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초대석> 축구화 수선 50년 외길 김 철

2014.08.04 10:21:42 호수 0호

“차범근 280, 안정환 260…” 태극전사 발사이즈 ‘줄줄’

[일요시사 경제2팀] 박효선 기자 = 서울 동대문운동장 뒤편 골목에는 축구화를 수선하는 가게가 있다. ‘금성축구화’간판 아래 3평 남짓한 가게는 축구화로 빼곡했다. 이곳 주인은 김철(68)사장. 그는 50년 동안 이 작은 골방 안에 자신을 가둬 축구화만 손봤다.




처음 금성축구화를 찾아갔을 때 그는 눈길 한번 주지 않았다. 말없이 축구화 밑창 마무리 작업을 하고 있었다. OB전(은퇴한 축구선수들의 경기)을 앞두고 선수들이 맡겨놓은 축구화가 많다며 바쁘다고 다음에 오라고 했다.

뛰는 스타일 꿰뚫어

다시 찾아가 김철 사장이 작업하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그가 앉아있는 곳 주변은 축구화 더미로 가득했다. 켜켜이 쌓여있는 축구화를 보며 그가 말했다.

“차범근 280, 황보관 265, 안정환 260, 정환이 축구화는 뽕(스터드: 축구화 밑창 뾰족한 부분)이 잘 빠져서 믹스 작업(메꾸는 작업)을 자주 했어. 홍명보 축구화는 작아서 4켤레 봐줬고, (이)근호랑 지금 영국 가있는 (김)보경이는 초등학교 때부터 자주 맡겼지. 옛날 축구하던 양반들은 다 여기에 맡겼어.”

그의 입에서 태극전사들의 발사이즈가 줄줄 쏟아져 나왔다. 축구화는 그라운드 위의 선수들이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아이템이다. 유니폼과 양말 등은 대표팀 후원 업체가 제공한 것을 똑같이 입어야 하지만 축구화는 선수별로 각 브랜드를 따로 계약한다. 축구화에만 유독 선택의 자유가 있는 것은 선수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드리블과 패스, 슈팅 등 선수들의 모든 플레이는 공과 직접 맞닿는 축구화를 통해 시작된다. 많은 선수들의 축구화가 그의 손에서 마무리됐다.


그는 매일 아침 8시에 일어나 9시에 금성축구화를 연다. 자정이 다 돼서야 일과를 끝낸다. 일요일에도 문을 연다. 주중에 일하는 직장인, 학생들을 위해서라고 했다. 쉬지 않고 일하지만 축구화는 일주일에 한 다스(40개)만 받는다. 하루 8켤레 정도를 손보는 게 전부다. 그렇다고 당일 수선이 끝나는 것도 아니다. 그 이상은 받을 수 없다고 한다.

“축구화는 당일 수선이 없어. 무조건 접수하고 맡겨야 해. 신발 하나에 작업과정만 40가지야. 다들 10문7(과거 성인남자들이 ‘발에 딱 맞다’고 표현한 말)이면 좋겠지만 사람마다 발모양이 다르잖아. 어떤 사람은 발볼이 넓고, 어떤 사람은 발가락이 튀어나오고, 어떤 사람은 왕발이야. 돈 벌자고 하면 하루에 수십 개도 더 할 수 있어. 하루에 많이 못 봐도 제대로 해야지”

축구선수 꿈꾸다 접고
16세 때부터 뚝딱뚝딱

축구화는 나이키, 아디다스 등 스포츠브랜드에서 대량생산된다. 대부분 치수는 5단위로 규격화돼 있다. 선수들은 자신의 발사이즈와 대강 맞는 사이즈의 축구화를 골라 맞춰 신는다. 마지막 단계는 김 사장에게 맡긴다. 김 사장은 축구화만 봐도 그 사람을 알 수 있다.

“축구화만 봐도 발 모양이 나와. 아 이 사람은 축구화 신는 내내 발볼이 작아서 아팠겠구나. 이 사람은 신발이 헐거워서 불편했겠다. 선수들도 어떤 스타일로 플레이하는지 알 수 있어. 자주 뛰는 선수는 신발 앞창이 금방 닳아. 발뒤꿈치를 들고 뛰어다니니까. 오른발잡이인지 왼발잡이인지도 신발에 다 써 있어. 사람들은 주로 선수들이 쓰는 쪽 신발이 망가질 꺼라고 생각하는데, 반대편 신발이 더 망가져."

"예를 들어서 오른발로 공을 차면 왼발은 땅을 짚고 있으니까. 그런데 왼발이 너무 많이 닳으면 그것도 디딤발이 잘못된 거야. 자꾸 땅에 끌려서 닳는 거니까. 그런 사람들한테 자세 교정이 필요하다고 말해줘. 딛는 연습 많이 하라고.”

각종 스포츠브랜드에서 함께 일하자는 제의를 받은 적도 있었다. 어떤 곳에서는 선수들 축구화만 수선하는 방식으로 계약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선수들 축구화만 수선하면 편하겠지. 선수들 축구화는 협찬 받아서 거의 새 거야. 깨끗해서 고치기도 편해. 돈도 많이 벌 수 있다고 했지. 그런데 그게 다가 아니야. 그런 목적으로 수선하게 되면 기업에 종속이 돼버린다. 내 이름만 걸었을 뿐 내 맘대로 못 고쳐."

"기업에서 원하는 대로만 고쳐 줘야 해. 여태 축구화 수선 생각하고 연구하면서 살아왔는데, 그것도 다 못하게 할 테니까. 이런 건 축구화 발전에 도움이 안 돼. 그냥 이름만 따겠다는 거잖아. 무엇보다 나는 선수 말고 일반인들 축구화 고쳐주는 게 좋아. 군인들, 학생들, 직장인 동호회 사람들이 가져온 축구화 고쳐주는 데 보람을 느껴. 망가지고 더러워진 축구화를 깨끗하게 고쳐서 돌려보낼 때 기분이 얼마나 좋은데.”

스포츠 브랜드서 일하자 제의 거절
동대문운동장 뒷골목 3평 가게 주인장


그의 고향은 함경북도 부령군이다. 그는 한때 축구선수를 꿈꿨다. 그러나 그에게 축구는 사치였다. 그럴만한 여유가 없었다. 한국전쟁 끝에 남쪽으로 내려왔다. 그는 작은어머니 밑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하필이면 집 앞에 스포츠신발공장이 있었다.

“작은 어머니가 '공부할래, 기술 배울래?' 묻더라고. 그땐 배고프니까 기술 배운다고 했지. 신발 공장에서 역도화, 레슬링화 온갖 스포츠신발을 겪었어.”

포인트는 중심잡기

그에겐 길이 없었다. 열여섯 나이에 그는 신발 고치는 법을 배웠다. 그렇게 길 없는 길을 50년 홀로 걸었다. 오랜 세월 축구화만 봤다. 문득 돌아보니 장인이 되어 있었다. 이루지 못한 꿈은 다르게 이뤄졌다.

“축구화는 중심이야. 뽕(스터드)하나만 떨어져도 뒤뚱거려서 못 뛰지. 중심 못 잡으면 불량품이야. 사는 거랑 똑같아. 다 중심잡기지”

 

<dklo216@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