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삼국비사 (110)후사

2018.11.27 11:30:46 호수 1194호

죽음 앞둔 무열왕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신라군이 당의 지시에 의해 고구려 남쪽을 치려는 즈음에 고구려 장수 뇌음신에 의해 북한산성에 주둔하고 있던 신라군이 고전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그 소식을 접한 김유신이 급히 지원군을 편성하여 북한산성으로 급파하려는 중에 무열왕이 김유신을 찾았다. 

유신이 걸음을 급히 하여 대전에 이르자 한 스님이 함께 자리하고 있었다. 

원효와의 만남

“상대등 대감, 소승 원효라 하옵니다.”


의아한 시선으로 스님을 바라보자 스님이 가볍게 합장하고 자신의 이름을 밝혔다.

유신이 뚫어져라 원효를 주시했다.

원효는 육두품 출신으로 내마(奈麻, 17관등 중 13번째 작위)인 담날의 아들이다.

일찌감치 승려가 되어 수도에 전진하였던 인물로 진덕여왕 시절 의상과 함께 당나라로 유학길을 떠나 요동까지 갔다가 도중에 고구려 순찰대에 잡혀 돌아와 황룡사에서 불도에 정진하고 있었다.

“그러면 스님이!”

말을 하다 말고 유신이 미소를 보였다.

“송구하옵니다, 상대등 대감.”

유신이 가만히 저잣거리에 회자되던 노래를 떠올렸다.

‘누가 내게 자루 없는 도끼를 빌려 주려는가. 나는 하늘을 떠받칠 기둥을 찍으리라.’

“그런데, 어인 일로.”


“짐이 불렀소.”

유신이 무열왕과 원효를 번갈아 주시했다.

“짐이 스님에게 자루 없는 도끼를 빌려 주려하오.”

“자루 없는 도끼라면 무엇을 의미하는지요?”

무열왕이 답에 앞서 원효를 주시하자 가만히 합장했다.

“그 다음이 중요하지요.”

그 다음 절을, 하늘을 떠받칠 기둥을 찍으리라, 생각하며 원효를 유심히 주시했다.

“그런 연유로 짐이 원효 스님에게 부탁하려 하오.”

“무엇을?”


“바로 이야기하겠소. 스님을 짐의 사위로 삼고자 하오.”

“요석공주와!” 

요석공주, 춘추의 셋째 딸로 백제와의 전투에서 사망한 김흠운의 부인으로 홀로 지내고 있었다.

“그래요. 공주도 적적하게 혼자 지내고 있으니. 그런데 스님이 간절히 공주를 흠모하고 있어 짐이 공주와 스님의 혼례를 이루어 주려 하오.”

“그게 가능합니까?”

유신이 의아하다는 표정을 지으며 원효를 주시했다.

“뭐든 마음먹기 나름 아니겠습니까?”

“그도 일리 있지만. 그런 경우라면 파계 아닙니까?”

“파계란 중생들이 만들어 놓은 제약에 불과하지요. 부처님의 교리는 어느 곳에도 치우치지 않는 깨달음 즉 중도가 핵심입니다.”

유신이 가볍게 고개를 끄덕여 주었다.

“그런데 소신은 무슨 일로 찾으셨습니까?”

“이미 짐의 마음이 정리되었고, 그래서 짐의 사위인 두 사람과 긴히 상의할 일이 있어 불렀소.”

김유신과 원효를 불러들이다
“권력은 김유신 불교는 원효”

무열왕이 잔잔한 미소를 지으며 두 사람을 번갈아 바라보았다.

유신 역시 자신을 바라보는 무열왕의 얼굴을 찬찬히 살펴보았다.

비록 미소를 짓고 있지만 표정에서 공허한 빛이 감지되었다.

“말씀 주시지요.”

마치 무열왕이 유신의 시선을 피하듯이 천장으로 고개를 돌렸다.

순간 원효가 가볍게 합장했다.

“곧바로 이야기하겠소. 그동안 백제와 전쟁 때문에 쉬쉬했는데 짐의 생명이 그다지 오래 남지 않은 듯하오.”

유신이 믿기지 않는지 멍한 표정으로 무열왕을 주시했다.

“전하!”

잠시 후 무열왕을 부르는 유신의 목소리에 가래가 함께 묻어나왔다.

“여하튼 그를 떠나서라도.”

무열왕이 잠시 말을 멈추었다. 

“새로이 사위도 맞으며 신라의 내일을 그려보고자 하오.”

유신이 차마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짐이 왜 원효 스님을 사위로 삼고자 하는지 아시오?”

“말씀해 주시지요.”

“한 국가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 필요한 부분이 무엇이라 보시오?”

“당연히 권력과...”

말을 하다 말고 유신이 원효를 주시했다. 

“권력 못지않게 중요한 부분이 바로 불교요. 그런 연유로 짐은 두 사람에게 어려운 부탁하려 하오.”

“부탁이라니요, 그저 하라 하십시요.”

“그래서 짐은 결정 내렸소. 권력은 상대등 대감에게 불교는 새로 사위가 될 원효스님에게 맡기기로.”

“전하, 바로 말씀 주십시오.”

무열왕이 답에 앞서 가벼이 한숨을 내쉬었다.

“짐의 생명이 그리 오래 이어지지 못할 듯합니다. 그래서 짐의 사후를 논하고자 이리 급하게 불렀소.”

유신이 찬찬히 무열왕의 얼굴을 주시했다.

그 말이 있어서 그런지 생명의 기운이 서서히 엷어지는 듯했다.

“전하, 불충한 소신을 용서하여 주소서.”

임금으로서 그리고 백제와의 전쟁을 치르면서 그야말로 정신적 육체적으로 혹사에 이를 정도로 동분서주했던 일을 떠올렸다.

“아니오, 대감. 짐의 덕이 아니 짐이 강건치 못하여 이리되었는데 그를 두고 남을 탓할 수는 없소. 특히 처남에게는. 여하튼 후사에 대해서 두 분과 논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유사시에 당연히 태자 저하께서 있지 않습니까?”

“물론 태자가 있지요. 그런데.”

“무슨 문제 있습니까?”

“당나라의 입장을 살피지 않을 수 없소.”

무열왕이 다시 천장을 바라보며 한숨을 내쉬었다.

“당나라 입장이 어떠하기에 그러십니까?”

후사도 문제

“당나라에서는 내심 태자가 아닌 인문을 생각하고 있는 듯합니다.”

“정식으로 입장 표명이 있었습니까?”

“그런 일이 정식으로 제기되지는 않지요, 특히 신라의 상국이라 생각한다면.”

이른바 알아서 기는 문제였다.

유신이 그를 생각하며 한숨을 내쉬었다.

“상대등 대감도 이제는 기가 많이 꺾인 듯하오.”

무열왕의 얼굴로 쓸쓸한 미소가 흘렀다.

“전하, 대감께서는 아직도 혈기왕성하십니다.”

원효가 은근한 목소리로 껴들었다.

무열왕이 서둘러 마무리했다.

“전하, 비록 신라가 당나라의 눈치를 살피지 않을 수 없는 입장이지만 이는 신라 내부의 문제입니다. 전하께서 여하한 결정을 내리신다 해도 당나라에서 내색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니 너무 심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상대등 대감 의견을 살펴 주시오소서.”

“스님의 생각도 그러하오?”

“그러합니다. 아무리 상국이라 하여도 개입하지 말아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무열왕이 고개를 끄덕였다.

“그래서 말인데.”

“말씀하십시오, 전하.”

“만약에 보위 문제로 불상사가 발생하면 상대등 대감과 스님은 당의 황후에게 의탁하십시오.”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