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사장은 눈을 부라리며 명령했다. 아이는 이를 앙다문 채 내리치려는 것 같았으나 마치 팔이 마비되기라도 한 듯 움직이지 않았다.
사장은 몽둥이를 빼앗더니 용운의 등과 엉덩이를 마구 후려갈겼다.
용운은 피할 생각도 않고 그냥 맞고 있었다.
공동 작전
“너 이 새끼, 이리 와!”
그 아이의 엉덩이는 곧 터져 살과 피가 곤죽이 되었다. 허벅지는 붉고 푸른 구렁이가 지나간 듯 멍이 들고 부풀어올랐다.
“공작!”
사장이 짧게 명령했다. 그것은 을 뜻했다.
그때부턴 누구 하나 사정을 봐주려 하지 않았다. 옆구리가 채였다 싶으면 누군가가 목덜미를 내려쳤고, 코피가 터졌다 싶은 순간 눈두덩에서 번갯불이 일었다.
아무리 피하려고 해봐야 마음뿐이었다.
우박처럼 쏟아지는 주먹과 발에 정신을 차릴 수가 없어서 용운은 그대로 머리를 감싸며 주저앉고 말았다.
얼마 후 사장이 몰매를 중지시키곤 말했다.
“한 놈은 용서해 주겠지만, 넌 상습범이므로 좀더 고생해 봐. 따라와, 이 자식아!”
용운은 사장에 의해서 본관 지하감방으로 끌려가 갇히게 되었다.
“꼼짝 말고 앉아 반성해, 임마!”
밖에서 문 잠그는 소리와 거의 동시에 용운은 무너지듯 주저앉았다.
손가락 하나 까딱할 만큼의 기력조차도 남아 있지 않았다.
‘아, 난 맞아 죽을지도 모른다.’
텅 빈 머릿속에서 그런 소리만 끝없이 메아리치고 있었다.
좁은 지하감방에는 퀴퀴한 악취가 배어 있었다. 햇빛 한 줄기가 그리울 지경이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지상의 사동(舍棟)은 역시 괴롭긴 했어도 일종의 천당처럼 여겨졌다.
벽 여기저기에 낙서가 새겨져 있었다.
인천 사이다 방문하다.
서울역 앞 양동에서 몸을 팔던 어린 여자애들은 지금 어디서 뭘 하고 있을까? 가난이 죄.
은숙아 보고프다. 사랑도 일종의 아름다운 정신병일까…….
조상님들이여, 어쩌다가 나라를 말아먹었나이까? 아, 망국의 한이여! 1943. 12. 5. 망치. 검찰의 그물엔 피라미는 걸려도 금비늘 잉어는 잘도 빠져나간다네.
나를 죽이지 못한 것은 나를 더 강하게 만든다. 견뎌내자! 독약도 소화시키면 약이 된다.
밤에 용운은 잠들 수가 없었다. 음식물도 전혀 들어오지 않았다.
배가 고프고 갈증이 심했지만 제대로 누울 공간이 없어 용운은 웅크린 채 이를 물고 견뎌야 했다. 캄캄하고 꽉 막힌 공간은 의식까지도 좁게 조여 왔다.
텅 빈 머릿속 각인
넝마주이 삶 회상
용운은 미칠 것만 같아서 두 손으로 머리를 감싸 쥐었다. 숨을 헐떡거리며 눈을 꽉 감아 버렸다.
몽롱한 머리에 문득 거렁뱅이로 떠돌던 한때가 떠올랐다. 용운은 현실에서 잠시라도 벗어나기 위해 자유로웠던 예전의 그 기억이나마 떠올려 보았다.
하지만 부랑아로 낙인 찍힌 자에게 과연 진정한 자유가 있었던가? 오히려 누명을 쓰고 이 지옥으로 끌려오지 않았던가! 용운은 추억 속에서 입술을 깨물었다.
고아원을 탈출한 용운은 다시 거리를 떠돌았다. 그 무렵 가장 흔하던 직업 중의 하나가 넝마주이였다.
서울에만 해도 한 동네에 하나씩은 있다시피 했다. 난지도의 쓰레기장에는 부랑인들이 모인 넝마막들이 헤아릴 수조차 없을 정도로 늘어서 있었다.
용운은 넝마주이 일을 하기로 했다. 종이 값이 똥값이라 하루 종일 뒤적이며 돌아다녀 봤자 입에 풀칠하기도 바빴다. 정당하게 작업해서 먹고 살기가 아주 힘들었다.
적당한 물건만 눈에 띄면 사방을 살펴보다 얼른 바구니에 담고는 도망치곤 했다.
어떤 때는 하다못해 한약방 앞에서 말리는 감초 등을 집어 오기도 했고, 설거지하려고 내놓은 그릇이나 좌우간 푼돈이라도 될 만한 것은 마구잡이로 집어왔다.
용운은 그러지 않았다. 무슨 도덕군자라서가 아니라 잃어버린 사람의 마음이 얼마나 지랄맞을지 짐작되기 때문이었다.
겨울이면 고기를 실컷 먹게 되었다. 병들어 죽은 개를 쓰레기장에서 주워다 푹 삶아 먹는 것이다. 혹한의 계절은 병들어 떠도는 짐승의 생명을 끊고 그 시체를 부패시키지는 않았다.
막 안에서 절대적인 힘을 행사하고 있었던 조 두목은 측근 몇 명을 위시해 수십 명의 넝마주이들을 거느리고, 그들이 주워온 종이나 깡통 등을 저울로 달아 값을 쳐서는 한 달에 한 번씩 쇠푼을 주었다.
몸에 비해 큰 망태를 등에 지고 걷다 보면 저도 모르게 눈물이 흘러내렸다.
왜 고향을 떠나 엄마를 잃은 채 이 삭막한 타향 길을 걷고 있을까.
그러노라면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 들었는지도 모를 이상한 노래가 용운의 입에서 새어 나오곤 했다.
이상한 노래
타박 타박 타박네야 너 어드메 울고 가니
우리 엄마 무덤가에 젖 먹으러 찾아간다
물이 깊어 못 간단다 물 깊으면 헤엄치지
산이 높아 못간단다 산 높으면 기어가지
명태 줄까 명태 싫다 가지 줄까 가지 싫다
우리 엄마 젖을 다오 우리 엄마 젖을 다오
우리 엄마 무덤가에 기어기어 와서 보니
빛깔 곱고 탐스러운 개똥참외 열렸길래
두 손으로 받쳐들고 정신없이 먹어보니
우리 엄마 살아생전 내게 주던 젖맛일세……
<다음 호에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