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천우의 시사펀치> 수도 이전에 대해

2020.08.03 09:56:14 호수 1282호

▲ ▲

고려 제17대 임금인 인종 13년(1135)에 일이다. 서경(평양)을 기반으로 한 묘청, 정지상 등이 풍수지리설에 입각해 수도인 개경(개성)의 지덕(地德)이 쇠했다는 이유로 서경으로 수도 이전을 주장하며 난을 일으킨다.



그러자 인종은 김부식 등 개경파를 앞세워 토벌에 나서고, 난을 일으킨 지 1년 만에 서경천도운동은 그 막을 내린다.

묘청과 정지상 등 서경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난의 주도 세력은 표면상으로 풍수지리설을 내세웠지만, 그 이면을 살피면 개경파의 독주에 대한 서경 세력의 불만서 비롯됐다.

결국 이 난으로 공을 세운 김부식 등 문인 세력의 권력 독점은 ‘무신란’(고려 후기에 무신에 의해 일어난 난)으로, 뒤이어 고려 왕조가 패망으로 치닫는 계기가 된다.

동 난에 대해 단재 신채호는 묘청 등이 주장한 칭제건원(군주를 황제라 칭하고,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자는 주장)과 금국(금나라) 정벌에 대해 ‘조선역사상 1000년 내의 제1대 사건’이라 규정한 바 있다.

이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분분한데, 이에 대한 판단은 유보한다. 대신 독자들께 그 이면에 가려져 있는 흥미로운 사실을 하나 밝히고자 한다. 김부식과 <삼국사기>의 탄생에 대해서다.


발단은 고려의 명장인 윤관과 김부식의 악연으로부터 비롯된다. 16대 임금인 예종 치세 시 예종은 윤관에게 자신의 숙부인 대각국사 의천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비문 작성을 지시한다. 윤관이 비문을 완성하자 당시로서는 햇병아리였던 김부식이 시비를 걸고 결국 윤관이 작성한 비문을 수정하게 된다.

그리고 후일 김부식이 대신의 반열에 올랐을 때, 김부식은 윤관의 아들인 윤언이에게 된통 수모를 당한다. 국자감에 행차한 인종은 그 자리서 김부식에게 주역에 대한 강의를 지시했고, 주역에 밝은 윤언이는 조목조목 반박해 김부식은 그야말로 비지땀을 흘리며 호되게 복수를 당한다.

이어 묘청의 난이 일어나자 토벌대의 원수로 임명된 김부식은 윤언이를 제거하기 위한 의도로 자신의 보좌역으로 임명하고, 난을 평정하는 과정에 윤언이가 서경파인 정지상과 결탁했다는 혐의를 씌워 제거하고자 했다.

그러나 김부식의 계획은 성사되지 못하고, 우여곡절을 겪은 윤언이가 중앙 정치 무대에 복귀하자 생명의 위협을 느낀 김부식은 정계를 떠난다. 결국 인종은 할 일 없는 김부식에게 위로 삼아 <삼국사기>를 편찬토록 지시함에 따라 삼국사기가 탄생하게 된다.

각설하고,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가 국토 균형 발전과 서울 부동산값 안정을 위한 대책 측면서 세종시로 행정 수도 이전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고, 그 일로 정치권이 요동치고 있다.

말인 즉 거창하지만, 결국 여권의 주장은 서울 부동산 가격을 내리기 위해 수도를 이전해야 한다는 논리다. 정치꾼다운 발상에 혀를 내두르지 않을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행정 수도 이전에 적극 찬성한다. 이유는 단 한 가지다. 서울이 더 이상 정치꾼들의 이전투구의 장, 민주당 이해찬 대표 말대로 ‘천박한 도시’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이야기로, 천박한 정치꾼들 모조리 데려가라는 의미에서다.

그런데 수도 이전이 성공할 지에 대해선 의문이다.

경쟁력이라고는 수단방법 가리지 않고 세금을 뜯어내 생색내는 일 밖에 없는 그들이, 자신들이 내놓은 부동산 정책의 실패로 인해 서울의 지덕, 즉 부동산 가격이 상승한 이유를 천박한 정책으로 복구하고자 하는 꼼수가 통용될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다.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