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이력서> (6)고사리

2020.07.22 11:33:51 호수 1280호

‘대반전의 나물’

오이, 쑥갓, 가지… 소박한 우리네 밥상의 주인공이자 <식재료 이력서>의 주역들이다. 심심한 맛에 투박한 외모를 가진 이들에게 무슨 이력이 있다는 것일까. 여러 방면의 책을 집필하고 칼럼을 기고해 온 황천우 작가의 남다른 호기심으로 탄생한 작품. ‘사람들이 식품을 그저 맛으로만 먹게 하지 말고 각 식품들의 이면을 들춰내 이야깃거리를 만들어 나름 의미를 주자’는 작가의 발상. 작가는 이 작품으로 인해 인간이 식품과의 인연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 ⓒpixabay


채미가(采薇歌)
고사리 캐며 부르는 노래

登彼西山兮(등피서산혜)
저 서산으로 올라가
採其薇矣(채기미의) 
고사리 캐었네
以暴易暴兮(이폭역폭혜) 
악을 악으로 바꾸면서
不知其非矣(부지기비의) 
그게 아닌 걸 알지 못하네
神農虞夏忽焉沒兮(신농우하홀언몰혜) 
신농과 우·하처럼 선양하던 시대 홀연히 지나가 버렸으니
我安適歸矣(아안적귀의) 
나는 어디에 의지할까
於嗟徂兮(어차조혜) 
아, 떠나가자
命之衰矣(명지쇠의) 
내 명 다하였구나

지조와 절개

상기 노래는 중국 춘추전국시대 당시 백이(伯夷)와 숙제(叔齊)가 주나라 무왕(周武王)에게 은(殷)나라를 치지 말 것을 충간했음에도 불구하고 은나라를 멸망시키자 산속으로 들어가 고사리만 캐먹으면서 부르던 노래다.

결국 백이와 숙제는 수양산에서 굶어 죽었는데, 이후 고사리는 선비의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는 나물로 자리매김한다.


그리고 이 일로 그 두 사람에 대해 공자는 ‘어질다’고 했으며 맹자는 ‘성인 중에 맑은 자’라고 일컬었다.

그런데 이 대목에서 의문이 일어난다.

굶어 죽으려고 작정한 사람들이 왜 고사리를 먹었느냐 하는 대목이다.

그냥 아무 것도 먹지 않고 죽음을 선택하면 될 일인데 굳이 고사리를 캐먹으며, 더해 노래까지 부른 그 이유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관련해 혹자는 두 사람이 고사리를 캐먹은 일에 대해 주나라의 녹봉을 거부했다는 의미로 해석하지만 필자는 달리 생각한다.

즉 고사리에 함유돼있는 브라켄톡신이라는 발암물질 때문이다.

현대 의학서 그 용어를 명확하게 지칭하고 있지만, 그 무렵에도 고사리의 위해 성분에 대해 백이와 숙제도 잘 알고 있었으리라 생각한다.

아울러 백이와 숙제는 고사리를 섭취함으로써 일찌감치 죽음을 선택한 게 아닌가 하는 생각하게 된다. 

고사리에는 상기에 언급한 대로 발암물질이 함유돼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고사리를 생으로 먹었을 경우에 한한다.


그러나 고사리를 삶으면 그 성분은 사라지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 역시 없어지며 영양의 보고로 변신한다.

따라서 필자는 고사리를 ‘대반전의 나물’로 지칭하고는 한다.

이를 이응희와 서거정이 놓칠 리 없다.

먼저 이응희 작품이다.

蕨(궐)
고사리

山中春雨洽(산중춘우흡)
산속이 봄비로 축축해지니
新折蕨芽時(신절궐아시)
새롭게 돋아난 고사리순 꺾을 때라네
短頸兒拳小(단경아권소)
짧은 머리 아이 주먹처럼 조그마하고
長莖玉筯奇(장경옥저기) 
긴 줄기 옥 젓가락처럼 기이하네 
持盃香煎好(지배향전호) 
술 마실 때 달이면 향기 좋고 
當食軟湯宜(당식연탕의)
식사할 때 국 끓이면 연하다네
若使黃公食(약사황공식)
만약 황공이 먹었다면
何勞採紫芝(하로채자지)
어찌 애써 붉은 영지 캤겠는가

이응희에 의하면 고사리가 紫芝(자지, 붉은 영지)보다 좋다는 이야기로 황공은 진(秦)나라 말기에 난리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상산사호(商山四皓) 중 한 사람인 하황공(夏黃公)을 가리킨다. 

이들은 한 고조(漢高祖)의 초빙에도 응하지 않고 자지를 캐먹고 지내면서 ‘자지가(紫芝歌)’를 지어 스스로 노래했는데, 그 가사에 ‘무성한 자지여, 요기할 만하도다. 요순시대는 이미 지나갔으니, 우리가 어디로 돌아갈거나’ 했다.

다음은 서거정 작품이다.


생으로 먹으면 발암, 삶으면 영양의 보고로
백이숙제가 쓴 시, 선비의 지조·절개 상징

蕨(궐)
고사리

誰採西山種(수채서산종)  
누가 서산의 종자 캐왔는가 
能來滿眼前(능래만안전) 
내게 와 눈앞에 가득하네  
宜充老人腹(의충노인복) 
마땅히 노인의 배 채우고
解比小兒拳(해비소아권)
어린아이 주먹에 비함 알겠네
滋味元來淡(자미원래담)
좋은 맛은 원래 담백한데
淸香不染羶(청향불염전)
맑은 향은 누린내 풍기지 않네
何曾何似者(하증하사자)
하증은 어떤 사람이기에
一食費千錢(일식불천전)
한 끼에 천전을 지불했는가

붉은 영지보다

마지막 부분에 대한 부연설명이다.

진 무제(晉武帝) 때 벼슬이 태위(太尉)에 이른 하증은 본디 호사하기를 좋아해 궁실, 거마, 의복, 음식 등에 있어 모두 왕자(王者)보다 사치하기를 힘썼는데, 특히 날마다 만 전(錢)어치씩의 음식을 차려 먹으면서도 오히려 ‘젓가락을 내려 집을 것이 없다’고까지 했던 데서 온 말이다.
 

<계속>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