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삼국비사 (76)백제 출격

2018.03.26 10:43:26 호수 1159호

결국 도살성으로…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형님, 제가 잘 데려왔습니까?”

“그래, 잘 데려왔다. 그것도 미랑으로 말이야.”

흡족한 표정으로 미랑을 바라보던 연개소문이 병을 들어 둘의 잔을 채웠다. 그리고는 술병을 미랑에게 건넸다. 미랑이 조신하게 연개소문의 잔을 채웠다.

“대감, 조문 사절로 누구를 보낼 계획입니까?”

“책사의 의견은 어떻소?”“이번에는 왕과 가까운 사람을 보내야 할 듯합니다.”


“왜 내가 직접 가면 아니 되겠소?” 

조문 사절 결정

“너무 위험부담이 크지요.”

“부담이라니요?”

“저들이 행여나 막리지 대감을 살려두겠습니까? 저들의 왕을 죽인 당사자인데요.”

“하기야.”

말을 하다 말고 연정토를 주시했다.

“왜 저는 바라보십니까?”

“이번 사절로 자네가 다녀오라는 의미일세.”

“네!”


선도해와 연정토가 동시에 반문했다. 

연개소문이 그를 모른 체하고 잔을 들어 한 번에 비우고 미랑에게 건넸다. 

미랑의 눈이 동그랗게 변해갔다. 그도 그럴 것이 상대는 산천초목도 떠는 연개소문이었던 탓이었다.

미랑이 한껏 고개를 숙이고 잔을 받자 두 사람 역시 잔을 비우고 곁에 있는 여인들에게 잔을 넘기고 채워주었다.

“연정토 장군을 조문 사절로 보내시렵니까?”

“그래야지요.”

연개소문이 말을 하며 눈을 찡긋거리자 연정토가 의혹의 시선을 보냈다.

“형님, 도대체 무슨 말씀입니까?”

“말은 무슨 말. 왕자 중에 한명을 모시고 다녀오라는 이야기지.”


“왕자들이 어리니까. 함께 다녀오라는 말씀이십니다.”

연개소문이 답을 하지 않고 미랑을 바라보았다.

“어서 잔 넘기지 않고 무엇 하는 겐가.”

미랑이 멈칫하더니 조심스럽게 잔을 비우고 술을 따랐다.

“하면 어느 왕자를 보내실 계획입니까?”

“장남인 남복은 곤란하고 둘째인 임무가 합당하겠지요.”

연정토가 임무를 되뇌며 역시 자신의 옆에 있는 여인에게 술을 비우고 잔 넘길 것을 종용했다.

“이제 알겠느냐?”

연개소문이 가벼이 혀를 차며 미랑의 손을 잡아끌었다.

“형님은 당태종의 애첩을 취하며 즐기고 저는 조문 사절로 다녀오란 말씀입니다.”

“즐기다니 이 사람아. 이런 애첩을 두고 떠나간 당태종을 위로하는 게지.”

일순간 파안대소가 일어났고 미랑의 얼굴은 방금 마신 술기운 탓인지 발갛게 물들어갔다.

신라 지원군의 핵심인 당태종이 사망한 사실을 접한 의자왕이 그 기회를 놓칠 수 없다는 생각으로 장군 은상에게 좌평인 정복을 군사로 장군 정중을 부장으로 하여 장군 자견 등 정예 군사 일만 명을 주어 출정시켰다.

당태종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어수선한 분위기에 휩싸여 있던 신라는 백제의 침입을 예측 못했고 결국 석토성(石吐城, 지금의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문안산성) 등 일곱 성을 빼앗겼다.

백제군이 여세를 몰아 도살성(道薩城, 충북 청주)으로 진군하자 신라는 급히 김유신과 진춘ㆍ천존·죽지 등을 보내 백제 군사를 맞도록 했다. 

신라의 지원군이 도살성에 도착했을 무렵 백제군 역시 그와 멀지 않은 곳까지 이르렀다.

은상이 내처 도살성을 치려는 순간 바람에 펄럭이는 김유신 기가 눈앞에 아른거리자 멈추어서 그를 살피는 중에 군사인 정복이 다가왔다.

“왜 멈추십니까?”

“저기 성루에 펄럭이는 깃발을 보시오.”

