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마음의 흐름’ 남화연

2020.03.23 09:54:38 호수 1263호

무용가 최승희, 2020년 다시 태어나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종로구 소재 아트선재센터서 오는 24일부터 남화연 작가의 개인전 마음의 흐름을 선보인다. 코로나19 여파로 전시가 연기된 끝에 관람객들과 만나게 됐다. <일요시사>가 남화연의 작품세계를 조명했다.
 



남화연은 안무적 접근을 통해 신체 안으로 시간이 관통할 때 발생하는 영향에 주목하고 이를 가시적 형태로 구현하는 방식을 고민해왔다. 남화연의 작업은 노래나 신문을 통해 건진 이야기로부터 출발한다. 주어진 공간서 시간과 움직임을 고려해 배치와 동선, 영상과 퍼포먼스, 사운드를 구성하는 방식은 무용가의 안무를 떠올리게 한다.

무용가의 춤

남화연은 2012년부터 무용가 최승희에 주목, 이를 둘러싼 불완전한 아카이브를 수집하며 작업의 기반으로 삼았다. 최승희는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16세에 일본으로 건너가 현대무용가 이시이 바쿠를 사사하고 승무의 대가인 한성준에게 전통무용을 배웠다.

일본을 비롯해 미국과 프랑스, 스위스 등지서 다수의 공연을 하며 명성을 얻은 최승희의 춤과 행보는 당시 조선과 일본,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구 사이에 선 예술가의 주체성에 대한 고민과 시대적 갈등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최승희의 기록은 많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그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한쪽에서는 한국의 전통무용과 동양무용을 고루 익히고 근대 한국무용의 근간을 만든 이로 평가한다. 반면 일각에선 친일 행적, 해방 후 남편 안막과 함께 월북해 활동한 경위 등으로 복합적이고 문제적인 인물로 본다.


남화연은 역사의 시간이 관통한 신체라는 측면서 최승희의 삶에 주목했다. 2012년 페스티벌 봄에서 최승희를 중심으로 한 극장 퍼포먼스인 이태리의 정원을 선보였다. 2014년에는 아르코 예술자료원서 마음의 흐름을 전시했고, 2019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에서는 영상 반도의 무희와 설치로 구현된 이태리의 정원을 소개한 바 있다.

노래나 이야기부터 출발해
안무 과정과 닮은 작업방식

이번 개인전은 남화연이 오랜 시간에 걸쳐 최승희를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그의 방식대로 풀어온 아카이브의 여정을 정리한 전시다. 새로운 영상작업 6점을 비롯한 다양한 설치, 아카이브 자료, 퍼포먼스 등으로 구성됐다.

관람객들은 남화연이 그동안 모은 최승희에 대한 자료, 이 자료 속 정지된 이미지 사이에 부재하는 시간과 움직임에 개입한 다양한 작업을 감상할 수 있다. 작업 과정의 아카이브도 함께 선보인다.

2014년 남화연은 최승희의 안무 마음의 흐름과 관련해 남아있는 사진 2장과 당시 공연에 대한 평론가의 짧은 글을 참고해 무용의 동선을 상상한 6점의 드로잉과 사운드, 포스터로 구성한 작업을 진행한 바 있다.
 

▲ ▲

2020년에 선보이는 마음의 흐름은 기존 작업과 달리 조명을 이용한 빛과 사운드를 포함하는 설치로 그 규모와 형태를 바꿔 전시장 2층에 놓였다. 조명은 마치 춤을 추듯, 파도가 일렁이듯 위치를 뒤바꿔 바닥 설치물을 비추며 움직임을 표현한다.

맞은편에 설치된 4채널의 영상작업 사물보다 큰은 교차하는 북해의 풍경과 사실주의 화가 쿠르베가 그린 바다에 대한 이야기, 일본인 친구가 적어 보낸 바다 일지와 함께 최승희에 대한 짧은 이야기를 다룬다. 전시장 2층에 설치된 작업들은 모두 신작으로 구성됐다.

3층에는 아카이브 행위를 남화연 관점으로 풀어낸 다양한 작업들이 놓인다. 입구에는 최승희 독무로 선보인 최초의 모던댄스 세레나데’(1927)에 대한 사진 자료들과 기록을 접할 수 있으며 남아있는 사진 속 포즈와 포즈 사이를 엮은 2020년 버전 세레나데가 관람객을 반긴다.

2012년부터 최승희 궤적 좇아
과거의 자료 재해석한 작품 소개

로댕의 키스’(1882)에 영감을 받아 만든 춤으로 알려져 있는 습작’(1935)은 두 명의 공연자를 통해 새롭게 풀이한 퍼포먼스 영상과 점토로 형상화한 작업이 2020년 버전으로 다시 태어났다.


칠석의 밤: 아카이브의 제목은 동아시아 지역에 널리 퍼져 있는 칠월칠석 설화를 기반으로 한 작업이면서 일본군을 위한 위문공연으로 선보였다는 이유로 친일논란을 불러일으킨 공연 칠석의 밤’(1941)서 가져왔다. 영상은 에헤라 노아라와 세레나데의 작업 과정을 복기하며 남긴 메모와 드로잉, 퍼포먼스 기록들로 구성됐다.
 

풍랑을 뚫고는 최승희가 월북 후 1958년 만든 무용교본 <조선민족기본무용>이 재일교포 사회로 전해진 뒤 일본서 전승된 조선춤의 기반이 된 배경을 토대로 한다. 남화연은 영상서 재일동포 무용교사 이경희를 인터뷰하고 그녀의 춤 장면을 영상에 포함해 최승희 작품이 국가의 경계를 넘어 이동하는 궤적을 좇는다.

에헤라 노아라는 라이브 퍼포먼스가 담긴 자료다. 본래 에헤라 노아라는 최승희가 남자처럼 갓과 도포를 갖추고 춤을 추는 해학적인 작품이다. 최승희가 일본에서 처음 춘 조선무용이자 일본 무용계서 각광받은 계기가 된 작품이기도 하다.

작가의 작품

김해주 아트선재센터 부관장은 두 사람이 그림자 모양으로 서로 어우러지고 또 떨어졌다가 다시 어우러지는 그림과 같은 듀엣이라는 최승희의 안무 마음의 흐름에 대한 기록 한 구절을 언급하면서 “마음의 흐름에 대한 오래 전 기록은 전시를 통한 남화연과 최승희 두 사람의 만남과 공명의 시간에도 적용된다고 설명했다이어 서로 마주했다가 다시 거리를 두는 이 안무처럼 서로 다른 두 사람, 다른 시간대와 그 역사, 실제와 픽션 사이서 출현한 것들이 두 층으로 나뉜 전시장 사이에서 궤도를 그리는 장면을 관람객들이 목격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전시는 52일까지.


<jsjang@ilyosisa.co.kr>

 

[남화연은?]

1979년생 서울

개인전


‘Abdominal Routes’ 덴마크 쿤스트할 오르후스(2019)
임진가와시청각(2017)
시간의 기술아르코 미술관(2015)

그룹전

역사를 몸으로 쓰다국립현대미술관(2017)
유명한 무명’ (2016)
모든 세계의 미래 All the World’s Future’ 베니스 비엔날레(2015)
‘Nouvelle Vague-Memorial Park’
팔레드 도쿄
(2013)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