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이력서> (8)곤드레·냉이

2020.08.07 09:06:12 호수 1282호

곡식 대신 나물로 보릿고개를 넘기다

오이, 쑥갓, 가지… 소박한 우리네 밥상의 주인공이자 <식재료 이력서>의 주역들이다. 심심한 맛에 투박한 외모를 가진 이들에게 무슨 이력이 있다는 것일까. 여러 방면의 책을 집필하고 칼럼을 기고해 온 황천우 작가의 남다른 호기심으로 탄생한 작품. ‘사람들이 식품을 그저 맛으로만 먹게 하지 말고 각 식품들의 이면을 들춰내 이야깃거리를 만들어 나름 의미를 주자’는 작가의 발상. 작가는 이 작품으로 인해 인간이 식품과의 인연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곤드레’라는 말을 처음 접한 시기는 20대 막판 무렵 JP(김종필 전 총리) 주도로 이루어진 술 자리에서였다.

잔을 채우자 느닷없이 JP께서 제안하신다.

당신이 ‘곤드레’를 선창할 터이니 ‘만드레’로 화답하라고.

[곤드레]

의아해하며 그를 따라하자 그에 대한 설명이 이어진다.


당신이 제안한 건배사, ‘곤드레만드레’는 그야말로 허리띠 끌러놓고 정신은 물론 몸도 제대로 가누지 못할 정도로 흠뻑 취해보자는 이야기였다. 

당연히 그리 해야 할 일로 그 좌석은 물론 이후 JP와 술자리를 가지게 되면 항상 ‘곤드레’와 ‘만드레’를 외치며 잔을 비우고 시쳇말로 ‘떡이 되어’ 귀가하고는 했다.

JP의 건배사인 곤드레만드레에 대해 우리 선조들은 어떤 표현을 사용했는지 궁금하다.

하여 고문서를 살피자 醉如泥(취여니), 醉作泥(취작니), 醉似泥(취사니) 등이 등장한다.

말 그대로 진창(泥)이 되도록 취한다는 의미로, 애주가인 필자로서 선조들의 호방함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내친 김에 필자의 건배사 ‘애주가를 위하여’에 대해서도 소개해보자.

소설가로 변신한 어느 한날 이 사회에서 잘 나가는 친구들을 만나 술자리를 가지게 되었는데, 술자리가 무르익자 서로 제가 잘났다고 목소리를 높이기 시작했다.

가만히 그를 지켜보다 술잔을 들고는 대뜸 한마디 했다.

“이 땅에서 가장 끗발 좋은 자가 누군지 아냐”고.

그러자 이 친구들 서로의 얼굴을 바라보다 나를 주시한다. 순간 곧바로 다음 말을 이어간다.


“‘가’자로 끝나는데 감이 오지 않냐”라고. 

그러자 약속이라도 한 듯 ‘소설가’를 되뇐다.

그들의 얼굴을 찬찬히 살피며 답한다. 

“소설가 같은 소리하고 있네. 소설가가 아니라 애주가야, 이 자식들아!” 

그러자 좌석은 잠시 폭소판으로 변하고 이어 필자의 건배사 ‘애주가를’, ‘위하여’가 이어진다.

이제 나물 곤드레로 돌아가자.

곤드레라는 나물 이름에 대해 혹자는 바람에 흔들리는 잎사귀가 마치 술 취한 사람과 같다 해서 붙은 이름이라 하고 또한 민들레나 둥글래처럼 곤드레의 원이름은 곤들레였다고도 한다.

그에 대한 정확한 사실은 알 수 없으나 필자는 그 이름의 기원을 ‘곤’에서 찾고자한다.

곤은 물론 困(곤)으로 곤궁함을 의미한다.


곤궁한 시기에 들판 여기저기서 즉 ‘들에’서 자라나는 나물로 굶주림을 해결했다고 해서 ‘곤들에’로 또 ‘곤드레’로 변한 게 아닌지 추측해본다. 

이를 위해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 1호인 정선 아리랑 가사 중 일부 인용한다.