정복이 시력이 시원치 않은지 게슴츠레하게 눈을 뜨고 은상이 가리키는 곳을 바라보았다.

“김유신 기군요. 그새 지원군이 도착한 모양입니다.”

“군사의 생각은 어떻소. 내친 김에 성을 공략할까요?”

연개소문은 미랑을 취하고…연정토는 사절로
의자왕, 당태종 사망소식에 군사 일만명 출정

“아니오, 장군. 내 익히 김유신에 대해 성충 장군 등 여러 사람에게 들은 말이 있소. 항상 꼼수를 조심하라고. 그러니 우리도 이곳에 진을 치고 신중하게 처신하도록 하시지요.”

은상이 정중에게 진을 치라 지시하고 정복과 함께 천천히 앞으로 나아갔다. 

물론 지형을 탐색하기 위함이었다. 

성 앞으로 낮게 펼쳐진 구릉지를 살피며 주변을 둘러보았다. 

신라군이 불시에 위에서 여러 갈래로 치고 내려온다면 힘든 싸움이 될 수 있었다.

지형을 세심하게 살핀 두 사람은 한창 진을 치고 있는 곳에서 뒤로 물려 반달형으로 진을 치도록 했다. 신라군이 선공한다면 여러 갈래에서 나올 수 있다는 판단에서였다. 

진을 치고 한창 휴식을 취할 즈음 신라군이 성에서 나와 다섯 갈래로 군사를 나누어 쳐들어오기 시작했다. 

그를 살피던 은상과 정복이 도살성 성루를 바라보았다. 

김유신이 여러 장수들과 함께 조만간 전쟁터로 변할 현장을 주시하고 있었다. 

그를 살피고는 즉각 말을 타고 선두에 선 병사들에게 수진으로 임하라 지시하고 역시 뒤로 물러나서 그곳을 주시하기 시작했다.

구릉을 내려온 신라 군사들이 곧바로 백제 진영을 공격하자 일대 혼란이 일어났다. 

그러나 그도 잠시 반달형의 견고한 백제군의 수진에 신라군이 오히려 포위되는 형국이 연출되었다.

순간 신라 진영에서 퇴각의 북소리가 울려 퍼졌다. 

그에 따라 백제 군사들이 퇴각하는 그들을 향해 돌진하기 위해 앞으로 나섰다. 

그 모습을 살피던 은상이 북소리를 울려 군사들의 행동을 저지했다.

수진을 선택한 은상의 백제군은 여러 날에 걸쳐 신라의 산발적인 침입을 받으면서 지쳐가고 있었다. 

“장군, 결단 내리시지요.”

군사 정복이 초췌한 얼굴의 은상을 바라보며 조심스럽게 운을 떼었다.

“수성이 아닌 수진이 힘들기는 힘들구려. 그렇다고 공격할 수도 없고.”

“그러면 철수하는 편이 이롭지 않겠습니까?”

“지금 철수라 하였소?”

“지금 군사들의 사기가 말이 아닙니다.”

그럴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지난번 의직의 실패를 설욕하겠다고 의자왕과 대신, 장군들에게 호언장담했던 터라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전에는 결코 돌아설 수 없었다.

“조금만 더 저들의 동정을 살펴봅시다. 어차피 저들도 지원군이 온 마당에 마냥 수성만 하지 않으리란 생각이 드는구려.”

“물론 그러합니다만, 저 김유신이란 작자가 워낙에 간계에 능해서.”“우리는 군사가 있지 않소.”

도살성 전투

은상이 은근히 정복을 치켜세우자 정복이 가볍게 헛기침했다.

“그러면 장군의 말 대로 며칠 더 관망해보도록 하지요.”

말을 마치고 두 사람이 도살성을 응시하자 성문이 열리면서 김유신 기를 필두로 천천히 앞으로 나오고 있었다. 

바짝 긴장하며 주시하자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둔 지점에서 신라군이 멈추어서 저들도 진을 세우기 시작했다.     

의아한 표정으로 그를 주시하자 진만 치고는 그만이었다.

“군사, 무슨 속셈인 게요?”

“결판을 내겠다고 간주해야 하지 않는지요.”

“결판이라, 그러면 좋지요.”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