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으나 마나' 예술의전당 장애인석 왜?

2013.11.12 10:10:09 호수 0호

“휠체어는 맨 뒷줄로 가세요”

[일요시사=사회팀] 예술의전당 장애인석이 턱없이 부족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더 중요한 문제는 비율이 아닌 좌석의 위치였다. 장애인석은 비장애인과 달리 구석 자리에만 배치돼 있다. 축구장, 야구장, 농구장도 마찬가지였다.






예술의전당 장애인석이 전체 좌석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그나마 있는 장애인석도 공연장 구석에 배치돼 있는 상태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주당 신학용 의원은 예술의전당 중 관객들이 좌석을 예매해 관람하는 오페라극장, 토월극장, 자유소극장, 콘서트홀, 챔버홀, 리사이트홀 등 총 6개 공연장 7047석 중 장애인석은 64석으로 전체 0.91%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관람 기회 차단

각 공연장별로는 오페라극장은 전체 2283석 중 20석(0.88%)이, 토월극장은 1004석 중 10석(1%)만이 장애인 좌석으로 배정돼 있다. 자유소극장은 283석 중 4석(1.41%), 콘서트홀은 2523석 중 20석(0.79%), IBK챔버홀은 600석 중 6석(1%), 리사이트홀은 354석 중 4석(1.13%) 등으로 집계됐다. 총 7047석 중 장애인석은 단 64석뿐이다.

이처럼 장애인석의 비율은 매우 낮은 편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 큰 문제가 있다. 예술의전당이 얼마 없는 장애인석을 차별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 것이다. 예술의전당 공연 티켓은 비장애인들에게 R석, S석, A석, B석, C석 등으로 차등 판매되고 있으며, 그 좌석의 비율과 금액은 공연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석은 비장애인들이 꺼리는 H석 한 종류로, 비장애인석과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자리도 맨 끝자리에 한정돼 있다. 장애인석을 이용하면 좋은 좌석에서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기회가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있는 셈이다.


예술의전당 관계자는 “현재 장애인이 앞자리에서 공연을 보는 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예술의전당 측에 사정해도 어쩔 수 없는 상황이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주당 신학용 의원(인천 계양갑)은 “이러한 불합리함으로 인해 예술의전당 최근 3년간 장애인 관람객은 전체 관람객 100만명 중에 7000명 수준으로 사실상 장애인 관람이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며 “또 장애인과 국가유공자를 구분하지 않고 있어, 순수 장애인 관람객 수만 보면 더 적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신 의원은 “장애인석을 H석으로 다르게 표기하고 위치도 좋지 않은 곳으로 배정한 것은 명백한 장애인 차별”이라며 “예술의전당은 장애인도 차별받지 않고 문화예술을 충분히 향유할 수 있도록 좌석 이름, 위치 변경 등 관련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예술의전당은 자체기획 공연은 뒷전인 채 대관 위주의 사업운영으로 돈벌이에만 치중한다는 지적이 일기도 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정의당 정진후 의원이 예술의전당 국정감사에서 이 기관의 2013년 사업계획을 분석한 결과, 자체수입으로 편성한 예산 413억4000여만원의 58%인 241억원을 대관·임대사업과 부대사업으로 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석이 차별받는 건 예술의전당뿐만이 아니었다. 대표적인 공간은 영화관이었다. 스크린 맨 앞자리가 장애인석이다. 사실 장애인석이라기보다는 그냥 출구 쪽과 가까운 빈 공간이다. 뒷좌석이 텅텅 비어 있어도 장애인은 맨 앞에서 관람해야 한다.

전체 7047석 중 64석 불과 “1%도 안돼”
이마저도 홀대…공연장 구석 끝자리 배치

결국 장애인들은 이렇게 스크린과 가까운 맨 앞자리에서 짧게는 한 시간 반에서 길게는 세 시간 넘게 불편한 자세로 영화를 봐야 한다.

한 시민단체가 전국 영화상영관 1천 100여 곳을 조사한 결과 21%엔 장애인석이 아예 없고, 장애인석이 있다 하더라도 5곳 중 4곳은 맨 앞줄에 설치한 상태였다.

또한 국내 3대 스포츠(야구·축구·농구) 장애인 좌석 비율도 0.75%에 불과하다. 특히 국내 프로야구 장애인 좌석 비율은 0.18%로 이마저도 1루, 3루 쪽 비지정석 경계로 비장애인이 기피하는 자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장애인 좌석은 기피석에 배치돼, 장애인들이 좋은 자리에서 경기를 관람하기 위해서는 스카이석 등 거액을 들이지 않는 이상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한편 국내 프로축구, 프로농구의 경우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프로축구는 전체 50만8264석 중 5048석(0.99%), 남자 프로농구는 전체 6만1149석 중 284석(0.46%), 여자 프로농구는 전체 1만7890석 중 34석(0.19%)였다. 여자 프로농구의 경우 청주 실내체육관, 구리시 체육관, 춘천 호반체육관에는 장애인석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신 의원은 “문화체육관광부는 장애인도 프로 스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좌석수 확충, 지정석 판매 등 관련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택권 보장해야”

장애물없는생활환경시민연대 최성윤 팀장은 “현재 한국의 장애인 관람석 기준은 공연장의 크기와 비율만 따진다”며 “법률적인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시야확보 여부나 비장애 동행인과 동석 보장, 좌석 선택권 보장 등에 대해서도 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과 호주의 경우 장애인 관람석 시야의 각도까지 규정하고 있고, 미국에서는 영화관 좌석 관련 소송이 진행돼 장애인들에게 좌석의 선택권이 주어져야 한다고 판결난 바 있다”고 덧붙였다.


이광호 기자 <khlee@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프랑스 장애인들은…
누구나 자유롭게 문화생활

경제적으로 제공되는 수당만으로 장애인이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는 건 아니다. 프랑스 정부는 장애인과 비장애인과 차별없이 시민으로서 사회, 문화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공연장과 극장 등의 문화, 예술 공간들은 장애인이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게 시설을 갖추고 있다. 특히, 장애인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혼자 자유롭게 작품 감상과 문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특별한 시설을 갖추는 데 열정을 보인다. 지체장애인뿐만 아니라, 시각, 청각 장애인과 발달장애인, 모두 각종 예술작품과 문화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도록 애쓰고 있다.

시각장애인들을 위해 점자나 큰 글씨로 인쇄된 프로그램이 행사마다 제공되는 것은 기본. 그 밖에도 많은 공연들이 무대장치, 의상, 조명, 또는 배우의 동작 등의 정보를 음성으로 전달해주고 있다. 음성 해설과 별도로 시각장애인에게 무대장치와 의상들을 직접 만져보도록 해주기도 한다.

몇몇 미술관에서는 장갑을 끼고 조각품이나 합성수지로 모사된 그림을 직접 만져보며 감상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도 있다. 청각장애인을 위해서는 오페라나 연극에서 대사를 수화와 동시에 제공할 때가 많다. <광>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