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허균, 서른셋의 반란 (16)이면

2019.11.20 09:12:11 호수 1245호

손곡 이달은 누구?

허균을 <홍길동전>의 저자로만 알고 있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조선시대에 흔치않은 인물이었다. 기생과 어울리기도 했고, 당시 천대받던 불교를 신봉하기도 했다. 사고방식부터 행동거지까지 그의 행동은 조선의 모든 질서에 반(反)했다. 다른 사람들과 결코 같을 수 없었던 그는 기인(奇人)이었다. 소설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허균의 기인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파격적인 삶을 표현한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삶을 누려야 한다는 그의 의지 속에 태어나는 ‘홍길동’과 무릉도원 ‘율도국’.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조선시대에 21세기의 시대상을 꿈꿨던 기인의 세상을 마음껏 느껴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내가 왜 그대와 비슷하다고 했는지 그 연유를 아시오?”

매창이 허균의 얼굴을 물끄러미 바라보며 직접 그 답을 이야기해줄 것을 종용했다.

“그대는 첩의 딸로 태어났다 하지 않았소.”

“그러하옵니다만.”

“그대와 경우는 조금 다르지만 나의 경우도 원래 정실부인의 소생이 아니었소.”


“그야 말씀하시지 않으셨어요.”

허균의 어릴 적

“그 이면을 살펴보자 이 말이오.”

허균이 매창을 주시하며 가만히 한숨을 내쉬었다.

“내가 강릉을 떠나 한양 집으로 돌아갔을 때였소. 그곳에서 아버지뻘 되는 형님을 만났소.”

매창이 고개를 갸웃거렸다.

“허성 형님이 나에게 배다른 형님이라 이 말이오.”

전혀 납득되지 않는다는 듯 허균의 얼굴만 바라볼 뿐이었다.

“나의 아버지에게는 본부인이 있었다고 하지 않았소. 그러나 그 분이 세상을 달리하셨고 나의 어머니와 새로 가례를 올리신 것이오. 물론 이전에도 그 사실을 알고 있었으나 배다른 형님과 형제들이 있을 줄은 몰랐소.”

“그런 경우라면 저와 다르지 않은가요.”


“살아 있으나 죽은 후나 결국 그게 그거지 뭐.”

“무슨 말씀인지 도저히 이해되지 않사옵니다. 그저 제 입장에 대해 배려하는 것으로 생각하겠사옵니다.”

막상 말을 해놓고는 허균 자신도 조금은 어이 없다는 듯이 슬그머니 미소로 답했다.

“균아!”

“네, 형님.”

“가서 네 누나를 불러오너라.”

“초희 누나를 말이에요.”

“그럼, 지금 집에 초희 말고 또 네 누나가 있느냐.”

둘째 형인 허봉이 출타했는가 싶었는데 언제 돌아왔는지 균에게 누나를 불러오라는 주문을 넣었다.


막 붓을 들어 시를 쓰려던 균이 자리에서 일어나 방문으로 다가섰다.

“형님, 그런데 무슨 일이에요?”

“지금 아버지께서 너희 둘을 찾으시니 한번 가보자.”

“아버지께서요?”

“그러니 어서 불러 오거라.”

아버지께서 누나와 자신을 찾으신다고 했다. 둘에게 뭔가 하실 말씀이 있으신 모양인데 그 내용이 무엇인지 궁금해졌다.

“형님, 무슨 일인지 알 수 없어요?”

허봉이 나이 어린, 자신과 열여덟 살이나 차이 나는 어린 동생을 지긋이 바라보았다.

“글쎄다. 자세한 내용은 모르겠고 너희 둘에게 아마 좋은 일이 생길 듯한데 말이야.”

“좋은 일이라.”

정식으로 시 공부를 하게 된 허균과 초희
스승은 손곡 이달… 관심을 보이는 매창

하기야 균을 그리고 초희를 끔찍이도 아끼시는 아버지께서 좋은 일이 아닌 나쁜 일로 부르지는 않을 터였다.

