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삼국비사 (107)깨달음

2018.11.06 09:18:23 호수 1191호

염불보다 잿밥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


온사문이 눈을 뜨자 의자왕이 무릎을 꿇고 죄인의 자세를 취하고 있었다.

“전하, 편히 하십시오.”

“아니오, 우리 민족의 죄인인 내가 무슨 염치로 자세를 편히 할 수 있겠소. 다만 부탁이 있을 뿐이오.”

“말씀 주시지요.”

부처의 곁으로


“바로 옆집에 백제를 이 지경으로 만든 부인인 은고가 기거하고 있소. 그 사람도 스님의 손에 맡기고 싶소.”

잠시 생각에 잠겼던 온사문이 고개를 끄덕이고는 의자왕 뒤에 자리 잡았다.

“전하, 부디 극락왕생하소서!”

말소리와 함께 온사문의 모든 힘이 팔로 전달되었고 그 팔의 기운이 의자왕의 목을 꺾기 시작했다.

어느 순간 뒤로 꺾였던 의자왕의 목을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도록 하고 바닥에 가지런하게 눕혔다.

온사문이 염송하면서 한쪽에 있는 붓과 종이를 가져다 짧게 글을 썼다.

‘祈 極樂往生, 淵蓋蘇文(기 극락왕생, 연개소문)’   

그 글을 의자왕의 손에 쥐어주고는 염송을 마치고 천천히 밖으로 나섰다.  

“스님, 백제의 폐주는 구원 받았소?”

병사의 질문에 온사문이 잔잔한 미소를 머금으며 가벼이 합장했다.


아울러 폐주의 부인에게도 구원을 베풀어주고자 함을 이야기하자 선선히 그녀에게 안내했다.

“전하께서 중생을 구제하시라는 명을 주셨소.”

“무슨 구제란 말이오!”

온사문이 은고를 만나자마자 자신이 찾아온 사유를 밝히자 경계의 눈초리로 온사문의 몸을 샅샅이 훑었다.

“전하께서 군대부인께 부처의 자비를 베풀어주시라는 명을 주셨습니다.”

“느닷없이 그게 무슨 말입니까!”

“말 그대로입니다. 군대부인의 손상된 영혼을 정제해 드리라는 분부셨습니다.” 

은근한 소리로 재차 설명한 온사문이 목탁을 두드리며 염송하기 시작했다.

순간 경계의 눈빛을 보였던 은고가 자세를 가지런히 하고 두 손을 모았다.    


“전하께서는 편안히 가셨습니까?”

“그러하옵니다, 군대부인.”

온사문이 염송을 끝내자 은고가 잔잔한 미소를 머금으며 말을 건넸다.

“스님, 저 같은 인간도 구원 받을 수 있습니까?”

“어차피 부처 앞에서는 모두가 중생입니다.”

“그러면 저도.”

의자왕, 은고를 온사문의 손에 맡기다
복신과 도침, 당군과의 싸움에서 대패

“군대부인의 표정을 살피니 이미 부처의 깨달음을 얻은 듯 하옵니다.”

은고가 한숨을 내쉬며 눈물을 흘리기 시작했다.

“스님, 이 년이 참으로 몹쓸 짓만 하고 염치없이 이제야 부처께 의탁하는군요.”

“너무 심려 마십시오. 그게 어리석은 중생들 모두의 한계입니다.”

온사문이 은고의 뒤에 자리 잡고 양팔을 목에 둘렀다.

“부디 전하께 속죄할 수 있도록 부탁드립니다.”

“군대부인, 부인은 진정 백제의.”

말을 하다 말고 온사문이 순간적으로 힘을 쏟아 부었다.

잠시 후 연약하기 이를 데 없는 은고의 몸에서 힘이 급격하게 빠졌다.

그를 살피며 온사문이 힘을 빼고는 은고를 편안하게 자리에 눕혔다.

복신과 도침이 사비성을 포위하고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자 지수신의 요구가 집요하게 이어졌고 마침내 날을 잡아 사비성을 공략하기로 결론 내렸다.

