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잠 설치는 김준일 락앤락 회장, 왜?

2015.02.09 13:07:02 호수 0호

‘위태위태’ 불안한 1위 자리

[일요시사 사회팀] 이광호 기자 = 밀폐용기업계에 지각변동이 감지된다. 업계 1위인 락앤락이 내수와 수출 모두 역성장을 보이면서 정상의 자리를 빼앗기게 생겼기 때문이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형편이다. 반면 경쟁업체들은 성장세를 이어가면서 락앤락을 바짝 쫓고 있다. 상황이 이렇지만 락앤락은 마땅한 캐시카우가 없어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락앤락의 실적은 좀처럼 회복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달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누적 락앤락의 중국지역 매출은 1404억원으로 전년 동기 2115억원보다 33.6%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매출 가운데 중국매출 비중은 같은 기간 56.3%에서 44.5%로 11.8% 포인트 하락했다.

약발 다 됐나
 
이에 김준일 락앤락 회장이 칼을 빼들었다. 실적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새해부터 제품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다. 여기에 인력 구조조정 바람이 부는 것은 아닌지 걱정하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지난 3일 란앤락에 따르면 삼광글라스 출신으로 그동안 락앤락 국내영업을 총괄 담당해왔던 김광태 국내영업본부 전무(등기이사)가 지난해 12월 말 회사를 떠났다. 국내 실적 부진과 연관이 없지 않아 보인다.
 
김 전무는 삼광글라스에서 글라스락을 출시, 3년만에 국내 대표 유리밀폐용기로 성장시킨 바 있다. 락앤락으로 자리를 옮긴 뒤 2년간 국내영업을 총괄했다. 지난해에는 등기이사에도 선임되면서 책임경영에 최선을 다했지만 실적표는 암울했다. 일각에서는 김 전무의 퇴사가 본격적인 구조조정의 서막이라고 본다.
 
이는 지난해 중국 법인 임원들이 대거 퇴임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앞서 락앤락은 북경, 상해, 심천 등 중국법인 3곳의 임원 4명을 연달아 퇴임시켰다. 지난해 3월 안병국 중국 총괄 법인장(상해 법인장), 5월 안기성 상해법인 부장, 9월 이성동 심청법인 이사, 허승무 북경법인 이사가 회사를 나갔다. 당시 최대 캐시카우인 중국시장에서 급격한 매출 하락세가 이어진 데 따른 인사조치란 이야기가 흘러나왔다. 
 

락앤락은 안 전 총괄 법인장이 회사를 나간 후 후임자를 뽑지 않고, 김 회장이 직접 중국 사업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문제는 김 회장이 직접 나서도 실적은 회복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락앤락은 지난해 판매 법인인 위해락앤락무역유한공사, 헬로헬로 인터내셔날을 청산하기도 했다.
 
매출·영업이익 줄어…경쟁사 성장세
마땅한 캐시카우 없어 발만 ‘동동’
 
전망 역시 불투명하다. 락앤락은 현재 판매 중인 제품 4000여개(상품분류최하단위기준 제품 수) 중 매출 비중이 5% 미만인 제품 700여개를 정리하는 초강수를 뒀다. 4년 전 선보였던 생활용품 브랜드 ‘P&Q’가 대표적이다. 안 되는 브랜드는 솎아내겠다는 전략이다. 
 
밀폐용기 시장 라이벌 삼광글라스의 추격도 락앤락의 표정을 울상 짓게 하고 있다. 락앤락이 중국에서 고전하는 사이, 삼광글라스는 탄탄한 사업기반을 두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락앤락은 3분기까지 총 315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매출액 3754억원 대비 16% 가량 낮아진 수치다. 2012년과 2013년 연간 매출 5000억원을 돌파했지만 두 해만에 매출액이 4000억원 대로 주저앉은 것이다.
 
 
반면 삼광글라스는 3분기 매출액을 2267억원으로 끌어올리면서 전년 동기 3분기 2162억원보다 4.8% 성장했다. 높은 성장세는 아니지만 국내 밀폐용기 시장이 성장기를 지나 성숙기에 돌입한 상황이기 때문에 삼광글라스의 비약적인 매출 증대는 락앤락에게는 크나큰 타격이 아닐 수 없다. 주가도 변동하고 있다. 1위 락앤락 주가는 연일 하락하는 반면 2위 삼광글라스 주가는 상승세를 타며 엇갈린 행보를 보이고 있다.
 
2010년, 락앤락과 삼광글라스는 밀폐용기 시장의 격전지를 국내에서 중국으로 옮겼다. 삼광글라스는 락앤락 ‘환경호르몬’ 이슈를 꺼내들어 소비자들의 인식을 바꾸기 위해 애썼다. 미국에서도 락앤락 제품에 사용되는 물질인 트라이탄을 놓고 환경호르몬 검출 여부에 대한 소송이 진행 중인데 1심에서 승소했음에도 소비자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플라스틱 제품은 유리제품에 비해 가품이 만들어지기 쉽다. 유리 제품은 공정 과정이 복잡해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들지만, 플라스틱 제품은 투자비용이 상대적으로 덜 든다. 그래서 삼광글라스 제품보다 락앤락 가품이 훨씬 더 많다. 버젓이 유통되는 가품은 락앤락에게 독이었다.
 
캐시카우가 없다는 점도 락앤락의 약점이다. 반면 삼광글라스는 사업분야가 다양하다. 삼광글라스는 B2B 사업인 캔과 유리병 납품에서도 호조를 보였다. 지난해 적자를 봤던 캔사업이 지난해 3분기까지 37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자회사 군장에너지와 이테크건설도 호조세다. 또 락앤락이 해외 유통 방식을 변경하는 사이 삼광글라스는 중국판매법인을 설립해 기업용 특판시장과 홈쇼핑 등으로 유통 채널을 넓혔다. 

텀블러로 재도약?
 

락앤락은 최근 중국과 국내 시장 모델로 배우 이종석을 발탁해 신규 텀블러 광고를 촬영, 주요 온라인 쇼핑몰의 메인 모델로 내세우고 있다. 밀폐용기로 굳어진 중년층 타깃 브랜드 이미지를 젊게 바꾸기 위해서다. 그동안 밀폐용기에 집중했던 락앤락은 앞으로 20∼30대 신규 고객을 유입하기 위해 텀블러에 무게를 실을 것으로 보인다. 락앤락은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물병류의 매출 비중이 18%로 밀폐용기(33%)와 수납(20%) 다음으로 비중이 높았다.  그러나 텀블러 시장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기업 써모스가 1위의 자리를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khlee@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플라스틱 용기의 위험성
 
지난해 7월 미국에서 발표한 연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음식을 담는 밀폐용기에서 약 170여개의 화학 성분이 검출, 이 요소들이 모두 건강에 해로운 성분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2013년 12월에 발표된 미국 식약청에서 실시한 음식물 안전성 검사 결과,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식품 중 50% 이상이 유해 물질에 관한 정보를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밀폐용기의 환경호르몬 보다 세균을 더 걱정해야한다고 말한다. 밀폐용기는 공기가 차단되어 음식이 잘 상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상온에 방치될 경우 세균이 득실거릴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음식을 넣고 상온에 둔 밀폐용기의 세균 오염도를 검사해본 결과 비교적 높은 수치가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밀폐용기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려면 사용 시 되도록 깨끗하게 자주 세척하는 것이 좋다고 입을 모은다. 그리고 상온보다는 주로 냉장고에 넣고 보관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낫다는 의견이다. <광>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