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허균, 서른셋의 반란 (14) 회상

2019.11.06 08:18:25 호수 1243호

첫사랑 유희경

허균을 <홍길동전>의 저자로만 알고 있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조선시대에 흔치않은 인물이었다. 기생과 어울리기도 했고, 당시 천대받던 불교를 신봉하기도 했다. 사고방식부터 행동거지까지 그의 행동은 조선의 모든 질서에 반(反)했다. 다른 사람들과 결코 같을 수 없었던 그는 기인(奇人)이었다. 소설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허균의 기인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파격적인 삶을 표현한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삶을 누려야 한다는 그의 의지 속에 태어나는 ‘홍길동’과 무릉도원 ‘율도국’.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조선시대에 21세기의 시대상을 꿈꿨던 기인의 세상을 마음껏 느껴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허균의 심정이 가라앉을 대로 가라앉았다.

그를 감지한 매창은 어떻게든 분위기를 쇄신할 필요를 느꼈다. 결국 자신의 이야기로 상황이 그리 되었으니 반드시 자신이 그 일을 책임져야 할 일이었다.

“나리, 소녀의 경거망동이었습니다. 그러니 용서하여 주십시오.”

매창의 표정으로 보아 진정으로 자신이 꺼낸 말에 대해서 용서를 구하고자 하는 듯이 보였다.

“그리 간단히 용서할 수는 없는 노릇이고.”


말을 멈춘 허균이 거문고를 주시했다.

거문고를…

“나으리, 거문고를 타 올릴까요.”

허균이 대답 대신 밭은기침을 내뱉자 매창이 상 앞에서 물러나 조심스럽게 거문고를 안고 다시 자리로 돌아와 앉았다.

거문고를 앞에 두고 몸과 마음을 추스르는 매창의 차분하고 결 고운 모습에 허균의 가슴이 술렁이고 있었다.  

매창과 거문고.

허균이 들은 바 있었다.

매창의 시에 관한 천재성도 그러려니와 거문고 연주도 조선에서 으뜸일 것이라 했다.

그런 이유로 매창의 거문고 연주를 듣기 원하였으나 차마 대놓고 요구하기는 무안했던 터였다. 

매창이 거문고의 음을 조율하려는 듯 가볍게 손가락을 움직였다.


허균이 그 순간순간의 모습을 놓치지 않았다.

조금은 야윈 듯 보이는 가늘고 앙증맞은 손끝에 거문고가 ‘팅’하는 소리를 내며 굴복하고 있었다.

찬찬히 매창의 얼굴을 살펴보았다. 거문고에서 나는 소리가 아니었다. 매창의 눈에서 떨어지는 수정 같은 눈물방울 소리였다.     
“계량이 안에 있니!”
서쪽으로부터 번져오는 저녁노을을 쪽문 틈으로 바라보며 황홀경에 빠져들고 있었다.

열여덟 살 부푼 여인의 가슴이 울렁거릴만큼 황홀했다. 

“뉘시온지요.”

되묻는 그 목소리에 아쉬움이 속속 배어 있었다.

자신을 찾는 사람의 정체를 이미 알고 있고 또 자신만의 시간을 방해받고 싶지 않은 데서 흘러나오는 푸념 섞인 말투였다.

“뉘는 뉘라고. 나 춘섬일세. 들어가도 되겠나.”

부안현의 기생어미인 춘섬이었다.


계량이 마지못해 응대하고는 방문을 열자 열려진 방문 사이로 방안을 훑어보던 춘섬이 성큼 안으로 들어섰다.

“아니, 왜 이리 청승 떨고 있느냐. 이 좋은 날 방문까지 꼭 걸고 말이야.”

거문고를 타다… 매창의 눈에는 눈물이
부안현에 찾아온 조선 최고의 시인은?

계량이 대답 대신 옷 앞부분을 가다듬었다.

그를 놓치지 않겠다는 듯이 춘섬의 시선이 계량의 가슴으로 향했다.

터질 듯이 솟아 오른 가슴을 바라보는 그 시선에 음흉함이 그대로 묻어나오고 있었다.

그를 감지한 계량이 손으로 자신의 양 가슴을 내리 눌렀다.

춘섬의 음흉한 시선에 묘한 미소가 더해졌다.

계량의 하는 양을 바라보던 춘섬이 급히 자리에 앉아 계량의 손을 잡아끌었다.

