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초대석> 지득호 ㈜민에코 대표

2019.07.08 10:18:50 호수 1226호

“대구지하철참사 보고 ‘불연자재’ 개발했죠”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세상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 한 번 바뀌는 데 10년이 걸린다던 강산은 이제 실시간으로 새롭게 탈바꿈하는 중이다. 그 사이 사업의 가치는 성장 일변도서 환경, 복지, 더불어 사는 삶으로 옮겨가는 모양새다. 사회의 변화와 세상의 흐름에 발맞춰 나아가고 있는 민에코의 지득호 대표를 만났다.
 

▲ 인터뷰 갖는 지득호 ㈜민에코 대표


지난달 26일 오후 서울 은평구 은명초등학교서 불이 났다. 은명초 별관 건물 1층 창고서 시작된 불은 채 1분도 안 돼 천장까지 번지면서 건물 전체를 집어 삼켰다. 불이 났을 당시 학교에는 학생 116명과 교사 11명 등 총 127명이 있던 것으로 파악됐다. 학생들은 교사들의 지도에 따라 빠르게 대피해 큰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소비자와 함께

지난달 28일 경기 하남시 미사센텀비즈 민에코 사무실서 만난 지득호 대표는 인터뷰가 시작되자마자 은명초 화재 사건을 언급했다. 그는 인명피해가 없어서 천만다행이라며 언론을 통해 화재사건을 볼 때마다 예방할 수 있었을 텐데라는 생각에 안타까움이 밀려온다고 말했다.

이어 학생들이 공부하는 학교나 사람들이 많이 오가는 공공기관은 과거에 비해 화재 방지를 위한 노력이 많이 진행됐다고 생각했는데, 그래도 여전히 사각지대가 많다집합건물이나 일반 아파트도 그렇다고 말했다.

지 대표는특히 불이 나도 수감자들이 대피하기 어려운 교도소나 구치소,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많은 요양병원 등은 사각 중의 사각지대라고 우려했다.


실제 안전에 대한 시민 의식이 높아지고 있는 것과는 별개로 건축물의 화재 대비 상황은 열악하다. 낙후된 건물일수록 화재 위험은 물론 화재로 인한 피해 예상 규모도 크다.

1993년 사업을 시작한 이래 줄곧 가구 생산에 몰두해온 지 대표는 2003년 출장 중 대구지하철참사를 가까이서 보게 된다. 192명이 사망한 이 사건은 그에게 큰 충격을 안겼다. 그는 유독가스로 인해 사람들이 죽어가는 것을 보고 불연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지 대표는 주력으로 삼았던 가구 사업을 기반으로 2009년 법인을 설립하기에 이른다. 사명은 백성 민’()과 환경·생태를 뜻하는 ‘Eco’를 합쳐 민에코로 정했다. 그는 브랜드를 정할 때 백성 민을 쓴 이유는 사람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겠다는 의미라며 또 환경과 자연을 생각해 브랜드를 초록색으로 입혔다고 설명했다.

소비자 만족을 최우선 가치로
봉사센터 두고 재능기부 추진

민에코는 친환경 불연 건축자재 에코을 개발, 시장 공략에 나섰다. 에코은 불에 타지 않을뿐더러 불이 붙어도 유독가스가 나오지 않는다. 타일이나 석재 마감보다 시공이 빠르기 때문에 원가 절감 효과도 있다.

긁힘에 강하고 제품의 두께가 두꺼워 단열 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소비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객 만족도가 높다.

실제 민에코의 제품은 학교 교실, 화장실, 복도, 음악실, 강당 등을 비롯해 지하철, 병원, 요양병원, 장애인 시설, 영화관, 골프 연습장 등에 들어가 있다. 노래방, 찜질방, 고시원, 모텔 등 화재에 취약한 다중이용시설에도 많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일반 가정집의 내장재 등 실내 인테리어를 바꾸는 일도 하고 있다.

지 대표는 가구는 소비자의 기분에 따라 배치를 옮기거나 아예 교체하는 방식으로 변화가 가능하다. 하지만 내장재는 리모델링 전까지는 사람하고 같이 생활하는 것이다. 일종의 가족과 같다그렇기 때문에 우리 회사는 바닥·천장·벽 등의 내장재를 한번에 원스톱으로 바꿔 소비자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일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10년 전 그가 처음 이 사업에 뛰어들었을 때만 해도 친환경 건축자재를 바라보는 시선은 한쪽으로 치우쳐 있었다. ‘특정 장소에만 사용될 것이다’ ‘일부 사람만 이용할 것이다와 같은 인식이 컸다.

하지만 현재 친환경 건축자재 시장은 경기 불황에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건물을 새로 짓는 시대를 지나 리모델링 시대에 접어들면서 친환경 건축자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이다.


지 대표는 제가 처음 이 사업에 발을 디딜 때까지만 해도 우리 회사가 선두주자였는데, 지금은 5060개의 중소기업들이 경쟁하고 있다소비자들의 요구를 최대한 만족시킬 수 있도록 디자인, 색깔, 콘셉트 등으로 제품을 세분화·다양화해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적인 요인 등 사회적 인식 때문인지 건축 현장에서는 친환경 건축자재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은 아니다라며 그 사이 정말 많은 사각지대가 방치돼있어 애석한 마음이 든다고 했다.

‘성장과 복지’로
두 마리 토끼 잡는다

그러면서도 좋게 생각하면 아직 친환경 건축자재 시장이 성장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는 것이라며 사회 변화와 흐름에 따라 시장의 규모는 계속 커질 것이라고 자신했다.

지 대표의 현재 관심사는 민에코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소비자의 신뢰 구축, 그리고 새로운 시장 개척이다. 그는 요즘 추세는 제품이 소비자의 결정에 얼마나 호응할 수 있는지 여부라며 제품에 대한 호응도나 구매력이 결국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단계까지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이든 대기업이든 브랜드 이미지는 한번 꺾이면 회복이 어려운 부분이라며 브랜드 가치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표이사와 직원들의 인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 지 대표는 성장에 대해 욕심을 내기보다는 소비자들의 신뢰와 신용을 바탕으로 한발 한발 나아가겠다는 입장이다.
 

지 대표는 이 과정서 학생 수 감소로 폐교되는 학교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전국에 폐교되는 학교가 20003000개에 이른다. 대학교도 곧 38개가 없어진다. 이미 활용 방안을 마련해 잘 사용하는 곳도 있지만 아닌 곳도 있다학생들이 사라진 학교를 어떻게 탈바꿈시킬 수 있을지 그 방법에 대해 고민해볼 것이라고 전했다.

사업적 목표에 있어 조용한 성장을 강조한 지 대표는 개인적인 목표를 언급하는 과정서 조금 더 원대한 포부를 드러냈다. 동국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 행정대학원서 사회복지 과정을 공부한 그는 더 나이 들기 전에 큰 봉사단체를 만들고 싶다고 밝혔다.

지인들이나 어르신들이 더불어 살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다는 것.


더불어 사는 삶

그는 나 같은 386세대들이 이제 곧 정년을 맞는다. 이 사람들의 숫자가 740만명에 달하는데 갈 데가 없는 게 문제라며 이들이 살아오면서 겪은 노하우를 젊은 세대에게 재능기부 형식으로 전달해주거나 기록으로 남겨둔다면 큰 도움이 되지 않겠나라며 국가에 평생 세금 내고 살았지만 그 이상으로 국가로부터 받은 게 많다. 돌려주고 가고 싶다고 웃음 지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