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9호선 개통 <득과 실>

2009.07.07 09:05:39 호수 0호

무늬는 ‘황금노선’…하지만 시민은 봉?

조만간 개통 예정인 지하철 9호선은 일명 ‘황금노선’으로 불린다. 서울 김포공항에서 금융 중심지인 여의도와 반포, 논현 등 강남 지역을 최단 거리로 연결한다는 이유에서다.

지하철 노선의 상징색 역시 금색이다. 하지만 최초의 ‘민자유치 지하철’이라는 기대감 속에 출발 전부터 관심을 모았던 9호선은 개통 전부터 실망스런 모습의 연속이다. 네 차례나 개통이 연기되는가 하면 착공 10년째인 현재까지 이용요금에 대한 논란이 여전하다. <일요시사>가 논란이 되고 있는 지하철 9호선을 뜯어봤다.


‘민자유치 1호 지하철’ 출발 전부터 ‘삐걱’
이용요금 올리든 안올리든 부담은 시민 몫

국내 최초의 ‘민자유치 1호’ 지하철인 9호선은 공사 시작 단계부터 서울시민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 본격적인 급행열차 도입으로 교통권이 한층 편리해질 것이라는 기대감 탓이다.

이달 말 개통예정인 9호선 1단계 구간은 ‘김포공항-여의도-노량진-논현동’을 잇는 25.5km 규모로 한강 남측을 동서로 연결해 최단거리를 확보했다. 일반열차의 경우 50여 분, 급행열차를 이용할 경우 김포공항에서 강남까지 단 30분 만에 진입이 가능해진다. 



밥그릇 싸움이 뭔지…

이 때문에 이 지역을 오가는 수많은 출·퇴근자들은 지하철 9호선 개통을 손꼽아 기다렸다. 강서·양천구-여의도-강남을 최단거리로 이어주는 9호선 노선은 그동안 버스를 두 번 타거나 버스와 지하철을 갈아타고 둘러 가야만 했던 만성적인 교통대란의 진원지였던 탓이다. 특히 강서·양천구 주민들의 바람은 더 간절하다. 타 자치구에 비해 도심권 진출이 어려운 탓에 지역 주민 대부분이 2001년부터 이어진 10여 년간의 공사를 감내하며 9호선이 개통되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지하철 9호선 개통 소식에 인근 부동산 시장도 잔뜩 들떠 있다.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실수요자 및 투자자들이 9호선 노선도를 따라 대거 몰리고 있는 탓이다. ‘9호선 효과’가 가장 눈에 띄는 지역은 강서구과 양천구다. 특히 가양동, 등촌동, 염창동 등 강서권에는 강남권, 강북 도심, 여의도로 출근하는 20·30대의 직장인, 신혼부부 등 실수요를 중심으로 85㎡ 이하 소형 아파트에 수요가 몰리고 있다.

부동산 중개업계에 따르면 가양역과 염창역 인근 아파트의 매매가는 올해 초에 비해 2000만원가량 올랐다.
투자자들 역시 강서권 일대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매입 후 세를 주면 안정적인 수입을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세차익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일대의 투자가치에 대해 높게 평가하는 분위기다. 부동산정보업체인 부동산114가 지난달 8일 발표한 ‘아파트 시장동향’을 살펴보더라도 최근 서울의 아파트 가격 오름세를 강서구와 양천구가 이끌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양천구는 0.18%의 오름세를 보여 서울시 25개 자치구 가운데 아파트 가격이 가장 높게 인상됐다. 3.3㎡당 매매가격이 1900만원대에 진입한 것이다. 특히 강서구는 3.3㎡당 매매가격이 1400만원대를 회복했다. 부동산업계는 강서구와 양천구가 서울시 전체 아파트 가격의 오름세보다 높은 인상률을 보이고 있는 데는 순전히 지하철 9호선 개통 호재를 만났기 때문으로 해석하고 있다. 실제 지하철 9호선 신목동역 주변인 목동신시가지 2단지, 9단지 등은 전주 대비 1000~2000만원가량 올랐다.

