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15주년 기획특집>⑤강릉 잠수함 침투 생포 ‘공비’ 이광수

2011.05.26 12:38:51 호수 0호

자책감에 울고, 죄책감에 통곡했다

1950년 한국전쟁 이후 남북은 극도의 긴장상태에서 치열한 첩보전을 펼쳤다. 북한은 쉴 새 없이 간첩을 내려 보냈고, 정보를 캐는데 열을 올렸다. <일요시사>가 창간하고 4개월 뒤 터진 ‘강릉 잠수함 침투’사건이 대표적이다. 대한민국은 발칵 뒤집혔다. 국민들은 공포에 떨었다. 당시 무장공비들은 모두 사살되고 단 한명만 생존했다. 바로 이광수씨다. 그는 지금 어디서 뭘 하고 있을까.



강릉 잠수함 침투 무장공비 26명 중 유일 생포
군사시설 정보 캐러 남파…전향 후 해군서 근무

1996년 9월18일 새벽. 경찰에 한통의 신고 전화가 걸려왔다.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안인진리 부근 해안도로를 운행 중이던 택시기사였다.

“해안가에 정체가 불명한 선박이 둥둥 떠 있습니다. 거동이 수상한 자들도 왔다 갔다 하고요.”

비슷한 시간, 강동면 대포동에 위치한 해안초소에서도 이 지점에서 비치는 수상한 불빛과 연기를 감지해 상황실로 보고했다. 군경은 좌초된 선박이 북한 잠수함으로 확인, 공비들의 침투 사실을 인지했다.

결혼하고 학위 취득

무장공비는 모두 26명. 북한 대남공작기구중 하나인 인민무력부 정찰국 해상처 제22전대 소속 공작요원과 안내원, 그리고 승조원들이었다. 침투 목적은 남한 군사시설 자료 수집과 강원 전국체전에 참석한 주요 인사 암살. 이들이 이용한 잠수함은 길이 35m, 폭 3.8m, 300톤 규모의 상어급이었다. 이미 침투시킨 공작조의 복귀를 위해 해안으로 접근하다가 좌초된 것이었다.

군경은 즉각 예비군 동원과 함께 이 지역에 ‘진돗개1’을 발령하고 무장공비 소탕작전에 돌입했다. 그로부터 무려 49일간에 걸쳐 실시된 소탕작전에서 군경은 ▲9월18일 청학산 11명 자살 주검 발견 ▲18일 모전리 1명 생포 ▲19일 단경골 3명 사살 ▲19일 칠성산 3명 사살 ▲19일 괘일재 1명 사살 ▲22일 칠성산 2명 사살 ▲28일 성산면 1명 사살 ▲30일 묵계리 1명 사살 ▲10월5일 용대리 2명 사살 등 공비 26명 중 25명을 소탕했다. 나머지 1명은 월북했다.

아군의 피해도 만만치 않았다. 군인 11명, 예비군 1명, 경찰관 1명이 전사했다. 민간인도 4명이나 희생됐다.

국민들은 생포된 이광수씨를 주시했다. 무장공비 26명 중 유일한 생존자였기 때문이다. 고교 졸업 후 북한 해군 잠수함 부대에 입대한 이씨는 상사까지 진급했다가 정찰국으로 차출되면서 장교가 됐다. 남파 때 계급은 국군 계급으로 중위와 대위 사이인 상위였다. 생포 당시 31세이던 이씨는 잠수함 발견 당일 오후 4시40분께 강릉시 강동면 모전리 민가에 숨어있다 경찰에게 붙잡혔다. 이씨가 직접 밝힌 생포 과정은 이랬다.

“(좌초된) 잠수함에서 먼저 내려 주위를 경계하다 승조원들이 모두 나오는 것을 보고 둘러보니 안내조장과 정찰조가 산으로 오르고 있었습니다. 그 일행을 따라가다 흩어졌고, 한 민가로 들어가게 됐습니다. 노부부가 살고 있었는데 산골까지 전화가 있을 것이라고 전혀 생각하지 못했어요. 주인 할아버지가 신고하러 가는 것처럼 차가 있는 쪽으로 가기에 따라갔더니 말을 붙여 나를 안심시켰죠. 그 사이에 할머니가 신고해 붙잡혔습니다.”

잠수함 조타수였던 이씨는 권총 1정과 실탄을 휴대하고 있었지만, 경찰의 칼빈 소총 앞에선 무용지물이었다. 투항 직후 이씨가 경찰에게 “동무, 배가 몹시 고파서 그러는데 먹을 것 좀 달라우. 광어회가 먹고 싶습네다”라며 음식을 요구한 일화는 유명하다.

사건 한달 뒤 이씨는 서울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 나타났다. 그는 당시 “남한보다 북한이 군사적으로 우월하다”고 말해 국민들의 긴장감을 더욱 고조시켰다. 이후 이씨는 안기부 직원들의 안내로 서울 시내를 둘러봤다. 한 가정집도 방문했는데 이씨는 남한의 높은 생활수준에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남한을 보고 북으로 돌아가겠다는 생각이 싹 없어졌습니다.”

전향 의사를 밝혀 주민등록증을 받은 이씨는 사건 이듬해인 1997년 5급 해군 군무원으로 특채됐다. “대한민국 해군에서 일하고 싶다”는 그의 희망이 받아들여졌다. 그는 현재 해군교육사령부 ‘이충무공리더십센터’에서 안보교관으로 근무 중이다. 북한군의 편제와 실상 등 장병들의 정신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군부대, 기관, 단체 등을 대상으로 특강도 한다.

경남 진해시에 살고 있는 이씨는 1999년 부인 임모씨와 만나 해군사령관의 주례로 결혼식을 올렸다. 슬하에 두 딸을 두고 있다. 그는 결혼한 해 경남대에 진학했다. 박재규 경남대 총장과의 인연으로 법행정학부(야간)에 입학, 2003년 2월 행정학사 학위를 취득한 이씨는 곧바로 행정대학원 안보정치학과에 진학해 2005년 8월 안보정책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낮엔 교관, 밤엔 학생인 ‘주경야독’의 결실이었다.

천안함 발언 화제


이씨는 학위수여식에서 “일단 말이 잘 통하지 않아 무척 힘들었다. 고민도, 방황도, 외로움도 많았다”며 “그러나 주위에서 많은 도움을 줘 극복할 수 있었다. 남한에서 가정을 꾸리고 석사학위까지 받게 될 줄은 상상조차 못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 뒤로 일체 외부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던 이씨는 지난해 천안함 사건에 대한  ‘소신 발언’으로 화제를 모았다. 그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천안함 사건이 날조됐다는 북한 주장이 엉터리라고 강조했다.

이씨는 "(천안함 사건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시를 받은 정찰총국이 한 것이라고 본다. 정찰총국이 성과를 내기 위해 저지른 것"이라며 "2009년 11월 대청해전 때 당한 것을 보복하려고 준비해서 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어뢰에 새겨진 ‘1번’을 두고선 "내가 어뢰를 오래 다뤘기 때문에 잘 아는데 북한에선 어뢰를 정비하기 위해 분해하면서 1, 2, 3번 등 번호를 적는다"며 "어뢰 뇌관도 그렇게 한다. 분실이나 다른 어뢰 부품과 혼동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합동조사단 조사 결과를 다 이해한다"며 "의혹을 제기하는 일부 인사들 언급을 보면 무슨 생각을 가졌는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