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갤러리도스 기획공모전 ‘사적언어’

2019.07.08 10:22:43 호수 1226호

작품으로 구현한 또 다른 언어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종로구 소재 갤러리도스는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 각각 두 번의 공모전을 진행한다. 매번 새로운 주제를 가지고 여러 작가들이 자신들의 작품세계를 참신하게 풀어내는 자리를 만들고자 하는 의도다. 10명의 작가들이 꾸미는 이번 하반기 기획공모전의 주제는 사적언어.
 

▲ 이충우-objets singuliers ‘또는 재현을 위한 도구들’_installation_혼합재료_2019


갤러리도스가 10명의 작가들과 함께 기획공모전을 준비했다. 이들은 다음 달 6일까지 릴레이 형식으로 관람객들을 만난다.

인간은 언어를 사용해 자신의 생각과 느낌, 감정 등을 상대방에게 표현하고 전달한다. 전달자의 억양이나 말투, 표정 등 다양한 요소가 더해져 여러 해석을 낳을 수 있지만, 각 단어가 지닌 본연의 뜻은 사회적·문화적 합의에 의해 정해져 있다.

예술의 매력

작가들은 말이 아닌 작품을 통해 관람객들과 소통한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예술은 작가가 구현해낸 사적인 언어에 가깝다. 관람객들은 시각적 형상화를 통해 구현된 작품을 토대로 작가가 던진 언어를 유추하고 해석해야 한다.

때로는 예술이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다. 하지만 같은 작품이라도 자신만의 방식으로 자유롭게 해석할 수 있다는 점은 예술이 가진 매력이다. 작가의 작품은 관람객들에게 무궁무진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김인수= 김인수는 작품을 바라보는 이들에게 각자의 축적된 삶을 돌아보고 조용히 사색하는 힘을 주고자 한다. 또 몰입의 흔적을 보고 수행과도 닮아 있는 작업과정이 주는 카타르시스가 관람객들에게도 전달되길 바란다. 그는 작품을 통해 재탄생된 숲속서 잠시라도 삶을 환기시키고, 쉼을 누리고, 또 다른 긍정적인 에너지를 받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 강한별- Ocean Affair_Acrylic on canvas_30x30 cm_2019

김희주= 외부서 회화 세계를 구성하는 작가와 회화 세계와의 관계에 대해 질문하며 그 둘 사이의 공간을 시각적으로 구현한다. 3차원의 깊이 공간이나 2차원의 평면 공간이 아니라 회화 표면 위 높이 공간을 탐구하는 방식이다. 김희주의 작업은 무지의 존재들이 자신의 방식으로 관계 맺으려 하는 미미한 당김과 밀침의 기록이다.

작가 10명 릴레이 전시
각자 다른 방식의 소통

강한별= 강한별은 눈앞에서 마주하는 낯선 장면을 회화적으로 재현하고 설치·구축해왔다. 시작은 어릴 적 눈앞에 놓인 유리잔 하나. 사물과 공간의 존재적 경계의 무효함, 순간의 장면과 장면 사이의 정의되지 않은 가능성에 대한 생각은 작업의 바탕이 됐다. 결국 그의 회화는 현존하는 순간들에 대한 씨름의 장이다.

정나영= 정나영은 주체는 근원적인 결여를 내포한 존재로, 이를 충족시키려는 욕망의 메커니즘에 사로잡혀 있다완전한 합일을 지향하지만 좌절하고 또 다른 결여를 생산해 욕망을 자극한다고 말했다. 이어 결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상은 존재하지 않는다이 대상서 저 대상으로 옮기는 과정을 무한 반복하는 게 소외된 주체의 숙명이라고 덧붙였다.

하지인= 하지인은 흘러가는 시간 그 자체에 의미가 있다고 본다. 겹겹이 쌓인 불완전함은 내일을 기다리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이 과정서 스스로 만든 이야기는 그 자체가 의미로 작용한다. 하지인의 작품 속 반복되는 선과 칠은 무의미한 듯 권태로워 보이지만, 묻히기보다는 새로운 레이어를 만들어나가며 작가가 시간 속에 흘러가고 있음을 드러낸다.
 

▲ 김희주.작고 많은 소리들 no12. 종이 위에 펜. 131-260cm. 2018

윤혜선= 윤혜선은 빛이 반쯤 스며든 곳, 안개가 자욱한 것처럼 흐리멍덩하고 축축하고 눅눅한 초록의 이끼, 색이 바라거나 스러진 것들 등 누가 보지 않을 것 같은 곳에 마음을 빼앗긴다고 전했다. 무심코 보게 된 이미지, 익숙한 거리의 낯선 공간은 특히 좋은 피사체다. 그는 거대한 숲 안에서 헤매듯 불안함을 미지의 풍경으로 그려낸다고 말했다.

강민희= 사람과 사람 사이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미묘한 감정들이 상대방에게 암묵적으로 전해질 때면 마음이 더없이 애절하고 간절하다. 강민희는 이를 빈 편지에 비유했다. 그는 아무 것도 적혀 있지 않은 빈 편지는 표현과 비표현이 동거하는 추상화로서, 의미에 제한받지 않고 원초적 감정을 가장 순수하게 표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람객들은 다양한 경험
“소통과 공감의 장 되길 ”

이진영= 이진영은 랩을 작품의 주요 소재로 사용한다. 투명한 랩을 겹쳐 그 안의 물건을 희미하게 보여주기도 하고, 그 단면 사이로 비집고 보이는 물건의 일부분을 드러내기도 한다. 이 같은 작업들은 희뿌옇게 떠올리는 기억과 일상의 사건들로부터 시간이 지나 점차 무뎌지는 우리의 시선을 보여주고자 한 작가의 의도와 맞닿아 있다.


오지민= 오지민은 대화의 장소, 식사 시간에 모티브를 얻는다. 대화의 미끄러짐, 얇고 넘치는 공감들, 화자와 청자 간의 미끄러지는 해석 등 다른 존재들과의 대화 모습을 음식으로, 그것을 다시 추상적 형태로 환원해 그린다. 그는 부정, 긍정, 말의 오고 감, 눌림과 겹침 등을 물감의 물질성을 통해 표현한다.
 

▲ 이진영-1_Layer_bookshelf1_2019_170x106cm_아크릴거울, 투명시트지인쇄, 공업용랩

이충우= 이충우의 작품은 재현의 방식에서 표상되는 언표와 언술행위에의 관심서 시작된다. 저작 활동 중 재현을 위해 사용되는 그들의 생각과 도구, 대상서 모티브를 얻는다. 이번 전시에선 재현에 필요한 도구들을 복제하고, 모양은 닮은꼴이지만 사용가치를 상실한 도구들과 오브제화된 대상을 전시함으로써 그 관계들을 이야기하고자 했다.

작가들의 개성

갤러리도스 관계자는 이번 기획공모전 사적언어는 작가만의 고유한 사적언어가 주는 흥미로움을 통해 관객과의 소통과 공감으로 이어질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기획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