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삼기의 시사펀치> 25시 사람들

  • 김삼기 시인·칼럼니스트
2023.10.30 14:51:37 호수 1451호

대학 3학년 여름방학 때 감명 깊게 읽은 2권의 책이 있다. 루마니아 작가 게오르규의 <25시(25th Hour) (1849년 출간)>와 우리나라 작가 노석현의 <오계(五季) (1982년 출간)>다.



책 제목인 <25시>와 <오계>는 존재하지 않는 시제여서 내용도 시간과 계절을 뛰어넘는 미래에 대한 도전정신을 담고 있을 것으로 생각돼 여름방학 필독서로 택했다. 그러나 읽어 보니 두 책 모두 저자가 절망으로 가득한 시간을 묘사한 자서전적 소설이었다.

<25시>는 루마니아인 주인공이 유대인으로 오인돼 헝가리로 탈출했으나, 거기서도 ‘적성 루마니아인’으로 체포돼 강제노동 및 수용소 생활을 하게 되고, 연합군 지역으로 탈주한 후에도 적국 병사로 잡혀 수용소 생활을 하면서 겪은 절망의 시간들을 묘사하고 있다.

미·소 패권싸움의 틈바구니에 낀 약소민족의 고난과 운명을 보여준 작품이다.

저자는 책 제목인 25시를 두고 “25시는 인류의 모든 구원이 무효화된 시간이며, 25시는 최초의 시간이 아니라 최후의 시간서도 1시간이나 더 지난 시간이며, 24시 다음의 1시간은 아침이 오지 않고 절망의 시간이 계속되는 시간”이라고 강조했다.    

<오계>도 한센병에 걸린 주인공이 소록도 생활을 하면서 겪은 고초와 소록도를 탈출해 거리서 방랑하며 보낸 절망의 시간들을 묘사하고 있다.


저자는 “지금 나는 옛날 성하던 계절에 서 있고, 지금의 나는 여기 있는 것 같지도 않다”고 기술했고, 인터뷰에선 “건강했을 땐 사계절의 순환 속에서 일상을 보냈지만, 한센병에 걸린 이후엔 계절의 흐름 속에 있지 않다”고 고백했다.

당시 필자는 이 두 소설의 영향을 받아 25시와 오계의 의미를 인류의 구원이 끝난 절망의 시간과 모든 게 끝나 다시는 찾을 수 없는 계절로 받아들였다. 특히 1년에 한 번쯤 접할 수 있는 오계에 비해 25시는 일상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용어로 필자에게 절망의 감정을 가끔 갖게 했다. 이와 같이 25시는 절망의 대명사였다. 

그러나 21세기 초 선진국 도달을 눈앞에 둔 우리 사회에 도전정신과 서비스정신이 자리 잡으면서 절망의 시간을 대표하는 소설 속의 25시는 사라지고, “하루 24시간으론 부족해 더 열심히 뛰겠다”는 의지가 담긴 현대적 의미의 25시가 등장했다.

그리고 우리 사회에 좋은 영향을 끼치게 됐다. ‘특파원 25시’와 ‘GS 25시’가 도전과 서비스를 상징하는 25시의 대표적인 예다. 

필자는 목표를 향해 한계를 뛰어넘어 도전하는 사람들과 희생을 감수하며 타인과 사회를 위해 서비스하는 사람들을 ‘25시 사람들’이라고 명명해봤다. 

지난 7일 도전한국인 문화예술인상(청와대 편) 시상식서 조영관 도전한국인본부 대표가 “남들이 쉬고 잠자는 시간에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최선을 다한 도전한국인 여러분이 대한민국을 이렇게 위대한 나라로 바꿔놓았다”고 말했는데, 바로 도전정신이 강한 도전한국인이 ‘25시 사람들’이다.

도전은 성공하면 국가와 사회에 많은 기여를 해 국민적 영웅이 되기도 한다.

또 남들이 잠자는 시간에 1분1초도 놓치지 않고 안보와 치안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군인과 경찰관들, 휴일에도 위급한 환자를 위해 대기 중인 응급실 의료진, 새벽 일찍부터 나와 거리를 깨끗하게 치우는 청소원, 화주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야간에도 도로를 달리는 운전기사도 서비스정신이 투철한 25시 사람들이다.

그런데 ‘서비스정신이 투철한 25시 사람들’은 ‘도전정신이 강한 25시 사람들’에 비해 잘 드러나지 않아 우리 사회가 그들의 노고와 공로를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서비스정신이 투철한 자들이 행복하지 않은 현실을 보면서 현대적 의미의 25시가 서비스 분야에선 본래 게오르규의 <25시>나 노석현의 <오계> 속 절망의 의미로 전락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 중 도전정신이 가장 강한 대통령은 윤석열 대통령이라 할 수 있다.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 영업사원 1호를 자처하며 하루 24시간이 모자랄 정도로 전 세계를 누비고 있고, 한 달이 부족할 정도로 매월 열리는 국제회의에 참가하면서 일본에 통 크게 양보도 하고, 중국 눈치도 안 보고 미국과 친하게 지내고 있다.

그래서 우리 국민이 윤 대통령을 도전정신이 강한 ‘25시 대통령’으로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국민이 윤 대통령을 ‘서비스가 투철한 25시 대통령’으론 인정하지 않고 있다. 국민을 위해 열심히 국정운영을 하다가 발목이 잡히면 전 정부나 여소야대를 핑계로 대고, 국민의 절반이 지지하고 있는 제1야당 대표도 만나주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진짜 서비스정신이 투철한 군인, 경찰관, 의료진, 청소원, 운전기사 등 25시 사람들은 상황 논리로 핑계대지 않고 서비스 대상도 차별하지 않고 오로지 서비스 자체만 생각하고 달려가는 사람들이다. 

만약 대통령실이 서비스정신이 투철한 25시 사람들이 도전정신이 강한 25시 사람들에 비해 결과가 잘 드러나지 않아 서비스정신이 투철한 25시 대통령 전략에 소홀했다면 큰 오산이 아닐 수 없다. 우리 국민은 25시 사람들이 아무나 못하는 ‘최고의 최선’을 실천했기 때문에 영웅으로 여기는 것이지, 결과를 보고 그들을 영웅으로 평가하지 않는다. 

일제강념기 36년 동안 우리나라 전 국민은 게오르규의 <25시>에 갇힌 25시 사람이었다. 더 이상 게오르규의 <25시>가 우리나라에 소환돼선 안 된다. 대신 우리 사회가 현대적 의미의 도전정신과 서비스정신이 뛰어난 25시 사람들로 꽉 채워져 일등 대한민국으로 우뚝 서야 한다.

앞으론 61초, 61분, 32일, 13월, 366일(윤년엔 367일)도 현대적 의미의 도전정신과 서비스정신을 상징하는 대명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생활패턴이 하루 단위인 일반인은 25시가 어울리지만, 분초를 다투는 젊은이나 전문가는 61초, 61분이, 연월 단위로 사는 노인이나 농업인은 32일, 13월, 366일이 더 어울리기 때문이다.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