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삼국비사 (106)죽음

2018.10.30 11:10:56 호수 1188호

부처의 뜻에 맡기다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고문으로부터 이미 의자왕이 당나라로 이송되었다는 상황을 보고 받은 연개소문이 은밀하게 온사문을 불렀다.

“대감, 곡차 아니 술이나 한 잔 주시지요.”

담담한 표정으로 들어 선 온사문이 미소를 지으며 말문을 열었다. 

그를 살피던 연개소문 역시 미소를 보이고는 수하에게 술을 들이라 지시했다.

“송구하게 되었습니다, 스님.”


“소승이 고맙다고 해야지요.”

조촐한 주안상

고문이 자리에서 일어나 공손하게 온사문을 맞이했다.

“조금만 서둘렀어도 스님께 수고로움을 끼치지 않았을 터인데.”

“어차피 지나간 일이니 괘념치 마십시오, 장군.”

“자, 그런 이야기는 그만 하시고.”

연개소문이 말을 하다 말고 두 사람의 얼굴을 번갈아 주시했다.

“그러시지요, 어차피 일이 이리된 이상 이제 소승이 나서야지요.”

“어떻게 구출하려오?”

고문의 이야기에 연개소문도 온사문의 얼굴을 주시했다.


“부처의 뜻에 맡기려 합니다.”

“부처의 뜻이라면?”

“자비지요, 자비.”

연개소문과 고문이 온사문의 말을 헤아리는 듯 잠시 침묵을 지켰다. 

순간 조촐한 주안상이 들어왔고 연개소문이 병을 들었다.

“스님도 한잔하시겠소?”

“당연합니다, 대감.”

답을 하며 잔을 든 온사문 이어 고문의 잔을 채우자 온사문이 술병을 받아 연개소문의 잔에 술을 따랐다.

“대감, 이 일은 전적으로 소승에게 맡겨주시지요.”


“당연히 그리해야지요. 허나…….”

“말씀 하시지요.”“이 일이 당고종을 자극하는 계기가 되어야 합니다.”

연개소문의 말에 온사문이 가볍게 잔을 비워냈다.

“일석이조의 효과를 노리자는 말씀이십니다.”

“딱히 그를 떠나서라도 어떻게든 당나라를 궤멸상태까지 이르게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런 연유로 여차하면 의자왕을 열반의 세계로 보내드리려 합니다.”

“열반이라면?”

고문의 반문에 연개소문이 잔을 비워냈다.

“속세에서는 그를 죽음이라 일컫지요. 하오나 불가에서는 그를 열반이라 이야기합니다.” 

“스님, 불자들의 금기 사항이 있지 않소?”

“물론 사바라이(四波羅夷)라고 하여 불자들이 반드시 지켜야 할 네 가지 죄인 음행, 도둑질, 살인, 거짓말 등을 금하고 있지요.”

“헌데 스님께서 어찌…….”

“생각하기 나름 아니겠습니까? 그리고 이미…….”

온사문이 잔잔한 미소를 짓자 연개소문이 잠시 생각하다가는 고개를 끄덕였다.

“그러면 이 일로 스님과 속세의 연은 접어야겠구려.”

연개소문이 다시 병을 들어 빈 잔을 채우자 온사문이 경건하게 합장했다.

온사문이 연개소문과 여러 장군들의 배웅을 받으며 요동성을 떠나 여러 날이 지난 후 당나라 수도인 장안에 도착했다. 

그곳에서 원법사(元法寺)에 들러 고구려와 신라에서 건너온 스님들과 만나 잠시 휴식을 취했다.

그 과정에서 사찰을 오고가는 당나라 관리들로부터 자연스럽게 의자왕의 행방을 알아내고는 지체하지 않고 원법사를 떠나 장안의 한 가옥에 감금되어 있는 의자왕의 거처로 찾아들었다.

온사문이 다가서자 그곳을 경비하던 당나라 군사들이 급하게 앞을 막아섰다.

“스님은 뉘시오?”

자신을 가로막는 당나라 병사들을 번갈아 바라보며 잔잔한 미소를 지으며 가볍게 합장했다.

“백제의 폐주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해서 이왕에 이곳까지 온 김에 잠시 영혼을 구제해주기 위해 들렀다오.”

온사문이 은근한 말투로 이야기하자 당나라 병사들이 온사문의 위와 아래를 찬찬히 살펴보았다.

온사문, 금기 어기고 의자왕 열반에 들다
의자왕, 죄인의 자세로 죽음을 받아들이다

“혹시, 원측 스님!”

한순간 한 병사가 미세한 미소를 보였다.

그 병사는 온사문을 당태종이 살아 있을 당시 직접 당태종에게 도첩을 받고 원법사에서 불경을 연구하여 장안에 널리 이름이 알려져 있던 신라의 원측으로 생각하는 모양이었다. 

온사문이 대답하지 않고 다시 가벼이 합장했다.

“소승으로 하여금 부처님의 자비로 어리석은 폐주의 영혼을 구제할 수 있도록 선처 바랍니다.”

당나라 병사들이 다시 온사문의 전신을 샅샅이 훑어보았다. 

당당한 체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중압감에 잠시 의혹의 눈초리를 보냈다가는 목탁과 염주만을 지닌 모습을 확인하고 온사문을 안으로 안내했다.

“스님은 뉘시오?”

당나라 병사들이 자리를 물리자 초췌할 대로 초췌한 모습의 의자왕이 게슴츠레한 눈으로 온사문을 주시했다.

“소승 연개소문 대감의 명을 수행하기 위해 찾아온 고구려의 중 온사문이라 합니다.”

“연개소문의 명이라!”

의자왕이 짧게 한숨을 토했다.

“막리지께서 전하를 구출해오라는 명을 주셨습니다.”

이어 온사문이 고구려 군사들이 의자왕을 구출하기 위해 신라의 영토로 진입했었으나 한 발 늦어 일이 어그러진 사실을 전했다.  

“그런 일이 있었구려.”

“연개소문 대감은 신라도 그러하지만 특히 백제를 같은 민족이 세운 나라로 생각하시고 그동안 상당히 많은 애착을 보내시었습니다.”

“그 사실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나를 어찌 구출하려 합니까?”

“막상 구출하고자 이곳까지 왔는데 지금 전하의 상태 그리고 당나라의 경비 상태를 보니 여의치 않아 보입니다.”

“그러면 헛걸음 하신 게요?”온사문이 침묵을 지키며 가만히 의자왕을 주시했다.

“왜 그러는 게요?”

“연개소문 대감께서 여하한 경우라도 전하를 구출하라 명을 주셨습니다. 그 이면에는 대 백제국의 왕이 당나라 오랑캐들에게 수모당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깊은 의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가만히 헤아리던 의자왕이 가벼이 한숨을 내쉬었다.

“결국 죽음을 의미하는 게요.”

의자왕의 얼굴에 체념의 표정이 역력하게 드러났다.

“전하, 대 백제의 혼을 이리 허무하게 무너뜨릴 수는 없습니다.”

“그래, 짐을 어찌 보내주겠소?”

의자왕의 표정이 차분하게 변해갔다.

“소승이 편안히 모시겠습니다.” 

차분한 표정

그 의미를 파악했는지 의자왕이 힘들게 자리에서 일어나 자세를 가지런히 하고 백제가 있던 장소를 향해 큰 절을 올렸다. 그를 살피며 온사문이 자리에서 일어나 눈을 감고 염송하기 시작했다. 

“자, 이제 준비되었소.”

온사문이 눈을 뜨자 의자왕이 무릎을 꿇고 죄인의 자세를 취하고 있었다.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