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덕 “역사 왜곡 일본 탓만…정작 국내 현장엔 무관심”

2016.02.19 13:20:27 호수 0호

[일요시사 취재1팀] 신상미 기자 = 한국홍보전문가 서경덕 교수팀이 지난 18일, 국내 강제동원 역사현장에 안내판을 세우기로 했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2000만원을 목표액으로 18일부터 3·1절까지 13일간 모금할 예정이다. 모금이 완료되면 인천시 부평구 삼릉(三菱·미쓰비시) 지역과 부산시 기장군 일광광산 등 2곳에 오는 광복절까지 안내판을 설치한다. 이들 지역은 모두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이 강제노동을 하던 현장으로, 현재까지 사택과 사무실, 숙소 등이 비교적 잘 남아있다.

서경덕 교수는 <일요시사>에 “지난해 일본이 유네스코에 강제동원 현장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한 것을 계기로 국내 강제동원 현장을 조사하게 됐다”면서 “우리가 역사를 왜곡한 일본 탓만 했는데 정작 국내 강제동원 현장에 무관심했었다는 사실을 깨닫고 역사를 바로 알릴 계기를 만들고 싶어서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강제동원 역사현장에 안내판
2000만원 목표로 모금 운동

서 교수는 또 “전국에 강제동원 현장이 많이 남아있다”며 “다른 지역도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다. 원형이 잘 보존돼 있는 현장을 우선적으로 프로젝트를 꾸준히 진행하겠다”고 덧붙였다.

국내외 전체 강제동원 규모는 약 782만여명으로 추산된다. 당시 조선 인구가 2800만명이었으므로 가정마다(4인 가구 기준) 1명씩 동원된 셈이다.


한반도 내에서만 8313개의 강제작업장이 운영됐다. 국무총리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차 대전 당시 일본 3대 기업으로 꼽혔던 미쓰비시, 미쓰이, 스미토모를 포함해 신일본제철, 아소광업 등 약 60개 기업이 조선에 기업과 공장을 세워 조선인들을 강제동원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대부분 군수공장, 군시설, 광산, 토목공사장 등으로 당시 조선인들은 위험한 작업장에서 굶주림과 폭력에 시달리며 힘든 강제노동을 강요 당했다. 

인터넷 페이지(nadofunding.sbs.co.kr/project/33/)에서 후원에 참여할 수 있으며, 참여자는 안내판에 이름이 기록된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