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 못 드는 밤 ‘불면증’

2018.04.02 10:15:20 호수 1160호

한국인 100명 중 1명 앓는다

불면증이란 적어도 1개월 이상 잠들기가 어렵거나 잠이 들더라도 자주 깨는 일이 한 주에 3번 이상 나타나며, 이러한 까닭에 낮 동안 매우 피곤함을 호소하는 등 수면부족으로 인한 장애들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습관적으로 잠을 이루지 못하며 짧고 단속적인 수면, 얕은 수면, 꿈을 많이 꾸는 수면 등 수면의 양이나 질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해당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최근 5년간(2012~2016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중 ‘불면증’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고연령일수록 높아

최근 5년간 건강보험 가입자 중 불면증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매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40만3417명에서 2016년에는 54만1958명으로 34.3% (13만8541명) 증가했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2012년 15만2603명서 2016년 20만9530명으로 37.3%(5만6927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2년 25만814명서 2016년 33만2428명으로 32.5%(8만1614명) 증가했다.

이정석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최근 5년간 불면증 질환의 진료인원이 30%이상 증가한 이유에 대해 “원래 불면증은 젊은 사람보다는 노년층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국내서 인구의 고령화로 노인인구가 급증하게 되면서 불면증 진료인원도 증가하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지속되면 습관성으로 변해 만성불면증 고착
수면제·안정제가 내성, 금단현상 유발 주의

2016년 기준으로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불면증 전체 진료인원 10명 중 약 6명 59.2%(32만869명)는 50대서 70대에 거쳐 나타나고 있다. 50대 11만4777명(21.2%), 60대 10만7585명(19.9%), 70대 9만8507명(18.2%) 순으로 진료인원이 많았다.

남녀별 연령대별 진료인원을 비교해 보면 남자는 70대서 4만4114명(21.1%)으로 가장 많았고, 여자는 50대서 7만5047명(22.6%)으로 가장 많았다.

이 교수는 불면증 질환이 고연령대로 갈수록 ‘인구10만명 당’ 진료인원이 많아지는 추세의 이유를 “나이가 들면서 여러 신체적 그리고 정신적 문제들이 많이 생기기 때문이다. 

노인이 되면서 느끼는 소외감, 불안, 걱정 때문에 우울증, 불안증과 같은 정신적 문제도 늘어나고 소화기계, 호흡기계, 근골격계 등 신체적 질환에 따른 불편함이 수면을 방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최근 5년간 계절별 불면증 질환의 진료인원 현황을 살펴본 결과, 추워질수록 진료인원이 증가하고 더워질수록 진료인원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불면증은 매우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보통 급성 불면증은 수면 일정이나 수면 환경의 변화 또는 급성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한다. 

그 외에도 여러 내과적 문제나 정신과적 질환으로 인해 불면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불면증이 지속되다 보면 습관적으로 잠자리에 들면 잠이 깨게 되는 만성 불면증이 될 수 있다.

여러 수면제와 안정제가 불면증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내성과 금단증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되도록 단기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 외에 불면증의 특성에 따라 항우울제 등의 다른 약물이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정한 시간에 취침

불면증 예방을 위해서는 잠자리서 TV보는 것과 같은 수면 외의 행동을 하지 않아야 한다.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어나며 커피, 술과 같이 수면을 방해할 수 있는 음식물을 피하는 생활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