 내쉬었다.

“그래서 그런데요, 처남.”

춘추가 은근하게 문희의 얼굴을 바라보았다.

“오늘 왜들 이러는 겐가. 뭐 작정한 일이라도 있는가?”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