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연재> 선감도 ⑫어린 자식을 수용소에 두다

  • 김영권 작가
2024.07.22 04:00:00 호수 1489호

“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정문을 들어서자 빼빼 마른데다가 버짐과 기계충 투성이의 아이들이 음울한 눈길로 용운을 쳐다보았다.

엄마는 용운을 복도에 기다리게 해놓곤 사무실 안으로 들어갔다. 곧 문이 닫혔다. 용운은 불현듯 두려움을 느꼈다. 

한번 들어간 엄마는 좀처럼 나올 줄을 몰랐다. 한참 기다리다가 지친 용운은 문 앞으로 다가서서 안쪽의 동정을 살피려고 문틈에 귀를 바싹 댔다. 그 순간 웬일인지 엄마의 애원하는 소리가 희미하게 새어나왔다.

애원하는 엄마

“좀 부탁드립니다. 염치없지만 사정이 너무 어려워 그러니 제발 일년만 좀 거두어 주세요. 제가 식당에서 일을 해 일년 후엔 꼭 와서 데리고 가겠습니다. 선생님, 제발 좀 도와주세요.”


그러자 굵은 남자의 음성이 들려왔다.

“그 아줌마 참 끈질기네. 글쎄 몇 번을 말해야 돼요? 아, 전쟁고아만 해도 다 수용하지 못해 쩔쩔매는 판국인데, 부모가 버젓이 살아 있는 애를 대체 어떻게 받으라고 자꾸 떼를 쓰는 겁니까, 네?”

“제가 이렇게 빌겠습니다.”

“백번을 말해도 소용없으니 일찌감치 그냥 돌아가세요. 우리도 지금 무척 바쁘단 말예요. 아니, 식당에 데리고 들어가면 될 텐데 왜 그래요?”

“그럴 형편이 안 되어서요.”

용운의 눈에 눈물이 핑글 돌았다. 세상 천지가 별안간 뒤흔들리는 듯싶었다. 그토록 자애로운 엄마가 어린 자식을 고아원에 버리려 한다니 믿을 수가 없었다.

이 어린 나이에 엄마와 생이별을 해야 한다니! 용운은 다리가 마구 후들거려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했다.

어머니가 고개를 푹 숙인 채 사무실을 나왔다. 용운은 다짜고짜 눈앞의 검정 치마폭에 얼굴을 파묻고 매달려 서러운 울음을 터뜨렸다.

“엄마, 나 다 알어. 날 여기 떼놓고 가려는 거지? 왜 그래, 엄마? 나 엄마 말 잘 들을게, 우리 같이 살아, 응?”

엄마는 아무 대꾸 없이 아들의 물기 어린 눈동자만 내려다보았다. 엄마의 눈을 올려다보던 용운은 다시 울음을 터뜨렸다.


눈물이 치마를 다 적시는 줄도 모르고 서럽게 울어댔다. 엄마도 눈물을 흘리며 용운의 손을 잡아 이끌었다. 

얼마 후 모자는 다시 서울역에 도착했다.

엄마는 매표소로 가서 잠시 기웃거리다가 오더니 용운을 의자 위에 앉히곤 말했다.

“아직 차시간이 좀 남았구나. 너 배고플 테니 뭣 좀 먹어야겠다. 여기서 잠시만 기다리거라.”

“나 배 안 고파. 정말이야.”

“전쟁고아도 수용 못해”
서울역에 버려진 용운이

용운은 이상스런 기분이 들었는지 팔딱 일어서며 말했다.

“저기 가서 찹쌀떡하고 사이다라도 사올 테니 가만히 앉아 있거라. 알았지?”

“어, 엄마, 나도 같이 갈 거야.”


“자꾸 그러면 서울 사람들이 촌아이라고 흉본단다. 아까 엄마 말 잘 듣는다고 해놓구선.”

그 말에 용운은 저도 모르게 붙들고 있던 엄마의 치맛자락을 놓곤 대합실 의자에 걸터앉았다.

“그래, 착하지, 우리 애기. 엄마 금방 갔다 올게.”

용운은 고개를 끄덕였다. 그러자 엄마는 용운의 등을 한번 어루만지고 나서 인파 속으로 사라져 갔다.

주위가 점점 어두워지는데도 엄마는 돌아오지 않았다. 용운은 의자에서 일어나 매표구 쪽으로 갔다가 매점으로도 가보았다.

엄마는 아무데도 없었다. 용운은 볼을 씰룩거리며 출입문 쪽으로 걸어가서 유리문에 코를 대고 밖을 내다보았다. 가로등이 하나 둘 켜지고 역 앞의 대로를 달리는 차량들도 헤드라이트를 환히 밝히고 있었다.

건너다보이는 상점들에도 불빛이 휘황찬란했다.

대합실은 점점 한산해졌다. 얼마 전까지 북적거리던 사람들도 저마다 제 갈 길로 떠나고 밤열차를 기다리는 사람들만 그림자처럼 조용히 앉아 있었다.

용운은 금방이라도 울음이 터질 듯한 얼굴로 사방을 두리번거렸다. 아무리 찾아도 엄마는 보이지 않았다. 용운은 출입문을 밀고 밖으로 나섰다가 불안한 기색으로 곧 제자리로 돌아갔다.

언제 엄마가 올지 모르기 때문이리라. 이제 겨우 여덟 살밖에 안 된 아이에게 엄마는 포근한 보호막이었던 것이다.

봄이라지만 밤 날씨는 아직 쌀쌀했다. 용운은 구석진 자리에 웅크려 앉아 훌쩍거렸다. 그때 누군가가 그의 옆에 앉더니 손수건을 꺼내 눈물을 닦아 주었다.

“얘야, 집이 어디니?”

부드러운 목소리였다. 용운은 대답 대신 눈을 들었다. 어떤 여자가 미소를 짓고 있었다. 고불고불 파마를 한 긴 머리카락 아래 달걀형의 흰 얼굴이 용운을 유심히 지켜보며 웃음을 지었다.

눈은 웃지 않고 진홍색 연지를 짙게 칠한 입술만 웃었다.

“몰라요, 집을….”

대답을 맺지 못하고 용운은 그만 흐느꼈다. 여자가 몇 가지를 더 물었으나 용운은 도리질만 했다. 하루 종일 황당한 일을 당한데다 피곤까지 겹쳐 정신이 멍해져 버린 모양이었다.

“그럼 너 아줌마랑 같이 갈래? 맛있는 밥하구 과자도 주고 따뜻한 방에서 재워 줄게, 응?”

낯선 친절

용운은 낯선 여인을 경계하면서도 한편으론 그 따스한 친절에 취해 마음의 갈피를 잡지 못하는 듯 눈빛이 흔들렸다.

그 여인은 엄마와는 전혀 딴판으로 다른 인상이었으나, 자신을 버리고 떠난 무정한 친엄마를 증오하며 낯모르는 여자를 따라 먼 곳으로 떠나 버림으로써 내심 엄마에게 복수라도 하고 싶은지 몰랐다.

상처 받은 어린 마음은 그토록 설움과 절망에 차 있었다.


<다음 호에 계속됩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