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삼국비사 (75)애도

2018.03.21 09:34:07 호수 1158호

당태종이 죽다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지금 이세민이 죽었다 하였습니까?”

연개소문이 조정에 들어 일상사를 살피는 중에 선도해가 찾아왔다.

“확실한 첩보입니다, 대감.”

허탈한 느낌이 일었는지 연개소문이 물끄러미 천장을 바라보았다. 

“반드시 내 손으로 처단할 일이었건만.”


“결국 그게 그거 아니겠습니까.”

“그렇게 되는 거요?”

연개소문이 선도해에게 고개를 돌리며 가볍게 한숨을 내쉬었다.

“거참.”

“왜 그러시는지요?”

“조금은 허탈한 느낌이 일어 그렇소.”

“저 역시 막상 이세민이 죽었다고 하니 어딘가 모르게 가슴 한쪽이 비어가는 느낌이 일더군요.”

“허허, 그게 인지상정인 모양입니다. 막상 적장이 사라지니 나 역시…….”

“그래서.”

“말씀하세요.”


적장의 죽음

“조문 사절을 보내야지 않겠는지요?”

“조문 사절이라! 그래, 전하께 말씀드렸습니까?”

“아닙니다. 그런 연유로 이렇게 찾아뵈었습니다.”

“그래요. 당연히 조문사절을 보내야지요. 그런데 말이오.”

“말씀하시지요, 대감.”

“마음이 울적한데 우리 대동강 변으로 나가 술이나 한잔 합시다.”

연개소문의 제안에 선도해가 어깨를 나란히 했다. 

곁을 따르는 하인들에게 간단한 주안상을 준비시키고 대동강변의 능라도로 걸음을 옮겨 호젓한 곳에 자리 잡았다.


“그리도 마음 상하십니까?”

“상한다기보다도 인생사 참으로 허망하다는 생각이 드는구려.”

“그러게 말입니다.”

“그러면 후임으로 누가 왕이 되었다 합디까?”

“아홉째 아들인 이치가 보위에 올랐다 합니다.”

“아홉째요?”

“이세민의 적자 중 막내라 합니다. 애초에 이세민이 첫째 아들인 이승건을 태자로 책봉했다가 행실이 바르지 못하다는 사유로 폐하였고 뒤 이어 넷째 아들인 이태를 태자로 삼았으나 역시 행실 문제로 폐하였다 합니다.”

“나이는 어떻게 됩니까?”

“스물 둘이라 합니다.”

연개소문이 가만히 스물 둘을 되뇌는 순간 주안상을 준비한 하인들과 함께 연정토가 기생들을 데리고 다가왔다.

“자네는 어인 일인가?”

연개소문이 기생들의 면면을 살폈다. 

“어인 일은요. 형님이 술 마신다고 하니까 술 맛 돋구어주기 위해 이렇게 달려왔지요.”

“거들어 준다.”

연개소문이 희미하게 미소 지었다.

“그런데 무슨 일로 이 뜨거운 여름날 낮술을 하시려는 겁니까?”

“자네가 애지중지하던 이세민이 죽었다네.”

“뭐요, 쥐새끼가요!”

순간적으로 선도해의 얼굴을 주시했다.

“그래서 대감과 함께 적장의 죽음에 대해 조의를 표하려고 이렇게…….”

“조의라니요. 조의는 사람에게 표하는 게 아닙니까. 그놈은 쥐새끼인데.”

“이 사람아, 사람이 그런 게 아니야. 비록 생전에는 서로의 목적이 달라 생사를 겨루었지만, 먼저 간 사람에 대해 예의를 표해야지.”

연개소문의 차분한 말투에 연정토가 가볍게 고개를 흔들고는 사이사이에 여자를 앉히고 술병을 들었다.

“그렇다면 술이 빠질 수 없는 노릇이지요.”

연정토가 둘의 잔에 술을 따르고 자신의 잔을 채웠다. 

“혹여 당태종이 죽기 전에 언급은 없었다 합디까?”

말을 마친 연개소문이 잔 들것을 권유하자 모두 잔을 비워냈다.

“당연히 있었지요. 그 아들에게 차후로는 고구려를 침공하지 말라 했다 합니다.”

“쥐새끼가 죽어서 정신을 차렸구먼.”

연개소문이 못마땅하다는 듯이 연정토를 주시하자 슬그머니 고개 돌렸다.

“이 사람아, 이세민이 비록 적장이었지만 대단한 사람이었네.”

적장 사망 소식에 연개소문은 허망
이세민 아홉째 아들 이치가 보위에

이세민, 당나라의 제2대 황제이며 당 고조 이연의 차남이었다. 

이름인 세민의 본래 뜻은 제세안민(濟世安民), 즉 세상을 구하고 백성을 편안케 하라는 의미다.

그는 뛰어난 장군이자, 정치가, 전략가, 그리고 서예가이기까지 했으며, 중국 역대 황제 중 최고의 성군으로 불리어 청나라의 강희제와도 줄곧 비교된다. 

아울러 그가 다스린 시대를 ‘정관의 치’라 한다.

그런 그는 애초에 태자의 위치에 있지 않았다. 

그러나 각종 전쟁에 참여해 공을 세우면서 권세와 인기가 높아가자 태자인 이건성이 막내 동생 제왕(齊王) 이원길과 함께 이세민을 죽일 계책을 세운다.

이건성은 위징, 왕규, 배적 등의 핵심 수하들과 함께 이세민 제거 작전을 세우는데 이를 사전에 알아챈 이세민이 처남 장손무기와 장군 이정, 이세적 등을 이용해 도리어 역으로 그들을 이용한다.

그에 대한 방편으로 이세민은 부황 이연에게 형제들이 자기를 죽이려 모함한다 아뢰자 이연은 그들을 장안의 궁성으로 불렀다. 

아울러 이건성과 이원길이 궁성의 현무문으로 들어온 순간 매복한 이세민의 군사들이 활을 쏴 그 자리에서 그들을 죽였다.

그 사건이 있고 난 삼 일 뒤 이연은 이세민을 태자로 삼고 이 개월 뒤에 양위하였다. 

최고의 성군

엄숙한 표정을 지으며 이세민에 대한 설명을 곁들이던 연개소문이 고개를 옆으로 돌렸다.

“자네는 이름이 어떻게 되는고?”

“소녀, 미랑이라 하옵니다.”

“미랑이라.”

미랑을 되뇌며 그녀를 주시하던 연개소문이 선도해에게 고개를 돌렸다. 

순간 선도해가 잔잔하게 미소 지었다.

“미랑이라, 당태종의 애첩도 이름이 미랑이라 하던데.”

“허허 이런. 이런 경우도 있네 그려.”

가볍게 혀를 찬 연개소문이 미랑을 자리에서 일어나 한 바퀴 돌리도록 하고는 몸 구석구석을 탐색했다.

“이 정도면 이세민의 애첩으로 결코 손색없겠습니다.”

선도해가 흡족한 미소를 머금으며 찬사를 보내자 미랑이 무슨 의미인지도 모르면서 얼굴색이 발갛게 물들어갔다.

미랑은 당태종의 애첩으로 후일 아들인 고종의 비가 되는 여인이다. 

그녀는 측천무후로 잘 알려진 중국 역사 유일무이의 여왕으로, 여걸로 추앙받았다.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