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주 떠난 한미약품 승계 판도

2020.08.11 08:38:52 호수 1283호

보일락 말락 ‘포스트 임성기’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한미약품 창업주가 별세하면서 그룹 지배구조에 변동이 불가피해졌다. 창업주가 지녔던 지주사 주식이 세 자녀 가운데 누구에게 갈 지 초미의 관심사다. 장남이 유력해 보이지만 아직까지 확실한 건 없는 상태다.
 

▲ 한미약품 ⓒ뉴시스


한미약품그룹의 임성기 회장이 지난 2일 새벽 숙환으로 별세했다. 80세. 경기 김포 출신인 임 회장은 통진고등학교와 중앙대 약학과를 졸업했다. 1967년 서울 동대문에서 ‘임성기 약국’을 차렸다. 1973년 ‘임성기 제약’을 설립하고 그해 회사 이름을 한미약품으로 바꾼 뒤 현재에 이른다.

-준비 없이…

임 회장은 성장 가능성이 큰 후보물질에 과감한 연구개발(R&D) 투자를 진행하면서 회사를 성장시켰다. 한미약품은 매년 매출액의 최대 20%를 혁신 신약 개발에 투자하고 있으며 20년간 R&D에 투자한 누적 금액은 2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2015년 한 해에만 총 7건의 대형 신약 라이선스 계약을 글로벌 제약기업에 잇달아 성사시키면서 한국을 제약 강국 반열에 올렸다. 이듬해 직원 2800여명에게 한미사이언스 주식을 무상으로 증여한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다.

임 회장이 세상을 떠나면서 세간의 관심은 한미약품의 향후 경영권 승계 구도에 집중되고 있다. 승계 과정에서의 핵심은 후계자들의 한미사이언스 보유 지분이다. 


한미약품그룹은 2010년 7월 지주사 체제를 공식화했다. 당시 한미약품은 인적 분할을 통해 신설법인인 한미약품을 설립하고, 이전까지 영위하던 주요 사업을 한미약품으로 이전했다. 존속법인이던 옛 한미약품이 한미홀딩스로 재탄생한 것도 이 무렵이다. 한미홀딩스는 2012년 한미사이언스로 다시 사명을 바꿨다.

지주사 역할을 맡고 있는 한미사이언스의 그룹 내 위상은 확고하다. 한미사이언스는 올해 3월 말 기준 핵심 계열사인 한미약품의 지분 41.4%(490만2038주)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제이브이엠(37.4%), 온라인팜(100%), 에르무루스(98.6%), 일본한미약품(100%), HanmiEurope(100%). 한미(중국)유한공사(100%) 등에서도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 한미약품 휘하의 한미정밀화학(63.0%) 북경한미약품유한공사(73.7%)도 사실상 한미사이언스의 지배하에 놓여 있다. 한미사이언스 최대주주가 사실상 그룹 후계자로 인식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왕회장 잇는 후계 1순위 누구?
장남 유력하지만…지주사 지분이 핵심

다만 임 회장이 승계를 염두해 둔 지분 증여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는 명확한 후계구도를 속단하기 힘들다. 지난 3월 말 기준 한미사이언스 지분구조를 보면 특수관계인 보유 지분 총합은 66.5%(4386만1615주)고, 이 가운데 임 회장의 지분율은 34.3%(2262만4496주)였다. 

임 회장과 세 자녀의 지분율은 차이가 현격하다. 지난 3월 말 기준 지분율은 임종윤 사장 3.7%(240만9442주), 임주현 부사장 3.6%(234만1802주), 임종훈 부사장 3.1%(207만2901주)를 나타냈다.
 

법정 비율대로 상속이 진행되면 임 회장의 부인인 송영숙 여사가 가장 많은 상속분을 받게 된다. 송 여사는 1.5, 세 자녀는 각각 1의 비율로 주식을 물려받게 된다. 임 회장의 한미사이언스 지분 34.3%가 송 여사에게 11.4%, 세 자녀에게 각각 7.6%씩 할당되는 셈이다. 이 경우 지난 3월 말 기준 한미사이언스 지분율 1.3%(83만2777주)에 불과했던 송 여사는 단숨에 한미사이언스 최대주주에 등극한다.

만약 임 회장이 유언을 통해 상속 비율을 정했다면 임종윤 사장이 사실상 후계자로 낙점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 장남인 임종윤 사장은 2010년 7월 한미사이언스 공동 대표에 올랐다. 부친이 물러난 2016년부터 단독 대표를 맡아 한미사이언스 경영을 이끌고 있다.

재계에서는 임종윤 사장이 맡은 지주사 대표 직책이 사실상 후계자임을 암시한다고 보고 있다. 2000년 한미약품 전략팀 과장으로 입사한 임종윤 사장은 2004년 북경한미약품 기획실장, 2006년 총경리(사장)에 오르면서 실무를 익혔다. 임종윤 사장이 몸담던 시절 북경한미약품은 아동약품 시장 1위에 오르는 등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이를 토대로 임종윤 사장은 경영 능력 입증은 물론이고, 자신을 향한 세간의 우려를 불식시키는 데 성공했다.

-가능성 난무

변수는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이다. 신 회장은 올해 3월 말 기준 한미사이언스 지분 12.1%(800만8096주)를 보유한 2대주주다. 송 여사와 세 자녀의 지분율을 합친 것보다 높다. 승계 과정에서 잡음이 불거질 경우 신 회장이 캐스팅보트 역할을 수행할 여력은 충분하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