그러나 바로 그 시점에 유인궤의 당나라 지원군이 기벌포로 진군해오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성주, 소장에게 일만의 군사를 내어주시오.”

“무슨 일로 그러십니까, 장군.”

“당군의 침입을 저지하렵니다.”

복신이 가만히 지수신의 얼굴을 주시했다.

“그리할 수는 없소. 가뜩이나 적은 군사를 둘로 나눌 수는 없는 노릇이오.”

“당연한 일이오. 군사를 이동한다면 모두 함께 움직여야 합니다.”

“도대체 무엇 하자는 이야기입니까!”

복신에 이어 도침도 맞장구를 치자 지수신이 기가 차다는 듯 소리를 높였다.

지수신의 표정을 살피던 두 사람이 슬며시 한쪽으로 이동했다.

“어찌할까요, 스님.”

“어찌하긴요. 차라리 삼만의 병력 중에서 일만의 병력은 이곳에서 포위를 지속하고 우리가 이만의 병력을 이끌고 가서 당군의 침입을 저지합시다.”

“가능하겠소?”   

“어차피 당나라 군사들은 바다로 먼 길 오느라 매우 피곤한 지경에 처해 있을 것입니다. 그러니 그들이 들어오기를 기다렸다 잡아버립시다.”

둘이 잠시 이야기를 나누다가 자신들이 군사를 이끌고 당군을 막겠다고 전했다.

“어디서 막을 겁니까?”

“당연히 웅진강 어구에 목책을 세우고 그들이 들어오면 섬멸해야지요.”

“웅진강 어구라고요!”

“그러하오.”

당당하게 대답하는 도침의 이야기에 지수신이 한숨을 내쉬었다.

“왜 우리 백제군이 애초에 당군에게 패한 지 아십니까?”

“그야 의자왕이 국정을 농단하고 계집에 오로지한 때문이지요.”

복신의 눈치를 살피며 도침이 말을 받았다.

“뭐요?”

“그러지 않으면 왜 그 먼 곳에서 온 당나라 군사를 당해내지 못했겠소?”

“백제군이 당군을 당해내지 못한 이유는 당군을 기벌포에서 치지 않고 웅진강으로 들였기 때문이오.”

“그 문제는 우리에게 맡기고, 당군을 섬멸하고 돌아올 터이니 사비성의 포위나 풀지 말고 기다리시오.”

복신이 무표정하게 말을 받자 순간 지수신의 얼굴이 일그러지기 시작했다.

“당신들 진정 백제의 중흥을 위하는 거요 뭐요!”

“무슨 소리요. 당연히 백제의 중흥을 위해 우리가 이 고생하는 걸 몰라 그러오.” 

“두 사람이 잘해보시오. 나는 주류성으로 돌아가겠소.”

말을 내뱉자마자 지수신이 고개를 돌렸다.

그를 살피던 복신과 도침이 잠시 숙의를 거듭했다.

결국 복신이 이만의 군사로 당군을 상대하고 도침이 나머지 일만의 군사로 사비성의 포위를 유지하기로 했다.

웅진강 어구에 도착한 복신이 두 개의 목책을 세우고 당군이 다가오기를 기다렸다.

호기롭게 당군의 접근을 기다리는 중에 척후병을 통해 먼저 그 사실을 알아챈 당군이 우회하여 기습공격을 감행했다.

순간 백제 군사들이 배수진을 친 상태로 당군을 맞이하게 되는 형국이 되고 퇴로가 막힌 상황에서 지리멸렬의 상태로 빠져들었다.

앞으로 나아가자니 당군의 칼과 창이 번뜩이고 뒤로 가자니 강이라 그야말로 독안에 든 쥐 꼴이 되고 말았다.

독안에 든 쥐

그 전투에서 일만이 넘는 군사를 희생한 복신이 간신히 사비성으로 돌아갔다.

그곳에서 도침과 합하고 당군의 진군 사실과 함께 포위를 풀고 다시 주류성으로 돌아갔다.

포위만 한 채 싸움 한번 해보지 못하고 백제군이 돌아가자 유인궤의 지원군이 도착한 관계로 사비성 안에 있던 신라군은 신라로 돌아갔다.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