한 치 뒷산에 곤드레 딱죽이 임의 맛만 같다면
올 같은 흉년에도 봄 살아나네

정선 아리랑은 조선 건국 직후 정선 전씨의 중시조인 전오륜 등 고려 충신 7인이 정선 서운산으로 피신해 고려왕조에 대한 충절을 맹세하며 여생을 산나물을 뜯어먹고 살면서 자신들의 정한을 노래에 담아 불렀다고 알려져 있다.

그 과정에 등장하는 대표적 나물이 곤드레였으니 필자의 추측이 마냥 그르다 할 수 없다. 

곤궁함 의미 ‘곤들에’서 ‘곤드레’로? 
고량진미(膏粱珍味)’ 냉이에 대한 극찬

[냉이]

조선 초기 인물로, 용재총화로 널리 알려진 성현(成俔, 1439∼1504)의 작품 감상해보자. 

薺花(제화)

叢生盤地托芳根(총생반지탁방근) 
향기로운 뿌리로부터 무더기로 태어나니 
甘軟調羹自媚飧(감연조갱자미손)
달고 연해 국 끓이면 맛 일품인데
陌上雪殘靑葉長(맥상설잔청엽장) 
눈 남은 길 위에 푸른 잎 자라나고
墻陰春老素花繁(장음춘로소화번) 
늦 봄 그늘진 담장에 흰 꽃 무성하네 
五溪野外人誰採(오계야외인수채)  
오계의 들 밖에서 어느 사람이 캐는가 
萬落城中賣作斤(만락성중매작근) 
만호의 성 안에서 근으로 달아 파네
舊穀旣空新麥短(구곡기공신맥단)  
오래된 곡식 떨어지고 햇보리도 부족하면 
饞農辛苦度朝昏(탐농신고도조혼) 
주린 농부 고통스럽게 아침저녁 넘긴다네

성현이 냉이 꽃을 바라보며 냉이에 대해 읊은 시다.

그에 의하면 흥미로운 표현이 등장한다.

냉이가 그저 그렇고 그런 나물이 아니라 보릿고개에 직면해 먹을 음식이 모두 동났을 때 구황식품으로도 사용됐다고 하는 대목이다.

구황식품이란 말 그대로 식량이 부족할 때 곡식 대신 먹는 식품인데 냉이가 바로 그러하다는 이야기다.

정말 그럴까.

이를 위해 중국 송대의 유학자로 주자학을 집대성한 주희의 문인 채원정(蔡元定)이라는 인물에 대해 살펴본다.

고전을 살피면 그는 스승인 주희를 만나기 전 서산 꼭대기에 올라 냉이 나물로 연명하며 글을 읽었다고 한다.

또 있다. 고려 말 대유학자인 이색(李穡, 1328∼1396)의 작품 스스로 읊다(自詠, 자영)에 등장하는 대목이다.

繞墻老薺望人肥(요장로제망인비) 
담장 주위에 피어난 냉이라도 사람들이 배불리 먹고 허기를 면했으면

마지막으로 서거정 작품 감상해보자.

薺(제)
냉이

食肉元無相(식육원무상)
고기 먹을 일 원래 없는데
春廚薺菜香(춘주제채향)
봄날 부엌에 냉이 나물 향기롭네
和羹能悅口(화갱능열구)
국에 넣으면 기막히게 맛나
佐食足撑腸(좌식족탱장)
밥을 더하니 속이 든든하네
軟滑何須酪(연활하수락)
보드랍기는 어찌 우유뿐이랴
甛甘絶勝糖(첨감절승당)
달기는 사탕수수보다 훨씬 낫네
客來吾欲詫(객래오욕타)
손님 오면 자랑하고 싶네
第一是膏粱(제일시고량)
제일 가는 고량진미라고

냉이에 대한 극찬이 멈추지 않는다.

급기야 서거정은 냉이를 고량진미라 추켜세운다.

고량진미(膏粱珍味)는 기름진 고기와 밥으로 이루어진 대단히 귀한 음식인 바 냉이가 바로 그렇단다.


<계속>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