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히더지’ 김두희

2020.07.13 10:06:58 호수 1279호

시청자와 함께 만든 전시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라이브 방송과 미술이 결합된 독특한 전시가 열린다. 경기도 용인 소재의 갤러리 스탠 아트센터서 김두희(히더지) 작가의 개인전 ‘Arcade Fantasy’를 개최한다. 인터넷 방송 시청자들과 소통을 통해 탄생한 작품이 걸린다. 
 

▲ 애기공주_김두희


김두희 작가는 2019년부터 ‘히더지’(heeduji)라는 이름으로 인터넷 방송 플랫폼 트위치(Twitch)서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그는 시청자들과 나눈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상상의 세계를 그림으로 옮기고 그 과정을 방송을 통해 시청자들과 공유해왔다. 

하나의 자아

오는 11월1일까지 이어지는 김두희의 아트 프로젝트 ‘Arcade Fantasy’ 전은 작가가 시청자들과 소통하는 과정서 만든 캐릭터 70점과 이 캐릭터들을 주인공으로 펼치는 상상의 세계를 그린 24점으로 구성됐다. 

작가는 26세 때 전 재산이었던 300만원을 들고 독일 베를린으로 떠났다. 묵을 숙소도 정하지 않았다. 무작정 공항서 배낭을 멘 사람을 쫓아 발견한 가장 저렴한 게스트 하우스에 짐을 풀었다. 그때부터 그는 캐릭터를 수집하기 시작했다. 

일자리를 얻기 전까지 최대한 돈을 아끼겠다는 생각으로 게스트하우스서 가장 저렴한 16인실의 1층 침대를 장기 계약했다. 계획 없이 무작정 베를린에 입성한 김두희는 어딘가로부터 올 연락을 마냥 기다리는 것 말고는 당장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 


그런 이유로 베를린 게스트하우스서 혼자 노는 법을 만들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머물고 있던 16인실의 도면을 그렸다. 모두가 관광을 나간 텅 빈 방에서 바닥 타일에 발꿈치를 대고 드러누워 타일의 크기를 쟀다. 타일을 자로 삼아 바닥과 천장의 길이, 방의 가로세로 폭, 화장실 크기 등을 눈대중으로 측정해 도면을 그려나갔다. 

2019년부터 라이브 방송 진행
캐릭터·상상의 세계 그린 작품

측정과 기록 다음에는 관찰이었다. 함께 방에 머물던 15인의 생활을 관찰했다. 누가 몇 시쯤 밖으로 나가고 몇 시쯤 돌아오는지, 어떤 옷을 어떤 순서로 갈아입는지, 양치부터 하는지, 머리부터 감는지 등 사소한 일상을 살폈다. 

샤워 후 머리를 털고 그냥 나가는지, 아침을 챙겨 먹는 편인지 아닌지, 밤에 일찍 들어와 다음날의 여행을 위해 일찍 잠을 청하는지 아닌지, 각자 짐을 보관하는 방법, 침대의 정돈 상태 등 그들의 습관도 꼼꼼하게 바라봤다. 

그렇게 수집한 정보를 재료로 16인실에 드나드는 사람들의 국적, 나이, 이름, 성격, 직업, 가족관계, 베를린에 온 이유, 16인실을 선택하게 된 사정 등을 상상해 매일 바뀌는 10명 정도의 인물들에 대한 배경을 바탕으로 캐릭터를 만들었다. 
 

한 인물에 대한 이미지와 스토리를 상호간 소통 없이 오로지 눈으로 확인한 행동만을 재료로 캐릭터를 상상하고 텍스트로 창조했다. 이 방식은 김두희가 방송을 하면서부터 눈으로는 절대 확인할 수 없는 누군가를, 그저 그가 전하는 메시지를 통해 그림으로 창조하는 작업으로 연결됐다. 

상대가 사교적인 사람인지, 연애 경험이 많은지, 화목한 가정서 지내왔는지, 외로웠는지, 마음은 따뜻하지만 표현이 서툰 건지 등을 그가 선택하는 단어, 구사하는 문법을 재료로 해서 보는 게 아니라 읽어서 짐작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림을 그리는 과정을 공유하면서 관찰자인 작가와 그림의 대상인 상대가 서로 공감할 수 있는 캐릭터를 만들어 낼 수 있는지 여부가 중요해졌다. 캐릭터에 대한 공감성은 작가와 시청자의 신뢰도와 친밀도에 달렸다. 

김두희는 “여행지나 인터넷서 만난 사람이 자신에 대해 얼마만큼의 사실을 말할 것인가는 말을 하는 사람보다는 듣고 담아내는 사람에 달려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화자가 사실을 말한다고 해도 듣는 내가 믿지 않는다면 그것은 더 이상 사실이 아닌 게 된다”고 덧붙였다. 

무작정 떠난 베를린 여행에서
투숙객 관찰하며 캐릭터 구상


이어 “시청자가 치는 채팅의 내용보다는 말을 하는 방식, 구사하는 문법, 선택하는 단어, 단어와 단어 사이를 메우는 다른 단어의 모양을 따라 그 사람의 현재 상태를 캐릭터로 포착하려고 노력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조금 더 친밀해지고 신뢰를 주고받을 수 있다면 현실과 더 닮은 캐릭터를 구사할 수 있겠지만, 나의 작업은 현실의 재현보다는 현실의 한 파편을 통해 이야기를 만드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 Hang in there

또 “조각들을 단서로 전체를 알아맞히기보다는 순간순간의 조각들을 채집하는 것 자체서 의미를 찾는 셈”이라며 “사람의 몸은 하나라 우리는 오로지 한 방향의 어떤 자아로서 정의됐을 때 안전함을 느끼지만, 우리의 캐릭터는 얼마든지 복사될 수 있기 때문에 죄책감 없이 오로지 즐거운 느낌만으로 여러 인물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즐거운 복제

김두희의 이번 개인전은 온라인, 오프라인 관람객들과 직접 소통하는 새로운 방법의 전시를 도모하고 있다. 언택트(Untact)와 컨택트(Contact)를 동시에 실현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라고 보면 된다. 그는 “이번 전시와 프로젝트가 관람객들에게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즐거운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소감을 전했다. 

김태현 스탠 아트센터 대표는 “온라인 소통이 전에 없이 보편적이고 편의성을 가지게 되는 요즘, 작가의 전시를 그저 관람하는 것을 넘어 많은 사람들과 다양한 이야기를 하며 소통하는 것으로 만들고자 했다”며 “전시와 작가 활동에 참여하는 새로운 시도를 가볍게 또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jsjang@ilyosisa.co.kr>

 

[김두희는?]

김두희 작가는 건국대학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전공한 후, 상업 장편영화 분야의 프로덕션 디자인 일을 했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공업디자인 석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인터넷 방송 플랫폼 트위치서 1인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영화 시나리오 창작과 드로잉 작업도 하고 있다. <선>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