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잔치’ KFC코리아 실상

2020.05.18 10:02:50 호수 1271호

구멍 난 곳간 ‘줄줄 샌다’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구동환 기자 = 부진의 늪에서 신음하던 KFC코리아가 반등을 준비하고 있다. 끝없이 추락하던 실적은 조금씩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고, 새 주인의 후방 지원도 든든하다. 하지만 딱 거기까지다. 빨간불이 켜진 재무건전성은 수년이 지나도록 개선이 요원하다. 구멍 난 곳간은 좀처럼 메꿔지지 않고 있다. 
 

▲ KFC ⓒ고성준 기자

 



KFC코리아(이하 KFC)는 2017년 5월 KG그룹 계열로 편입됐다. 계열사인 KG 올앳이  출자해 설립한 KG F&B가 KFC 지분 100%를 보유한 레스토랑인베스트먼트코리아를 인수합병한 데 따른 변화였다. 

치솟는 부채

추락을 거듭하던 KFC는 KG그룹 편입과 함께 수익성 개선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다. 인수 첫해였던 2017년에는 영업손실만 173억원에 달했지만, 이듬해 적자 규모를 15억4600만원으로 줄이더니, 지난해에는 39억2800만원 흑자로 돌아서는 데 성공했다.

당기순손익 항목서도 긍정적인 신호가 감지됐다. 2017년 189억8900만원에 달했던 KFC의 순손실 규모는 이듬해 57억1500만원으로 급감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10억원 밑으로 떨어졌다. 잡손실로 처리된 비용을 전년(28억5800만원) 대비 25.85% 수준인 8억5300만원으로 최소화시킨 게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하지만 수익성 개선과 별개로 KFC의 재무건전성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 과도한 부채가 자칫 회사를 수렁에 빠뜨릴 가능성마저 엿보인다.


지난해 말 기준 KFC의 총자산(총자본+총부채)은 1450억8900만원으로, 전년(719억원) 대비 2배 이상 늘어났다. 2018년 680억2800만원서 지난해 1428억2500원으로 급증한 총부채가 총자산의 증가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총부채의 비약적인 증가는 가뜩이나 심각했던 KFC의 부채비율을 더욱 악화시켰다. 2017년 559.7%였던 KFC의 부채비율(총부채/총자본)은 이듬해 1758.2%로 뛰어오른 데 이어, 지난해에는 무려 6308.5%까지 치솟았다. 시장에서는 부채비율 200% 이하를 적정 수준으로 인식한다.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도 적정치를 한참 하회한다. 2018년 40.6%였던 KFC의 유동비율은 지난해 21.6% 수준으로 떨어졌다. 지난해 말 기준 유동자산과 유동부채는 각각 168억7500만원, 782억9400만원이다. 유동비율은 기업이 보유하는 지급능력이나 신용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서, 통상 200% 이상을 적정 수준으로 인식한다.

부채·유동비율의 악화는 회계기준 변경에 기인한다. 지난해 1월부터 새롭게 적용된 ‘K-IFRS 제1116호’는 운용리스를 금융리스와 동일하게 재무제표에 리스자산과 리스부채로 계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전까지는 금융리스 이용자만 리스관련 자산·부채를 계상해왔다.

K-IFRS 제1116호 적용에 따라, 지난해부터 리스부채 692억원(유동 198억원+비유동 494억원)이 KFC 재무제표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회계기준 변경의 영향으로 차입금 항목 역시 급격한 변동이 가해졌다. 2018년 269억2900만원이던 KFC의 총차입금은 지난해 966억7300만원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총차입금의 급증은 692억원에 달하는 리스부채가 지난해부터 차임금으로 분류된 탓이다.

고비 넘긴 듯 보이지만…
부채비율 6000% ‘어쩌나’

총차입금 중에서 1년 내 상환을 필요로 하는 금액은 2018년 258억3300만원서 지난해 457억4800만원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단기차임금(255억원), 유동성리스부채(198억원), 유동성장기차입금(4억1100만원)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당장 갚아야 할 금액은 증가했지만 KG그룹의 든든한 지원에 힘입어 상환 압박은 일정 부분 해소했다. 지난해 말 기준 KFC의 단기차임금은 전년과 동일한 255억원이다. 이 가운데 175억원은 KG이니시스(100억원)와 KG 올앳(75억원)이 2.88% 이자율로 빌려준 금액이다.

총차입금이 껑충 뛰면서 차임금의존도(차입금/총자산)는 무섭게 치솟았다. 2017년과 2018년에 각각 35.4%, 37.5%였던 차임금의존도는 지난해 66.6%로 집계됐다. 통상 차임금의존도는 30% 이하를 적정 수준으로 인식한다.
 

▲ ▲

재무건전성 악화를 초래하는 자본과 부채의 심각한 불균형을 타개하기 위해서라도 KFC 자본 확충에 몰두해야 하는 상황이다. 물론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결손금이 잔뜩 쌓였기 때문이다.

2015년까지 순이익을 착실히 쌓아온 KFC는 당해에 342억원의 이익잉여금을 확보한 상태였다. 하지만 이듬해부터 상황은 급반전됐다. 2016년 189억8900만원을 시작으로 순손실이 거듭된 탓에 이익잉여금은 2017년부터 결손금으로 전환됐고, 지난해 말 기준 결손금만 110억9500만원이 쌓인 상태였다.

심지어 2018년부터 총자본을 까먹기 시작하면서 납입자본금(91억3000만원)이 총자본을 웃도는 ‘부분자본잠식’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총자본은 납입자본금의 25% 수준에 불과했다.

결국 KFC는 난국 타개를 위해 배당을 비롯한 현금유출을 차단한 채 순이익을 최대한 발생시켜 이익잉여금 증대를 꾀해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 차입금의 반대급부였던 이자가 순이익을 갉아먹는 까닭이다. 

껍데기만 남아

2018년 9억6600만원이었던 금융비용은 지난해 31억4900만원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영업이익의 80%가 금융비용으로 빠져나간 셈이다. 지난해부터 금융비용 항목에 모습을 드러낸 리스부채이자비용이 22억1600만원으로 인식됐으며, 차입금에 따른 이자비용은 8억5300만원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