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기획> 금기어로 본 재벌가 비사 -홈플러스 ‘회장님 그림자’

2014.06.20 18:37:27 호수 0호

눈치 없는 회장님 눈치 보는 사장님

[일요시사=경제1팀] 김성수 기자 = 재벌가 혼맥, 대박 브랜드 비밀, 망해도 잘사는 부자들, 기업 내부거래 등을 시사지 최초로 연속 기획해 독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던 <일요시사>가 새 연재를 시작한다. 직원들이 입 밖에 내면 안 되는 '금기어'를 통해 기업 성장의 이면에 숨겨진 '비사'를 파헤쳐 보기로 했다. 일반인은 잘 모르는, 기업으로선 숨기고픈 비밀, 이번엔 홈플러스의 '회장님 그림자' 편이다.

지난달 취임 1주년을 맞은 도성환 홈플러스 사장. 그에겐 아직 풀지 못한 숙제가 있다. 출점? 아니면 실적? 아니다. 바로 '회장님 그림자'를 지우는 일이다.



여론의 반감도

1970년 삼성그룹 공채로 입사한 이승한 회장은 회장비서실 신경영추진팀장, 삼성물산 유통부문 대표이사 등을 지낸 '삼성맨' 출신이다. 1999년 테스코와 삼성의 합작회사인 홈플러스를 창립해 지난해까지 14년간 홈플러스를 이끌었다.

이 회장하면 '혁신'이다. 이를 통해 홈플러스를 국내 최고의 유통기업으로 성장시켰다. 이 회장은 재임 기간 연매출 12조원을 달성, 업계 12위였던 홈플러스를 2위에 올려놨다. 유통산업의 문화와 시스템 혁신을 선도하는 경영철학으로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에서 초청 강연을 하는 등 세계 각국에 성공비결과 한국의 유통발전상을 널리 알렸다.

이 과정에서 점포당 매출 1위, 면적당 매출 1위, 최단기 매출 1조원 돌파 등 다양한 기록을 양산하는가 하면 한국유통대상, 지속가능경영대상 등 약 180개의 각종 권위 있는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 회장은 지난해 5월 경영일선에서 물러났다. 바통은 도 사장이 이어받았다. 도 사장 역시 '삼성맨'출신이다. 1981년 삼성물산에 입사한 후 1995년 유통사업부를 거쳐 물류, 마케팅, 재무 담당 임원을 역임했다. 홈플러스 1호 점포인 대구점 점장, 홈플러스테스코(옛 홈에버) 초대 대표, 테스코 말레이시아 대표를 맡다 홈플러스 CEO가 됐다.


그로부터 1년 뒤 '도성환호'는 어떻게 됐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그리 녹록치 않다. 우선 실적이 그렇다.
매출은 2012 회계연도(2012년 3월1일∼2013년 2월28일) 7조863억원에서 2013 회계연도(2013년 3월1일∼2014년 2월28일) 7조3255억원으로 늘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292억원에서 2510억원으로, 순이익도 4897억원에서 4634억원으로 줄었다.

출점도 정체돼 있다. 도 사장은 지난해 10월 보스턴 대학교에서 경영사례를 발표하면서 "향후 10년 내 매장을 5000개 열겠다"고 자신했다. 도 사장의 큰소리와 달리 전국 홈플러스 대형마트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139개 제자리다. 올해 추가 출점은 오는 12월 세종시 1개뿐이다. 이마트와 롯데마트의 각각 6개 출점 계획과 비교된다.

편의점도 날개를 못 펴고 있다. 3년 전 시작한 '홈플러스 365' 편의점은 지난 5월 말 현재 114개에 머물러 있다. 지난 3월 신세계가 시작한 편의점 '위드미 에프에스'는 최근 100호점을 돌파했다. 기업형 슈퍼마켓(SSM) '홈플러스 익스프레스'의 경우 올해 4개를 출점할 계획. 이에 비해 GS슈퍼는 7개나 출점한다.