균이 내처 방을 나가 오래지 않아 초희와 함께 돌아왔다.

초희의 모습을 확인한 허봉이 둘을 데리고 아버지 거처로 이동했다.

“아버지, 저희들 왔습니다.”

안에서 아버지의 인자한 목소리가 들려왔고 이어 문이 열리며 어머니의 모습도 나타났다.

어머니의 안내로 방에 들어 자리 잡았다.

“아버지께서 너희 둘, 초희와 균에게 이르실 말씀이 계시다니 잘 들어 보거라.”

아버지의 시선이 균을 향하기를 잠시 초희에게 고정되어졌다.

“너희 둘 문제로 너희 오라비와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균과 초희의 시선이 동시에 허봉에게 향했다.

허봉이 미소 지으며 고개 돌리고 애써 모른 체 했다.

“너희 오라비 생각으로 너희 둘에게 정식으로 공부를 시키기로 했다.”

“네, 정식으로요!”

초희와 균의 입에서 동시에 튀어나왔다.

아버지께서 대답 대신 미소를 보내며 다시 초희를 주시했다.

초희의 얼굴이 상기될 대로 상기되고 있었다.

“너희 오라비의 의견대로 너희들 특히 초희의 경우 정식으로 시 공부를 시키기로 결정했다.”

“아버지, 그러면 이제는 어깨 너머로 공부하지 않아도 되는가요.”

초희의 목소리가 떨리고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항상 오라비 허봉과 허균의 어깨너머로 슬그머니 글을 배우고는 했는데 지금 아버지께서 정식으로 글공부하도록 배려한다고 했으니 그 심정 말로 표현하기 힘들 지경이었다.

초희가 아버지에게 다가 앉았다.

다가오는 딸의 얼굴을 바라보는 아버지의 표정이 그리 밝지만은 않았다.

일전에 이야기했던 운명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 듯했다.

“이제는 더 이상 어깨 너머로 공부하지 않아도 돼.”

“아버지, 그러면 저희를 가르쳐주실 스승님은 어떤 분이시온지요.”

균이 점잖게 입을 열었다.

아버지께서 대답 대신 허봉을 바라보았다.

“너희 둘도 잘 알고 있겠지. 내 친구 이달 말이다. 손곡 이달.”

허봉의 친구로 자주 집을 드나들며 허봉과 함께 시를 논하던 절친한 친구였다.

시뿐만 아니었다.

가끔은 조선의 앞날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이는 일도 심심치 않게 발견하고는 했었다.

“나리, 지금 손곡 이달 선생님이라고 하셨는지요.”“그렇소. 이달이라오. 나와 누나의 스승이 바로 이달이었다는 말이오.”

“손곡, 이달.”

매창이 가만히 손곡 이달을 되뇌었다.

“그분의 경우도…….”

허균이 슬며시 웃음을 흘렸다.

“촌은 유희경이나 매한가지로세, 암 매 한가지고말고, 아니지 더 심한 경우라고 보아야지.”

“나리, 손곡 선생님에 대한 이야기를 여쭈어 보아도 좋은지요.”

허균이 잠시 주저했다.

“왜요, 나리. 말씀하시기 곤란하신지요.”

“곤란할 것은 없고…….”

“하오시면.”

더 심한 경우

“혹시 오해를 불러일으키지 않을까 그것이 염려되는 바요.”

매창의 눈이 반짝였다. 어렴풋이 이달에 대해 알고 있었던 터였다.

매창 자신의 경우와 조금도 다를 바 없는, 관기의 자식 즉 얼자였다. 

“이미 알고 있으리라 생각하지만 그 분의 경우 어머니께서 관기였다오.”

조심스럽게 말을 끝낸 허균이 매창의 얼굴을 주시했다.

매창이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이 허균을 마주보았다.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