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옐로모바일 현주소

2019.06.17 10:09:16 호수 1223호

유니콘 날개에 깊어지는 상처

[일요시사 취재1팀] 김정수 기자 = ‘스타트업 연합’으로 알려진 옐로모바일의 앞날이 불투명하다. 옐로모바일은 한때 유니콘 기업으로 승승장구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무리한 사세 확장에 따른 부작용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옐로모바일은 영업손실과 줄소송에 이어 최근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을 부여받기도 했다. 옐로모바일은 어수선한 상황을 수습해낼 수 있을까.
 



“옐로모바일은 2019년 한 해 동안 핀테크와 블록체인, 헬스케어 등 주력 시장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내실 다지기에 나설 것입니다. 또 급변하는 대내외 시장 상황 속에서 현명하게 위기에 대처하고, 신성장 동력을 발굴해 의미 있는 성과를 낼 계획입니다.”

성과 계획

이상혁 옐로모바일 대표이사의 각오는 다부졌다. 옐로모바일은 지난날의 기대를 성과로 전환하겠다는 의지였으나 최근까지 줄곧 악화일로를 걷는 형국이다. 옐로모바일은 ‘유니콘 기업’으로 각광받은 바 있다. 유니콘 기업이란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스타트업을 일컫는다. 실제로 옐로모바일은 쿠팡과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비바리퍼블리카(토스), 크래프톤(옛 블루홀), L&P코스메틱 등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옐로모바일의 전신은 광고대행사 아이마케팅코리아로 지난 2012년 8월 이 대표이사가 설립한 회사로 이듬해 사명을 옐로모바일로 교체했다.

옐로모바일은 스타트업 기업을 인수하면서 세력을 넓혔는데 ‘지분 스와프 방식’으로 부족했던 자금을 대신했다. 지분 스와프는 피인수 기업의 지분 취득 대가로 인수 기업의 지분 일부를 나눠주는 방식이다. 옐로모바일은 공격적인 인수합병을 통해 130여개의 계열사를 꾸렸고, 이후 4조원대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았다.


최근 옐로모바일은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4억5300만원의 과징금을 부여받았다. 부채 한도 규정을 위반했다는 이유에서다.

공정거래법에 따르면 지주회사의 자본금 대비 부채 비율은 2배를 넘지 못한다. 지주회사의 부채를 통한 무리한 인수합병(M&A)이나 투자 등에 제한을 두기 위해서다. 다만 지주회사로 전환하거나 설립될 당시 자본총액의 2배를 초과하는 부채액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2년간 자본총액의 2배를 초과하는 부채액을 보유할 수 있다.

옐로모바일은 지난 2015년 3월 지주회사로 전환한 바 있다.

옐로모바일은 2016년 1124억원가량의 전환사채를 발행했다. 2016년 말 기준 옐로모바일의 부채비율은 346.8%로 뛰었다. 이어 2017년 다수의 단기차입금으로 인해 2017년 7월 기준 부채비율이 757.7%로 상승했다.

옐로모바일은 3년 연속 당기순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 2016년 연결기준 1424억원의 손실을 시작으로 2017년 951억원, 2018년 1180억원의 손실을 보고 있다. 영업수익은 4427억원서 5105억원, 4699억원이었지만 영업비용이 4708억원, 5070억원, 5017억원이었다. 영업이익은 280억원 손실에 이어 2017년 35억원으로 흑자 전환됐지만, 2018년 318억원으로 적자 전환됐다.

옐로모바일은 2년 연속 ‘감사의견 거절’을 받았다.

삼일회계법인은 옐로모바일의 지난해 사업보고서에 “2018년 12월31일로 종료되는 보고기간에 순손실 1180억원이 발생했고, 재무제표일 현재로 유동부채가 유동자산보다 2760억원만큼 초과한다”며 “이러한 사건이나 상황은 지분 양수도 해제, 주요 자산의 양도 및 소송 취하 등과 더불어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유의적 의문을 제기할 만한 중요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공격적 인수합병, 비대한 몸집
겹겹이 악재…순항 가능성은?

정부의 혁신벤처기업인 간담회서 제외된 것도 뼈아팠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월 1세대 벤처기업인과 유니콘 기업인들을 초청해 간담회를 가졌다. 그러나 옐로모바일의 이름을 찾아볼 수 없었다. 당시 고민정 청와대 부대변인은 “옐로모바일은 최근 기업가치가 많이 떨어진 것으로 보여 그곳은 빠진 상태로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주요 이해관계자들과의 법적 소송도 간과하기 어렵다. 옐로모바일과 계열사 등은 주식매매대금, 대여금 등과 관련한 재무적 소송에 피소됐다.


다만 옐로모바일의 주요 법적 분쟁은 해소되고 있는 모양새다. 옐로모바일은 올해 1분기 사업보고서 공시를 통해 알펜루트 자산운용, 코인원 등 주요 파트너와의 소송건이 종결 및 합의됐다고 밝혔다.

알펜루트는 옐로모바일과 169억원의 매매대금 반환 소송, 코인원은 대여금 270억원 반환 소송을 치르고 있었다. 옐로모바일은 알펜루트와 상호 합의하에 소송을 취하했고, 코인원의 경우 대여금 일부를 상환한 뒤 추후 단계적 상환에 나서기로 했다.
 

옐로모바일은 지난달 22일 주요 이해관계자들과의 법적 소송을 원만하게 매듭짓고 재도약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내부 결속력을 더욱 공고히 하고 이 대표이사 중심의 책임경영을 통해 신규 성장 동력 발굴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 대표이사는 “계열 상장사들을 중심으로 핵심 사업에 박차를 가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표하는 데이터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옐로모바일은 스마트시티와 헬스케어 O2O, 애드테크 등을 주력사업으로 삼을 전망이다. 해당 사업들은 그룹 핵심 계열사가 수행하게 된다. 스마트시티는 ‘데일리블록체인’이, 헬스케어의 경우 ‘캐어랩스’가 맡게 된다. 애드테크는 ‘퓨쳐스트림네트웍스’가 담당한다. 이들은 모두 코스닥 상장사다.

옐로모바일은 체질 개선을 통해 반등을 노리겠다는 입장이다. 2016년 하반기부터 지배구조를 본사, 중간지주사(5개), 손자회사(60개)로 개편하고 전체 계열사 수를 줄이겠다고 밝혔다. 회사의 재무건전성을 강화하고 거미줄처럼 얽히고설킨 복잡성을 해결하겠다는 의지다.

이 대표는 지난 3월 정기 주주총회서 연임에 성공했다. 당시 회사 경영 악화에 따른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컸다. 이 대표의 연임안 통과 여부에 부정적인 시각이 컸던 까닭이다. 그러나 참석 주주 90% 이상이 이 대표의 연임을 지지했다.

첩첩산중

현재 옐로모바일의 최대주주는 이 대표다. 이 대표는 옐로모바일 지분 29.54%를 보유하고 있다. 이 대표의 임기는 2022년 3월까지 연장됐다. 연임에 성공한 이 대표의 기업가치 제고 전략이 통할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