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갤러리도스 기획공모전 ‘시선의 자취’

2019.01.07 10:08:26 호수 1200호

7명의 작가가 본 세상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갤러리도스가 2019년을 맞아 7명의 작가들과 함께 릴레이 전시를 준비했다. 7명의 작가들은 시선의 자취를 주제로 12일부터 다음달 26일까지 순차적으로 개인전을 소개한다. 장예지, 신채희, 박지현, 윤지현, 최희은, 강민지, 이초희의 작품을 만나보자.
 

▲ 바람이 부는 곳. 159.5x91, 화선지에 먹, 2014


갤러리도스는 상반기와 하반기 두 번의 공모전을 통해 새로운 작가를 발굴하고 있다. 공모전은 매번 새로운 주제로 진행된다. 작가들은 같은 주제를 가지고 자신들의 작품세계를 참신하게 풀어내는 자리에 선다. 이번 상반기 주제는 시선의 자취다.

상반기 공모전

첫 번째(128) 주자는 장예지 작가다. 홍대 회화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회화과에 재학 중이다. 조각보를 모아 꿰매고 엮는 작업을 통해 작품을 완성한다. 그는 조각보는 쓰다 남은 천을 활용한 것으로, 실로 연결해 하나의 형태를 만드는 것이라며 “(조각보는) 당장에 쓰이진 않아도 그때그때 만들어 보관했다고 말했다.

이어 당장 쓰일 수 있는 유용한 재화는 아니지만 손수 꿰매고 엮어가는 일은 품과 노력이 많이 든다”며 그것이 내가 작업을 수행하는 기조와 그 맥을 이어가는 게 아닐까 싶다고 설명했다.

장 작가는 자칫하면 무의미하게 지나쳐버리는 장소나 거리 등을 붙잡고 엮어나가면서 자신이 발 디딘 장소에 대한 기록의 의지를 드러낸다. 또 앞으로 어디로 가야 하는지에 대해 지각하려는 시도라고 했다.


같은 주제로 릴레이 전시
각자 풀어내는 방식 달라

오는 9일부터 15일까지는 신채희 작가의 개인전이 열린다. 그는 이대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서양화과 석사 과정 중이다. 사람과 어떤 대상이 만나는 과정서 발생하는 불순한 감정에 대해 표현했다. 여기서 불순이란 부정적 감정이 아니라 순수의 반대를 뜻한다.

신 작가는 어떤 것을 향한 한 사람의 감정은 항상 복합적이고 양가적이라며 두 개 혹은 세 개, 그 이상의 감정을 계속해서 넘나들며 헷갈리지만 어떻게든 감정의 총량서 가장 우위를 점하는 하나의 감정을 골라 이야기한다고 전했다.

이런 미묘한 감정의 혼합 덕분에 사람과 사람 사이서 오롯한 감정의 일치는 찾아보기 힘들다. 신 작가는 또 다른 감정에 의한 단일 감정의 오염과 그것이 우리에게 주는 영향에 주목한다.

세 번째(11622) 주자는 박지현 작가다. 미국 뉴욕 스쿨오브비쥬얼아트 순수미술전공 학사로 졸업했다. 박 작가에게 그림은 어려운 마음의 유일한 위로이자 표현 그리고 영원한 대변인이다. 지나간 시간을 되돌릴 수 없고 지나간 감정도 되살릴 수 없다. 박 작가는 어떤 순간 사진을 찍어 기록을 남기듯 감정을 기록하고 표현하고 담아낸다.
 

▲ 09.MARKS_21, 53.0x45.5(cm), acrylic on canvas, 2018

그는 그리는 행위를 통해 타인에게 말로 다할 수 없는, 공유할 수 없는, 전달의 한계에 부딪치는 이해와 공감에 대해 토해낸다”며 그 속에는 말로 다할 수 없는 나만의 비밀이 있는데, 간접적으로 그 비밀을 드러내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사람으로부터 채워질 수 없는 부분들 혹은 말로써 다하지 못하는 것들을 작업을 통해 채운다(그림)만은 변하지 않고 나를 알아주겠지라는 말을 되뇌며 작업과 하나가 돼간다고 덧붙였다.

중앙대서 한국화를 전공한 윤지현 작가는 오는 23일부터 29일까지 전시회를 진행한다. 옅은 물감으로 겹겹 쌓아올린 레이어와 스케치 구조를 통해 사물에 대한 고찰의 흔적을 남긴다. 화면의 도상은 결국 시선을 통해 인식된 사물이다. 화면에 재배치된 도형들은 작가의 기억을 수집해놓은 하나의 거대한 기억이다.