지하철 5호선 외에는 별다른 교통수단이 없어 그동안 지하철 소외지역으로 분류됐던 강서·양천구가 지하철 9호선 개통을 계기로 교통의 요충지로 급부상한 것이다. 하지만 일련의 기대감과는 달리 ‘황금노선’ 지하철 9호선은 아직 달리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12일 최종 개통이 예정되어 있었지만 개통 이틀을 앞둔 10일 돌연 취소됐다. 서울시가 운임징수시스템(AFC)을 점검하다 결함을 발견한 것.

점검 결과 교통카드 88종 중 정기권 및 하나로 카드 2개가 게이트에서 정상 처리되지 않았다. 서울시는 시스템을 재점검하고 늦어도 오는 7월 말까지 개통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개통지연에 따른 여파는 개통을 앞두고 이미 입주한 상가에 고스란히 전해졌다. 9호선 상가 등의 사업자로 이번에 직접적인 피해를 보게 된 곳은 GS리테일과 보광훼미리마트, 코카콜라음료 등이며 LG생활건강 뷰티플렉스 매장 등 상가 임차인들도 금전적인 손해를 보고 있다.

관련 기업과 상가임차인들은 직원채용, 상품 진열 등 개점 준비를 마친 상태였다.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개통에 앞서 한 매장 내 평균 2~3명 정도의 인력을 배치했는데 몇 개월간의 인건비를 손해 보게 됐다”고 하소연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아웃소싱 직원들을 이미 1개월 전 뽑아 사전교육을 시켜 배치시키고 상품 진열까지 완료된 상황이라 피해가 크다”며 “진열 상품을 급히 다른 매장으로 옮겨 파는 등의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토로했다.

현재 유통업계에선 최근의 개통 지연에 따른 상가의 피해규모가 약 40여 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요금 또한 문제다. 요금을 놓고 서울시와 민간사업자인 (주)서울메트로9호선 간의 입장차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는 탓이다. 현재 서울시는 공익성을 강조하며 기본요금인 900원을 주장하는 반면 민자사업자는 수익성을 강조하며 1500여 원을 주장하고 있다.

서울시는 일단 900원으로 요금을 책정하고 개통 뒤 순차적으로 요금을 인상하는 쪽으로 민간사업자와 협의를 마친 듯하지만 논란은 여전하다. 서울시와 민자사업자 간 요금 측정차가 커 향후 인상폭도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서다. 부담은 고스란히 시민들의 몫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크다는 것. 하지만 서울시가 900원 요금안을 끝까지 지켜내더라도 시민들의 부담은 여전할 것으로 예상돼 논란이 되고 있다. 서울시가 민자사업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무리한 인센티브를 준 탓이다.

시는 지난 2005년 9호선 민자사업자에게 일정액의 수입보장을 약속하는 실무협약서를 체결했다. 수입이 적을 시에는 서울시가 시민들의 혈세로 갚아주겠다는 것이다. 당시 시는 민자사업자에게 지하철 9호선의 개통 초기 5년간 9호선 예상 운임수입의 90%, 6~10년은 80%, 11~15년은 70%를 보장하기로 약속했다. 개통 초기 5년간은 실제 운임수입이 예상 운임수입의 90%보다 적으면 서울시가 그 차액을 보조금으로 지급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시의 9호선 보장금액은 내년 656억원에서 2016년에는 1041억원을 기록해 1000억원을 넘어서게 된다.

수익 적을 땐 시민혈세 ‘수혈’

반면 지하철관련 업계에선 보상금 측정에 중요한 기준인 교통수요 측정이 비현실적으로 높게 측정돼 결국 서울시의 보조금 지급 부담이 증가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앞서 서울시와 서울메트로9호선은 추정 교통수요를 올해 일평균 16만명에서 2023년에는 일평균 교통수요가 3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지하철관련 업계의 지적에 서울시는 지하철 이용률에 대한 정상적인 수준이라고 논란을 일축했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들은 “지하철의 경우 국내 수요가 이미 한정적인 상황인데 기하급수적으로 늘 수가 없다”며 서울시의 행정을 꼬집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