이승한 '어정쩡 행보'
"확실히 손 떼야" 지적

이런 상황에서 여론의 반감마저 사고 있다. 외국에 퍼주는 로열티 때문이다. 이 회장이 있을 때만 해도 로열티는 30억∼40억원 수준이었다. 그런데 도 사장 체제로 바뀐 뒤 갑자기 700억원대로 늘어났다. 도 사장에게 비난이 쏟아지는 이유다.

홈플러스는 2013 회계년도 영국 테스크 본사에 'TESCO'의 상표·로고 및 라이센스에 대한 사용료로 총 616억1700만원을 지급했다. 계열사 홈플러스테스코(옛 홈에버)가 120억3800만원의 로열티를 지급한 것까지 합하면 총 736억5500만원에 달한다.
 

홈플러스는 그동안 매출액의 0.03% 정도의 로열티를 지급해왔다. 2009년 29억원, 2010년 32억원, 2011년 34억원, 2012년 30억원이었다. 홈플러스는 지난해 8월 테스코와 새로운 라이센스 계약을 맺고 로열티 비율을 매출액의 0.8%로 올렸다. 그렇게 1년 만에 20배 넘게 로열티가 인상됐다.

홈플러스 측은 "다른 해외 계열사와 형평을 맞추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퍼줘도 너무 퍼준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 회장이 키를 잡았던 홈플러스와 도 사장이 키를 잡은 홈플러스는 분명히 차이가 있다"며 "도 사장은 여러모로 이 회장과 비교된다. 리더십 문제와 연결 짓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 회장의 어정쩡한 행보를 두고도 말들이 많다. 경영일선에서 물러났으면 확실하게 손을 떼야한다는 지적이다. 이 회장이 나설수록 도 사장으로선 운신의 폭이 좁아질 수밖에 없다.

도성환 체제 1년…실적·출점 주춤
30억 주던 로열티 700억 퍼줘 빈축


이 회장은 대표직에서 물러난 뒤에도 홈플러스 회장직과 e파란재단 이사장직을 계속 수행 중이다. 테스코 홈플러스 아카데미 회장 겸 석좌교수와 테스코그룹의 전략경영을 위한 경영자문 역할도 맡고 있다. 유엔 글로벌콤팩트(UNGC) 한국협회장, 가족친화포럼 공동대표 등 대외활동까지 왕성하게 펼치고 있다.

이 회장은 일종의 '명예 회장'이다. 그런데도 아직까지 홈플러스 막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의혹이 심심찮게 제기되고 있다. '상왕'노릇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공교롭게도 이를 잘 보여주는 상황이 얼마 전 벌어졌다. 전직 이 회장이 현직 도 사장보다 영향력이 크다는 시선을 거둘 수 없는 사례다.

홈플러스는 지난달 15일 서울 역삼동 본사에서 창립 15주년 행사를 열었다. 도 사장의 취임 1주년 의미도 있었다. 그러나 정작 주인공은 따로 있었다. 이 회장이었다. 행사는 이 회장 중심으로 진행됐다. 현장을 취재한 한 기자에 따르면 1시간가량 진행된 행사에서 도 사장은 3분여의 짧은 인사만 했고, 이 회장은 40분가량 무대에서 마이크를 잡았다고 한다.

이 회장이 오너라면 몰라도 회사 지분이 단 한 주도 없다는 점에서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광경이다. 앞서 이 회장은 아내의 에세이 출간 소식을 회사 홍보팀을 통해 보도자료를 내고 언론에 알리는가 하면 창조경영이론에 대한 자신의 연구성과를 외부에 알리기 위해 기자들을 미국으로 불러 빈축을 사기도 했다. 물론 비용은 모두 홈플러스에서 댔다.

그늘서 벗어나야

이 회장의 행보는 업계 라이벌 구학서 신세계 회장과 대비된다. 구 회장은 2009년 말 CEO 퇴임 후 외부 노출을 극도로 꺼리고 있다. 경영자문 역할만 한다. 그래서 현 CEO가 날개를 펼 수 있었다. 도 사장이 부러워할 만하다. 도 사장도 '이승한 그늘'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리더십을 보여줄 수 있을까. 좀 더 지켜볼 일이다.

 

<kimss@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