윤 작가는 화면을 통해 드러나는 단순함은 낱말 맞추기와 같이 여러 이야기를 수반한다. 사람들이 가진 삶의 역사를 하나의 형태로 귀결 지을 수 없는 만큼, 작업을 읽는 관람객들의 속내는 복잡하고 다양하리라 생각한다결국 내 작업은 기호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기표로서의 의무만 책임진다. 수많은 기표들을 공간에 나열해놓음으로써 지나가 버린 현재, 박제된 기억들의 축적된 시공간 속에 관습적으로 남아 있는 도상의 탈피를 표현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다섯 번째(130212)에는 최희은 작가가 나선다. 미국 시카고 예술대학을 졸업하고 이대 대학원 서양화과에 재학 중이다. 최 작가는 시에 자극을 받으며 눈으로 읽고 머리로 생각해 회화적 이미지로 그려낸다. 평범한 일상서 만난 한 편의 시는 최 작가에게 신선한 자극으로 작용한다.


최 작가는 언어의 의미는 개인의 기억이나 상상이 개입될 수 있는 이미지의 작용이 있어 해석이 다양하고 감각적이라며의미가 고정돼있지 않은 시에서의 세계처럼 그림서도 온전하게 다 보여주지 않으면서 내가 마주하는 환경과 문자언어로 만들어진 세계의 어떤 모호한 경계를 결합하려 한다고 밝혔다.

시선을 잡아끄는 어떤 것
작품에 담긴 사유의 과정

강민지 작가는 여섯 번째(21319) 주자다. 서울대서 동양화를 전공하고 조소과 대학원에 재학 중이다. 강 작가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매체의 결합에 관심을 기울인다. 아날로그 시대와 디지털 시대의 과도기라는 현 시대성을 작품에 반영하고자 했다.

인간의 손때가 묻은 전통매체와 뉴미디어 매체의 결합을 통해 인간성과 기계성에 대한 고찰에 천착한다. 다양한 매체의 결합을 통해 다채로운 시선의 자취를 남기려고 시도 중이다.

그는 전시의 제목을 라고 지은 것은 다의적인 의미가 있기 때문이라며 한자로 시()일 수도 시()일 수도 있다. 시간과 시각을 동시에 드러낸다. 또 영어로도 see(보다)”라며 시간을 통해 경험한 것은 시각을 통해 발현되는 동시에 관점을 경험한 것은 시간을 통해 다시 시각으로 표현되는 무한 순환과정을 가진다고 설명했다.
 

▲ 시선의 자취 표지

이어 내 시선의 자취는 고통스럽고 괴로우며, 슬픈 나의 경험을 나만의 고유한 관점과 시선으로 해석해 아름답고 달콤한 향기를 남긴다고 부연했다.

이초희 작가가 마지막(22026)을 장식한다. 이대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서 동양화를 공부했다. 연안은 이 작가에게 어릴 적 체험이 녹아 있는 장소다. 그는 성인이 돼서도 연안을 그리워하고 그곳서의 추억을 동경했다.

이 같은 정서적 유대가 창작에 대한 열망을 불러일으켰다. 연안의 풍경을 담는 작업을 통해 장소에 대한 특별한 감상을 회고하고 정서를 축적해왔다. 이 작가는 작품을 통해 관람객들이 연안의 정서를 대리적으로 경험했으면 한다내가 나타내고자 했던 정서를 함께 나누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다양한 시선


갤러리도스 관계자는 우리는 일상서 무수히 많은 것들을 시각을 통해 보고 느끼지만 모든 것이 오래 남아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그중에서도 자신조차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지만 유독 시선을 붙잡는 것들이 있다고 전했다.

이어 예술가들은 주변에 조금 더 예민하고 민감하게 반응하는 감수성을 지니고 작품에 임한다이처럼 작가의 해석이 덧붙여진 작품에는 대상에 시선이 머물렀던 시간 그리고 그 안에서 일어난 사유의 과정들이 고스란히 녹아있다고 덧붙였다.

또 이번 상반기 기획공모전 시선의 자취 전시가 작가들이 가진 다양한 시선을 자유롭게 펼쳐놓음으로써 관람객들과 공감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를 드러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