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기계생명체의 창조주' 최우람

2016.12.12 11:05:03 호수 1092호

기계에 생명을 불어넣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일단 제가 기계를 너무너무 사랑하는 사람이에요.” 작가 최우람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서 기계에 대한 사랑을 거침없이 표현했다. 어린 시절부터 기계와 생물의 결합에 관심을 가졌던 최우람은 자라서 기계생명체를 만들어 전시하는 작가가 됐다. 딱딱하고 차가운 기계에 생물의 움직임과 온기를 불어넣은 최우람의 개인전을 살펴보자.



대구미술관은 작가 최우람의 개인전 ‘스틸 라이프(stil laif)’전을 개최했다. 이번 전시는 독특한 상상력과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술을 결합한 작품을 전면에 내세움과 동시에 시대와 인간에 대해 깊이 사유하는 작가를 심도 있게 조명하고자 기획됐다. 최우람은 전시를 통해 2002년 작품인 초기 기계생명체부터 최근 신작 등 조각과 설치작품 20점을 소개했다.

과학자 같은 예술가

‘기계생명체를 창조하는 조각가’ ‘과학자 같은 예술가’ 등 최우람에게 붙는 수식어는 독특한 데가 있다. 수식어처럼 최우람은 기계와 모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움직이는 조각인 기계생명체를 만드는 작가로 유명하다. 그는 작업 초기부터 ‘움직임’이라는 요소를 가지고 작품을 제작해 왔다.

그의 작품 속에는 과학적 상상력, 기술과 결합한 제작 방식, 금속성 재료, 실제 살아서 움직이는 듯한 유연한 움직임과 스토리텔링 등이 모두 들어 있다. 이 때문에 그의 작품은 현대미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고 있다고 평가 받기도 한다.

최우람이 직접 이름 붙인 기계생명체는 각종 기계부품과 부속, 모터들로 만들었지만 생명을 가진 유기체인 곤충, 물고기, 꽃, 파충류 등을 연상하게 한다. 차가운 느낌보다 온기를 가진 생명체처럼 느껴지는 작품은 유기적으로 완벽하게 작동해 아름다움을 넘어 신비로움을 자아낸다.


각종 부품이 꽃과 물고기로
차가움 속에 온기 불어넣어

작품에는 각각의 운동방식, 재료에서 근거한 유사 라틴어 학명과 고고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가상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최우람의 시도는 하나의 예술작품을 넘어 보는 사람들에게 작품이 실존하는 생명체인 것처럼 느껴지도록 한다. 또 기술 발전에 따른 인간의 과도한 욕망을 경고하는 것에서부터 기계와 인간이 공생하는 방향으로 변화, 확장해왔다.
 

작품은 장르상 키네틱 아트 혹은 미디어 아트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그 기저에는 기계가 기술을 이야기하는 것을 넘어 종교와 철학, 자연에 대한 깊은 관심에서 비롯된 인간에 대한 사유가 함의돼 있다. 역사 속에서 반복되는 인간의 폭력, 합리성을 가장한 사회적인 모순 속에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에 대한 그의 관심과 연구는 수년 전부터 작품의 외연에 적극적으로 반영돼 왔다.

최우람은 지난달 19일, 대구미술관 대강당서 열린 아티스트 토크 현장에서 관람객들과 진솔한 이야기를 나눴다. 그는 “어린 시절 만화 속 로봇을 만드는 박사님과 같은 존재가 돼 직접 만든 로봇으로 가족들을 데리고 평화로운 섬으로 가는 꿈을 꿨다”고 했다.

이어 “제가 어렸을 적에는 전쟁의 위험에 대해 일상적으로 이야기하던 시절이어서 자연스럽게 전쟁서 이길 수 있는 로봇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고 회상했다. 최우람은 대학 진학 이후 첫 작품을 만들 때 기계에 대한 지식이 없어 청계천의 작은 1인 공장들을 뛰어다니며 지식을 쌓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1998년 첫 개인전 당시 본인의 정체성에 대해 많이 고민했다. ‘왜 나는, 사람들은 이렇게 기계에 열광할까?’ ‘인간의 욕망이 한계가 없는 한 기계도 계속 발전할 것이며 언젠가는 인간을 뛰어넘는 궁극적인 존재가 되겠구나’ 등의 생각이 그의 머릿속을 맴돌았다.
 

생각 끝에 작가는 ‘문명은 인간의 숙주다’라는 주제로 첫 개인전을 열었다. 현재 대구미술관에 전시돼 있는 ‘URC-1_2014’는 최우람이 폐차장서 영감을 받은 작품이다. 폐차장서 폐차 순서를 기다리고 있는 자동차들, 피처럼 흘러나오는 기름을 보며 도살장과 같은 느낌을 받았고, 새로운 별을 만들어보자는 결론에 도달해 나온 결과물이다.

학명과 스토리텔링 방식
관객들 생명체처럼 느껴

최우람은 2006년 도쿄 모리미술관의 개인전 ‘도시 에너지-MAM Projeect004’와 제6회 상하이 비엔날레를 통해 국제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특히 맘 프로젝트 전시는 최우람에겐 작가로서 큰 도약의 계기가 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미술 지평

이후 도쿄 스카이 더 배스하우스, 뉴욕 아시아 소사이어티, 광주 비엔날레 등 국내외 주요 미술관 그룹전과 비엔날레에 참여했다. 김세중 조각상 청년조각 부문과 오늘의 젊은 예술가 상도 수상한 바 있다. 전시를 기획한 최지아 큐레이터는 “이번 전시는 단순한 기계 미학을 넘어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의 실존에 대해 사유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며 기대를 드러냈다. 전시는 내년 2월12일까지 열린다.


<sjang@ilyosisa.co.kr>

 

[최우람은?]

1970 서울 출생
1993 중앙대 조소과 졸업
1999 중앙대 대학원 조소과 조소전공 졸업
‘Project LAMP SHOP: CHOE U-RAM’, 갤러리 현대, 서울, 한국(2013)
‘Anima’, 보루산 컨템퍼러리, 이스탄불, 터키(2013)
‘Choe U-Ram Solo Show 2012’, 갤러리 현대, 서울, 한국(2012)
‘U-Ram Choe’, John Curtin Gallery, 퍼스, 호주(2012)
‘In Focus’, Asia Society Museum, 뉴욕, 미국(2011)
‘New Urban Species’, Frist Center for the Visual Arts, 네쉬빌, 미국(2010)
‘Kalpa’, 비트폼즈 갤러리. 뉴욕, 미국(2010)
‘Anima Machines’, SCAI The Bath House, 도쿄, 일본(2008)
‘U-Ram Choe’, 크로우 컬렉션, 달라스, 미국(2007)
‘New Active Sculpture’, 비트폼즈 갤러리, 뉴욕, 미국(2006)
‘도시에너지’, MAM 프로젝트, 모리미술관, 도쿄, 일본(2006)
‘Ultima Mudfox’, 두아트 갤러리 개관전, 서울, 한국(2002)
‘170개의 박스로봇’, 헬로아트 갤러리, 서울, 한국(2001)
‘문명∈숙주’, 갤러리보다, 서울, 한국(1998)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