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민화작가 엄미금

2013.08.05 14:13:16 호수 0호

"민족색으로 전통 그립니다"

[일요시사=사회팀] 책장 벽면에는 형형색색의 그림이 가득했다. 엄미금 작가는 민화를 바탕으로 현대적인 회화의 '오브제(Objet)'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엄 작가는 "민화와 근대미술을 접목한 화풍은 찾기 힘들 것"이라며 작업에 자신감을 드러냈다.





엄미금 민화작가는 장르의 변형으로 자신만의 고유 영역을 구축한 예술가다. 누구나 말은 쉽게 하지만 실천하지 못했던 '민화의 세계화'도 그의 작품 안에선 현실이 된다.

서울 신영동 한 작업실에서 만난 엄 작가는 빼곡한 스케치를 뒤로 한 채 "이렇게 혼자서 잘 놀고 있다'며 해맑은 웃음을 지었다. "그림을 그릴 수 있어 행복하다"는 엄 작가는 몇몇 사람들이 그림을 사러왔던 일화로 인터뷰를 시작했다.

민화도 이제 한류

"어떻게 알았는지 배우 니콜라스 케이지가 방한했을 때 제 그림을 두 점이나 가져갔어요. 외국의 한 영부인도 왔었고, 이명박 전 대통령의 한옥에도 제 그림이 들어갔어요. 얼마 전에는 한 대기업 사장도 제 그림을 사러 왔었죠. 하지만 일부러 가격을 좀 크게 불렀어요. 나 개인이 아니라 '우리 민화가 이 정도는 받아야 된다'라고 생각했거든요. 결국 그 가격에 안 샀는데 아쉬움은 없어요. 처음부터 돈이 목적이 아니었으니까. 그런데 지금 우리 '자랑타임'하고 있는 거 맞죠?(웃음)"

엄 작가는 지난 2010년 <네가 세상에 처음 왔을 때>란 책을 준비하면서 수십 권의 책을 탐독했다. 철저한 고증을 위해서였다. 책 안의 아주 사소한 선 하나도 허투루 쓰지 않기 위해 엄 작가는 고민을 거듭했다. 그 흔적은 책 곳곳에 묻어 있다. 비록 아동들이 읽는 도서지만 완벽함을 고집하는 그의 태도에서 엄 작가의 작업 스타일을 엿볼 수 있었다.


"보통 우리 아이들이 읽는 책은 외국 도서를 번역한 책들이 많아요. 머리도 노란색이고. 서양인의 시각이 담겨 있죠. 그런데 정작 우리 책은 없잖아요. 그래서 누군가 우리 전통을 제대로 고증해서 그렸으면 좋겠다고 생각했고…. 사실 '완벽해야지'란 생각보다는 '의도를 잘 살려야지'라는 마음으로 붓을 드는 편이에요. 최근 들어 민화 전시가 활발해졌고, 배우는 사람도 늘은 것으로 알고 있어요. 해외에서의 반응도 좋고요. 민화작가로서 우리 것을 알리는 일에 충실할 생각입니다."

엄 작가는 '어떤 그림이든 우리 전통과 따로 떨어질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민화를 바탕으로 현대적인 회화 작업을 계승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처음에는 민화에 화투를 접목시켰어요. 민화는 서민적인 그림이기 때문에 서민이 좋아하는(?) 화투를 그림 안에 끌어들였죠. 그랬더니 젊은 친구들의 호응이 제일 좋더라고요. 어떤 분은 '화투하면 조영남이었는데 이젠 엄미금도 있냐'면서 좋은 반응을 보였고…. 그래서 다음에 시도한 게 서양 문학과 우리 미술의 만남. 어린왕자를 모티브로 삼은 거죠. 이것도 반응이 좋았고…. 처음에는 어린왕자를 있는 그대로 그렸는데 요즘은 피부색을 달리해서 그려요. 꼭 어린왕자가 서양인일 필요는 없잖아요. 그림 안에서 다양한 변화를 주고 있는 거죠."

현대 감각 입힌 민화의 '세계화' 앞장
"해외서 반응 굿…K팝처럼 무한 가능성"

엄 작가는 '어린왕자'라는 소재를 통해 국내 미술계에 이름을 알렸다. 민화에 서양심벌을 차용한 아이디어도 재밌지만 그림 안에 자연스레 녹아 있는 '왕자'들을 보면 절로 감탄을 연발하게 된다.


"민화는 굉장히 세밀한 그림이라 시간과 정성이 많이 들어요. 유화처럼 덧칠도 불가능하고, 색에 민감하기 때문에 버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몇 백년 전부터 내려온 '고정된 틀'이 있는 그림이기 때문에 창의 면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지 못해요. 더구나 우리가 옛것을 소중히 여기는 그런 문화는 아니잖아요? 이런 면에서 민화가 평가 절하된 부분이 있죠. 하지만 우리 노래처럼 민화도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엄 작가는 인터뷰 내내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이 좀 더 많아져야 한다"는 바람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날로 퇴색되는 전통적인 방식의 작업에 대해서도 아쉬움을 드러냈다.

엄 작가에 따르면 현재 민화작가들이 색을 낼 때 사용하는 '분채'가 한국에선 맥이 끊긴 상태다. 엄 작가는 분채 대신 천연물감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 또한 한국 제품은 자취를 감춘 상황. 한국 물감이 사라진 자리는 일본 수입품이 대신하고 있다.

"맥이 끊겼다는 건 이제 우리 색이 없다는 거예요. '왜색'을 써야 한다는 거고…. 저는 왜색을 줄이려고 혼합해서 쓰고 있는데요. 아주 미세한 부분이지만 이런 색의 차이는 시간이 지나면 확연히 '그림의 질'에서 차이가 나요. 어떤 종이를 쓰냐에 따라 그림의 깊이가 달라지고요. 전 화가가 그린 그림이 오래 갔으면 좋겠어요. 물감과 붓, 종이와 같은 일종의 인프라에도 좀 더 투자가 있었으면 좋겠고요."

역사 계승자 자부


엄 작가는 민화의 역사를 채색화의 역사. 즉 삼국시대 이전으로부터 지금까지 이어진 유구한 역사로 이해하고 있다. 역사의 계승자란 점에서 엄 작가는 "항상 자부심을 느끼며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엄 작가는 전통을 그리지만 절대로 "전통에 안주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엄 작가의 시공을 넘나드는 작품 활동이 앞으로도 기대된다.

 

강현석 기자 <angeli@ilyosisa.co.kr>
 

[엄미금 작가는?]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석사
▲국민대 사회교육원 민화 강사
▲재단법인 한국민화협회 회장
▲03년 쿤스트튜크 갤러리 특별기획 초대전(함부르크)
▲04년 에꼴 드 가나전(인사아트센터)
▲08년 중국민화국립박물관 초대전(무강) 등 그룹전
▲11년 현대민화 서울옥션 부산점 등 개인전 7회
▲ 저서 <네가 세상에 처음 왔을 때>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