“오늘 한양에서 귀한 손님이 오신다고 해서 내가 특별히 자네를 천거했네.”

“무슨 말씀이신지요?”

계량의 말에 의심의 눈초리가 함께했다.

그도 그럴 것이 얼마 전 일이 떠올랐던 때문이었다.

한양에서 내로라하는 가문의 사내라고 거들먹거리기에 그와 자리를 함께한 적 있었다.

그러나 멀쩡한 허우대와는 달리 머릿속에 든 것이라고는 하나 없고 오로지 계량을 노리개 정도로 간주하고 있었다.

처음에는 은근히 다가오더니 술이 들어가자 여지없이 본색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한참 물이 오르기 시작한 계량의 여체를 탐하고자 덤벼들었고 그 실랑이 속에 계량의 옷자락이 찢어지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순간 그 사내도 아차한 모양으로 잠시 사이를 두는 틈을 이용하여 계량이 시 한 수 토해냈다.

贈醉客(증취객) 취한 손에게 드림

醉客執羅衫(취객집나삼) 취한 손님이 명주저고리 옷자락 잡으니 
羅衫隨手裂(나삼수수열) 손길 따라 명주저고리 소리 내며 찢어졌네 
不惜一羅衫(불석일라삼) 명주저고리 하나쯤이야 아까울 게 없건만 
但恐恩情絶(단공은정절) 임이 주신 은정까지 찢어졌을까 그것이 두렵네 

시를 들은 사내는 계량의 마음을 읽었는지 자신의 경솔함을 탓하고 자리를 물린 일이 있었다.

바로 그 일이 춘섬의 주선으로 발생했었다.

그러니 춘섬으로서도 그런 일을 모를 리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춘섬이 더욱 은근하게 계량에게 다가섰다.

“전과 비교하면 큰 오산일세.”

춘섬의 행동뿐만 아니라 소리도 당당했다.

계량이 심드렁하게 대했던 태도를 바꾸어 찬찬히 춘섬을 응시했다.

춘섬의 하는 양으로 보아 이번에는 자신을 가지고 있는 듯이 보였다.   

“하오면.”

“내가 잘은 몰라도 조선 최고의 시인이 이곳에 왔다는구나. 그래서 내 특별히 자네를 천거했네. 자네만이 그 사람과 대적 될 듯해서 말이야.”

춘섬의 말에 일시적으로 흥미가 일었으나 행여 그런 일이 있으려니 하는 생각이 머리를 휘감았다.

그도 그럴 것이 조선 최고의 시인이 변방 중에 변방인 부안현까지 무엇하러 왔다는 말인가. 

“어머니, 그냥 저는 빠지는 편이 나을 듯해요. 괜히 제가 끼어들었다가 지난번처럼 낭패당할 수는 없잖아요.”

지난번 경우엔 춘섬의 음모가 숨어있었다.

한양의 돈 많은 사내에게 계량을 소개하고 그 중간에 거금의 돈을 챙기려 했으나 계량의 진면목이 드러나면서 일이 틀어져 모두가 곤란한 처지에 놓였었다.

춘섬이 애가 타는 듯 바짝 다가앉아서는 깊게 한숨을 내쉬었다.

“알겠네. 내 솔직하게 이야기함세.”

계량이 슬쩍 미소를 던졌다. 

“그래요, 어머니. 무슨 일인지 들어볼게요.”

“실은 내가 천거한 것이 아니고 저쪽에서 특별히 자네를 지목하여 보고자 한다네. 그래서 내 이리 급히 달려왔고 말이야.”

“저 쪽에서요?”

“그렇다네. 한양에서 내려온 그 사람이 특별히 자네를 만날 수 있도록 주선을 넣었다는 이야기일세.”

최고의 시인?

춘섬을 바라보는 계량의 표정이 진지했다. 

“도대체 그 분이 누구란 말인가요.”

“나도 그 이상은 아는 바 없네. 다만 이 조선 땅에서 최고의 시인이라는 이야기 외에는…….”

“조선 땅에서 최고의 시인이라.”

계량이 가만히 손가락을 접어보았다.

계량이 알기로 조선 땅에서 가장 유명한 시인으로는 백대붕과 촌은 유희경이 있을 뿐이었다.

그렇다면 그 두 시인 중에 한 사람이 부안현을 방문했고 급기야 자신을 찾는다는 말인가.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